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자살시도 주요 원인은 건강문제
- 몸과 마음이 아픈 노인, 자살위험 더 크다 -
질병관리본부는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결과, 지난 10년간 2.5배 증가한 노인 자살은 ‘본인의 건강문제’로 인해 비롯되었으며, 충동성은 낮고 자살성공률은 높다고 밝혔다.
통계청의 10만명당 자살사망률에 따르면 65세 미만은 ’96년 11.7명에서 ’06년 16.8명, 65세 이상은 ’96년 28.6명에서 ’06년 72.1명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질병관리본부의 자살성공률에 따르면 65세 이상의 자살성공률은 31.8%포인트로 그 외 연령대인 8.0%포인트에 비해 4배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2006년 8월부터 6개 병원 응급실을 방문한 손상환자를 대상으로 입원기간중 추적 조사하는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에 의한 것으로, 수집된 자료는 손상의 예방 및 정책개발을 위한 기초 통계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문의 정신건강정책과 02)2023-7567, 질병관리본부 만성병조사팀 02)380-2932
정리 홍보담당관실 도원경
<참고자료 1>
노인 자살 관련 주요 손상 이슈
1. 노인 자살시도자 3명중 1명은 본인 건강문제로 자살시도 |
○밝혀진 자살 시도 동기는 10대는 부모와의 갈등, 20대는 연인과의 갈등, 30-50대는 배우자와의 갈등이 각각 가장 높은 순위를 차지하였으나, 65세 이상 노인은 ‘본인의 질병’이 가장 높아, 노인 자살시도자 3명중 1명은 본인의 질병으로 자살을 시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1> 연령별 자살동기 순위 및 비율
구분 |
1순위 |
2순위 |
3순위 |
10-19 |
부모와의 갈등(29.5%) |
친구와의 갈등(14.8%) |
직장 또는 학교 문제(11.5%) |
20-29 |
연인과의 갈등(34.3%) |
우울증(15.3%) |
부모와의 갈등(14.8%) |
30-39 |
배우자와의 갈등(32.1%) |
우울증(19.9%) |
연인과의 갈등(7.7%) |
40-49 |
배우자와의 갈등(44.1%) |
우울증(9.9%) |
채무(8.1%) |
50-64 |
배우자와의 갈등(23.6%) |
우울증(16.9%) |
본인의 질병(15.7%) |
65세 이상 |
본인의 질병(35.9%) |
우울증(19.6%) |
자녀와의 갈등 (9.8%) |
전체 |
배우자와의 갈등(22.2%) |
우울증(15.5%) |
연인과의 갈등(12.0%) |
※ 자료원 :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06.08-’07.12), 질병관리본부
2. 노인의 자살시도는 성공률 높아 |
○65세이상 노인의 자살시도는 사망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응급실에 방문한 자살시도자의 사망여부를 조사한 결과 자살성공률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여 65세 이상 노인의 경우 31.8%로, 그 외 연령층의 자살 성공률 보다 약 4배 높았다.
<표2> 연령별 자살미수, 자살사망자 수
구분 |
전체건수 |
자살미수 |
자살사망 | ||
건수 |
% |
건수 |
% | ||
10-19 |
69 |
63 |
91.3 |
6 |
8.7 |
20-29 |
219 |
211 |
96.3 |
8 |
3.7 |
30-39 |
198 |
184 |
92.9 |
14 |
7.1 |
40-49 |
162 |
149 |
92.0 |
13 |
8.0 |
50-64 |
102 |
83 |
81.4 |
19 |
18.6 |
65세 이상 |
105 |
77 |
73.3 |
28 |
31.8 |
전체 |
855 |
767 |
89.7 |
88 |
1.3 |
※ 자료원 :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06.08-’07.12)
그림 2. 자살시도자 중 자살사망자 비율
3. 노인 자살 충동성 낮아(음주 자살기도 중심으로) |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의 음주여부를 조사한 결과, 자살시도자의 절반가량은 음주상태에서 자살을 기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음주 자살시도자는 30대와 40대에서 가장 많았으며 음주가 법적으로 제한되는 10대를 제외하면 65세 이상 노인은 음주상태에서 자살을 기도한 비율이 가장 낮아, 자살의 충동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3. 음주 자살시도자 비율
※ 자료원 :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06.08-’07.12)
※ 응급실 손상자료 중 자살로 인한 손상 현황
구분 |
전체 손상수 |
자살로 인한 손상건수1)(%) |
10-19 |
10,782 |
69(0.6%) |
20-29 |
14,088 |
219(1.6%) |
30-39 |
14,058 |
198(1.4%) |
40-49 |
12,450 |
162(1.3%) |
50-64 |
10,222 |
102(1.0%) |
65세 이상 |
7,009 |
105(1.5%) |
전체 |
68,609 |
855(1.2%) |
주 1. 자살로 인한 손상건수는 ‘자살사망자’ 포함
<참고자료 2>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개요
□ 추진목적
손상환자의 손상기전과 손상원인에 대한 심층자료를 수집․추적 조사하여 손상 통계를 산출하고, 이에 근거한 손상예방 및 손상 정책개발 자료 제공
□ 추진경위
◦’06년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도입(’06.8)
◦'07년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표본병원 6개소 지정·운영(’07.1~12월)
◦’08년 표본병원 확대(6→8개소)
□ 조사대상 및 내용
○표본병원 : 서울, 경기, 강원 지역 6개 표본병원(서울대학교병원, 서울시립보라매병원, 이화여대부속목동병원,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 아주대학교병원,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원주기독병원)
○조사대상 : 응급실에 내원하는 전체 손상환자(공통항목) 및 병원별 특정손상 환자(심층항목)를 대상으로 자료 수집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사업 조사대상>
○조사내용
구분 |
조사 항목 | |
전체 손상 (공통항목) |
손상장소, 손상시 활동, 음주관련여부, 사회경제적 지표; 직업, 학력, 소득(입원환자 대상) | |
특정 손상 (심층조사 항목) |
중독 |
중독물질, 중독물질의 양, 중독이유, 물질의 출처, 관련병력 |
교통사고 |
사고유형, 손상장소, 충돌위치, 손상시 활동, 보호장구 착용, 약물복용 유무, 과거력, 현치료력 | |
취학 전 어린이손상 |
구체적 장소, 병원 내원시 동반자, 안전사고 기전, 안전사고 유발물질 | |
자살 |
자살시도 방법, 위험인자, 자살의 과거력, 당시 정신과 면담여부, 당시 자살시도방법 | |
두부․척추손상 |
병원전 처치, 손상기전, 손상장소, 손상유발물체, 뇌단층 촬영, 경추검사 |
○자료수집 방법
- 공통항목 중 응급실 자료는 의료진(의사나 간호사)이 입력
- 각 병원별 특정 손상에 대해서는 응급실 자료는 의료진이 입력하고 입원환자에 정보는 표본병원 담당자가 면접조사 실시
<자료수집 흐름도>
'노인장기요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양병원 급여 목록 및 상대가치점수 (0) | 2008.05.26 |
---|---|
요양병원 입원급여 적정성 평가지표 (0) | 2008.05.24 |
노인장기요양보험, 신청하셨습니까 (0) | 2008.05.19 |
복지부, 노인장기요양보험 관련 대국민 협조문 발표 (0) | 2008.05.19 |
노인요양시설, 의료기관과 '협약체결' 의무 (0) | 2008.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