의료급여

행려환자 관리번호 등 번호 부여

야국화 2019. 2. 28. 14:57

 예문) 행려 환자 관리번호가 185001-3******인 환자의 2월 진료분 연령가산 적용방법

실제 생년월일은 2018.6.20일 생이라고 정보를 받더라도 확인가능한것이  관리번호 뿐이고,

관리번호 생성 기준을 고려해 보면  2018년 생이라는 것밖에 없다. 그래서........

2018년도생의 남아로 2018.12.31날짜의 만나이로 적용하면 된다. 

즉 , 2019년 1.30~2.2일 진료분은 1세 미만으로 적용하면 됨.



[별첨 참조] 의료급여 청구방법


(5)보장시설 및 노숙인시설 기호보장시설에 입소해 있는 수급권자 또는 노숙인 의료급여 수급권자가 의료급여를 받는 경우에는 보장시설기호란에 보장기관이 부여한 보장시설기호 또는 노숙인시설기호를 기재한다.

 

(6)세대주 및 수진자의료급여증에 기재된 성명과 주민등록번호를 기재하며, 주민등록번호 등 인적사항을 알 수 없는 경우에는 별도로 부여된 의료급여 관리번호를 음과 같이 기재한다.

 

행려환자인 경우(주민등록번호가 확인된 자 포함)

관리번호 구성

 

 

 

 

 

 

-

 

 

 

 

 

 

 

 

 

 

 

 

 

 

 

 

 

 

 

 

출생

자료

보장기관기호

 

성별

발생

일련번호

년도

구분

 

 

 

년도

 

출생년도(2자리) : 출생년도 마지막 2자리를 기재

자료구분(1자리) : 3

보장기관기호(3자리) : 해당 시구 행정동 부호 앞 3자리를 기재

성별(1자리)
1800년대 및 1900년대 출생(: 1, : 2)
2000년대 출생(: 3, : 4)

발생년도(2자리) : 발생년도 마지막 2자리를 기재
2000년 발생 00, 2007년 발생 07

일련번호(4자리) : 보장기관에서 중복되지 않도록 일련번호를 부여
(예시)

서울 종로구(3000000)에서 2007년도 7번째 발생한 행려환자(1960.03.30일생, 남자)의 경우

6

0

3

3

0

0

-

1

0

7

0

0

0

7

 

 

 

 

 

 

 

 

 

 

 

 

 

1960

자료

종로구행정동

 

남자

2007

일련번호

년생

구분

부호

 

 

발생

 

 

보장시설입소자가 아닌자로서 주민등록번호 불명자인 경우

관리번호 구성

 

 

 

 

 

 

-

 

 

 

 

 

 

 

 

 

 

 

 

 

 

 

 

 

 

 

 

출생

자료

보장기관기호

 

성별

관리번호

일련번호

년도

구분

 

 

 

부여년도

 

출생년도(2자리) : 출생년도 마지막 2자리를 기재

자료구분(1자리) : 4

보장기관기호(3자리) : 해당 시구 행정동 부호 앞 3자리를 기재

성별(1자리)
1800년대 및 1900년대 출생(: 1, : 2)
2000년대 출생(: 3, : 4)

관리번호 부여년도(2자리) : 관리번호 부여년도 마지막 2자리를 기재
200000, 200707

일련번호(4자리) : 보장기관에서 중복되지 않도록 일련번호를 부여
(예시)

2007.1.15일 대전동구(3640000) 100번째 기초생활보장번호 부여자(1957.5.30일생, 남자)의 경우

5

7

4

3

6

4

-

1

0

7

0

1

0

0

 

 

 

 

 

 

 

 

 

 

 

 

 

1957

자료

보장기관기호

 

성별

2007

일련번호

년생

구분

 

 

 

관리번호부여

 

 

보장시설입소자 또는 노숙인시설 중 주민등록번호 불명자인 경우

관리번호 구성

 

 

 

 

 

 

-

 

 

 

 

 

 

 

 

 

 

 

 

 

 

 

 

 

 

 

 

출생

자료

일련번호

 

성별

입소

시설번호

년도

구분

 

 

 

년도

 

출생년도(2자리) : 출생년도 마지막 2자리를 기재

자료구분(1자리) : 5

일련번호(3자리) : 보장기관에서 중복되지 않도록 일련번호를 부여

성별(1자리)
1800년대 및 1900년대 출생(: 1, : 2)
2000년대 출생(: 3, : 4)

입소년도(2자리) : 입소년도 마지막 2자리를 기재
2000년 발생 00, 2007년 발생 07

시설기호(4자리) : 보장시설 또는 노숙인시설 4자리
(예시)

2004.1.15○○시 감로당(2349)에 입소된 150번째 노인(1930.3.30일생, 여자)의 경우

3

0

5

1

5

0

-

2

0

4

2

3

4

9

 

 

 

 

 

 

 

 

 

 

 

 

 

1930

자료

일련번호

 

여자

2004

감로당 시설번호

년생

구분

 

 

 

입소

 

 

국민기초생활 보장법 제5조의2(외국인에 대한 특례)에 의한 외국인 배우자의 경우 주민등록번호란에 출입국관리법에서 정하는 외국인등록번호(13자리)를 기재한다.
신생아가 수급권자가 될 경우에는 수진자 성명란에 산모이름과 신생아임을 구분할 수 있도록 아기를 함께 쓰거나 이름을 쓰고 주민등록번호란에는 앞부분의 생년월일과 뒷 부분의 남여 구분(3 또는 4)만 기재한다. 다만, 쌍태아의 경우에는 주민등록번호의 끝자리에 첫째아이는 “1”, 둘째아이는 “2”를 기재한다.

(예시) 200411일 출산한 남아의 경우

세 대 주 성 명

홍 길 동

주민등록번호

수 급 권 자 성 명

이은영아기 또는 홍철수

040101-3

 



 예문) 행려 환자번호가 185001-3******이라면 연령가산 적용방법

실제 생년월일은 2018.6.20일 생이라고 정보를 받더라도 확인가능한것이  관리번호 생성을 고려하면

2018년 생이라는 것밖에 없다. 그래서........

2018년도생의 남아로 2018.12.31날짜의 만나이로 적용하면 된다. 

2019년 1.30~2.2일 진료분은 1세 미만으로 적용하면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