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장기요양

요양병원 적정성 평가결과

야국화 2009. 8. 10. 20:00

요양병원 적정성 평가결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는 2008년도 요양병원 입원진료에 대하여 적정성 평가를 실시하고 요양병원행 평가결과를 등급화하여 공개 하였음을 안내 합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평가실평가1부 박혜경 (문의 02-2182-2217-8)
 
 
요양병원 정의
요양병원은 의사나 한의사가 의료를 행하는 곳으로서, 요양환자 30명 이상을 수용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추고 주로 장기요양이 필요한 입원환자에게 행할 목적으로 개설하는 의료기관이다.
요양병원 현황

최근 급속한 고령화 및 생활수준 향상에 따른 노인성 · 만성 질환 위주의 장기요양 의료서비스 수요 증가와 인력 · 시설 관련 요양병원 개설기준의 완화 등 여러가지 요인으로 요양병원 기관수가 급증하고 있다.
(2009.5월말 기준 요양병원수 : 725기관)

간호관리료 및 입원료 차등제등 관련 준수사항
연도별 요양병원 현황
구 분
2004년
2005년
2006
2007
2008년
기 관 수
100
(100)
199
(182,6)
351
(322,0)
585
(536,7)
690
(633,0)
진 료 비
1,364억
(100)
2,579억
(392,4)
5,351억
(392,4)
9,705억
(711,7)
1조3,597억
(997,1)
수 진 자 수
32,901
(100)
94,473
(287,1)
94,473
(287,1)
157,319
(478,2)
185,175
(562,8)
주) 진료비와 수진자수는 요양병원의 입워 진료실적을 대상으로 분석함.
평가의 배경 및 목적
요양병원 기관수가 매년 급증하고 있으며, 2008년 1월부터 정액수가제가 도입되어 과소진료 제공이 우려 되므로 요양병원의 역할정립 및 의료서비스의 적정성 유지를 위한 질 평가체계를 도입할 필요성이 있다. 평가의 목적은 선정된
지표를 토대로 요양병원의 수준 측정 결과를 환류하여 자발적인 질개선 활동을 유도 하고, 국민에게 합리적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요양병원이 서비스의 질적 수준을 높일 수 있는 동기를 부여하는 것이다.
평가의 배경 및 목적
2008년 7월 이전 개설하여 2008년 9월말 현재 운영중인 요양병원 571기관을 대상으로 2008년 7월 ~ 9월 건강보험과
의료급여 일당정액 입원 진료자료 및 조사표 자료를 분석하였다.
평가의 배경 및 목적
요양병원의 시설 · 인력 · 장비 등 구조 부문에서 20개 지표, 진료과정 · 결과 부문에서 4개 지표를 기준으로 평가하였으며, 각 지표별 기관 결과를 백분위 순위 등으로 상대비교 하였다. 또한 평가결과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 구조부문과 과정 · 결과부문별로 각각 종합지표를 산출하여 기관별 상대비교를 하였다.
 
구조(현황)부문 : 20개 지표
시설(9개)
인력(9개)
장비(2개)
  · 병상 당 병실의 평균 면적
  · 다인실 병상의 비율
  · 병실 바닥의 턱 제거여부
  · 바닥의 미끄럼 방지 시설 설치율
  · 응급호출 시스템 구비율
  · 약국 유무
  · 물리치료실 유무
  · 방사선 촬영실 유무
  · 임상검사실 유무
  · 의사 1인당 병상수
  · 간호사 1인당 병상수
  · 간호인력(간호사+간호조무사)
   1인당 병상수
  · 물리치료사 근무일수율
  · 약사 유무
  · 방사선 유무
  · 임상병리사 유무
  · 사회복지사 유무
  · 100병상 당 심전도 모니터
     (EKG monitor)보유대수
  · 100병상당 혈중산소포화도
    감시장비(Pulse oxymetor)보유대수
 
과정 및 결과부문 : 4개 지표
신체적 기능
배설 기능
피부상태
  · 일상생활 수행능력 감퇴 한자분율   · 유치도뇨관이 있는 환자분율
      (고위험군/저위험군)
  · 고위험군의 욕창(압박성 궤양)
     유병률
 
 
평가 결과
 
요양병원을 평가한 결과 각 지표별로 기관 간 편차가 큰 것으로 확인되어 구조적인 부문 및 과정 · 결과부문에서 병원의 관심과 개선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부문의 평가결과 의료인력 영역에서 1인당 평균 병상 수는 의사가 37.3병상, 간호사가 14.9병상, 간호인력(간호사+간호조무사) 6.8병상으로 대체적으로 의료법의 기준으로 만족
하였으나 의사가 최고 112병상, 간호사 85.3병상인 기관도 있어 병원으로서의 기능을 제대로 갖추지 못한 병원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시설 영역에서는 노인환자들의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병실입구 및 바닥에 턱이 없는 병원이 78.6%, 욕실 · 화장실 및 경사로 바닥에 미끄럼 방지 시설이 모두 설치된 병원은 53.4%, 병상 및 욕실 · 화장실에 응급 상황시를 대비한 응급 호출시스템이 설치된 병원은 7%로 나타나 요양병원의 환자안전에 대한 시설이 다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따. 과정 및 결과 부문의 평가 결과 식사하기, 일어나 앉기, 옴겨앉기, 화장실 사용하기의 4가지 일상생활 수행능력 감퇴환자의 비율은 기과당 평균 20.4%에서 3개월 전에 배히 기능이 감퇴하고 있으며 최대 77.6%인 기관도 있는 것등으로 나타나 의료진의 환자에 대한 관심과 적극적인 케어(Care)가 필요함을 나타내고 있다.
평가결과 공개
구조 부문과 과정 및 결과부문 각각의 지표 값을 종합 점수화하여 백분위 수에 따라 네 등급으로 나누어 공개 하면서 요양병원에는 개별 평가결과와 함께 전국 및 동일병상 규모군의 평균값을 제공하여 자율적으로 개선하도록 하였다.
전체 571기관 중 1등급은 124기관(22.2%), 2등급은 311기관(55.6%), 3등급은 105기관(18.8%), 4등급은 19기관(3.4%)이 해당되었으며 공개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홈페이지에 의료 소비자가 가고 싶은 요양병원을 선택하는데 편리하도록 별의 개수로 표현 (1등급은 별4개, 2등급은 별3개, 3등급은 별2개, 4등급은 별이 없음)하여 공개하였다. 기관별 세부적인 지표결과도 공개하여 쾌적한 병실이 있고 환자 안전에 신경을 써서 시설이 잘 되어 있는 병원인지, 의료 인력과
재활 인력 등이 풍부한 병원인지, 기본 임상검사 및 방사선 검사 장비, 기본적인 의료 장비를 구비하고 있는지, 환자의 일상생활 수행능력 감퇴가 어느 정도 되는지, 병원에서 환자에게 유치도뇨관 (소변줄)을 과도하게 삽입하는 경우가
얼마나 되는지, 오래 누워있는 환자의 경우 욕창이 있는 환자가 어느 정도 되는지 등을 확인할 수 있게 하였다.
평가결과 공개
이번 1차 평가결과를 토대로 평가기준을 과정 및 결과부문 중심으로 확대하여 금년 10월 ~ 12월 진료 분으 로 요양병원에 대한 2차 평가를 다시 시작할 계획에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앞으로도 매년 지속적인 평가를 통해 요양병원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끌어 언제든지 국민들이 좋은 병원을 마음 놓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홈페이지를 방문하시면 요양병원 평가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홈페이지(www.hira.or.kr) → 국민서비스 → 평가결과정보 → 요양병원평가결과
요양병원 적정성 평가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