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의료기술

2025-57호 신의료기술의 안전성·유효성 평가 결과 고시 일부개정20250331

야국화 2025. 3. 31. 16:44

신의료기술의 안전성유효성 평가결과 고시일부개정안

1. 개정이유

신의료기술평가위원회 최종심의 결과, 안전성ㆍ유효성이

있는 신의료기술에 대하여 그 평가결과, 사용목적, 사용

대상 및 시술(검사)방법 등을 고시함

 

2. 주요내용

신의료기술평가위원회에서 안전성 및 유효성이 있는 신의료

기술로 평가된 관상동맥 내 쇄석술4건을 별표 1에 추가함

============================

보건복지부고시 제2025 - 057

의료법53조 및 신의료기술평가에 관한 규칙4조에 의한

신의료기술의 안전성·유효성 평가결과 고시(보건복지부 고시

2025 - 028, 2025.2.17.)를 다음과 같이 개정ㆍ발령합니다.

2025331

보건복지부장관

 

신의료기술의 안전성ㆍ유효성 평가결과 고시일부개정

 

신의료기술의 안전성ㆍ유효성 평가결과 고시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별표 1의 제961호부터 제964호까지 붙임과 같이 신설한다.

 

부 칙

이 고시는 고시한 날부터 시행한다.

 

[붙임]

961. 관상동맥 내 쇄석술

. 기술명

한글명 : 관상동맥 내 쇄석술

영문명 : Coronary Intravascular Lithotripsy

 

. 사용목적

경피적 관상동맥스텐트삽입술 시 스텐트 삽입 전, 표적 병변

부위의 석회화된 플라크를 분쇄하여 제거함으로써, 협착성

신생 관상동맥을 확장시키기 위함

 

. 사용대상

중증 석회화로 스텐트 삽입이 예정된 신생 관상동맥 질환자

 

. 시술방법

경피적 관상동맥스텐트삽입술 시 스텐트 삽입 전, 저압 풍선

카테터를 스텐트 삽입이 예정된 석회화 병변 부위에 위치시켜

음압 펄스(acoustic pressure pulse)를 가하여 석회화된 플라크

를 분쇄하여 제거함

 

. 안전성ㆍ유효성 평가결과

관상동맥 내 쇄석술은 기존 임상에서 사용되는 시술인 회전

죽종절제술과 비교 시 주요 심장사건, 사망, 심근경색, 천공,

혈관 박리 등의 이상반응 및 부작용 발생률이 유사한 수준으로

안전성은 수용 가능함

관상동맥 내 쇄석술은 회전 죽종절제술과 비교 시 시술 성공률

과 협착 및 혈관의 직경과 면적 변화, 시술 시간 및 입원기간이

유사한 수준으로 유효성은 수용 가능함

따라서, 관상동맥 내 쇄석술은 스텐트 삽입이 예정된 신생

관상동맥 질환자를 대상으로 스텐트 삽입 전, 표적 병변 부위의

석회화된 플라크를 제거하여, 협착성 신생 관상동맥을 확장

하는 데 있어 안전하고 유효한 기술임

 

962. 두경부 미세낭 림프관기형 또는 미세낭 정맥림프관기형

의 고주파 절제술

. 기술명

한글명 : 두경부 미세낭 림프관기형 또는 미세낭 정맥림프관

기형의 고주파 절제술

영문명 : Radiofrequency Ablation of Microcystic Lymphatic

 or Microcystic Venolymphatic Malformations (Head and Neck)

 

. 사용목적

두경부 미세낭 (정맥)림프관기형으로 발생하는 증상의 완화

 

. 사용대상

경화제 치료가 어려운 두경부의 미세낭 림프관기형 또는

  미세낭 정맥림프관기형 환자

 

. 시술방법

환자 상태에 따라 마취(국소마취, 수면마취 또는 전신마취)

시행함

병변의 위치를 확인한 후 (필요시 초음파 유도하) 고주파 전극

을 병변 내에 삽입함

고주파 전류를 가하여 병변(미세낭과 격막)을 전기 소작함

 

. 안전성ㆍ유효성 평가결과

두경부 미세낭 림프관기형 또는 미세낭 정맥림프관기형의 고주파

절제술은 간단한 처치로 해결 가능하거나 경미한 합병증을 보고

하여 안전성은 수용 가능한 수준임

두경부 미세낭 림프관기형 또는 미세낭 정맥림프관기형의 고주파

절제술은 시술 후 병변의 부피가 감소하였으며, 증상 개선을 보고

하여 수용가능한 수준의 유효한 기술임

따라서, 두경부 미세낭 림프관기형 또는 미세낭 정맥림프관기형

의 고주파 절제술은 경화제 치료가 어려운 두경부의 미세낭 림프관

기형 또는 미세낭 정맥림프관기형 환자를 대상으로 두경부 미세낭

(정맥)림프관기형으로 발생하는 증상을 완화하는 데 있어 안전하고

유효한 기술임

 

963. 식도재건술 시 근적외선 인도시아닌그린 혈행조영술

. 기술명

한글명 : 식도재건술 시 근적외선 인도시아닌그린 혈행조영술

영문명 : Near Infrared Indocyanine Green Perfusion
Angiography during Esophageal Reconstruction

 

. 사용목적

수술 중 위관 관류 평가

 

. 사용대상

식도종양 환자 중 식도 절제 후 식도재건술 시행 환자

 

. 시술방법

수술 중 인도시아닌그린을 정맥으로 주입한 후 수술 부위에

근적외선 광원을 조사하여 형광 발현된 영상을 통해 위관의

관류를 평가함

 

. 안전성ㆍ유효성 평가결과

식도재건술 시 근적외선 인도시아닌그린 혈행조영술은 교과서

및 전문가 합의문에서 안전한 기술로 제시되어 있으며, 수술 중

인도시아닌그린을 정맥 주입하는 기존의 기술과 유사한 수준의

안전성을 가지므로 안전한 기술임

식도재건술 시 근적외선 인도시아닌그린 혈행조영술은 교과서

및 전문가 합의문에서 수술 중 위관의 관류 평가를 위해 사용이

권고되며, 문합 부위 선택과 문합부 누출 위험 감소에 도움을

주는 기술로 제시되어 유효한 기술임

따라서, 식도재건술 시 근적외선 인도시아닌그린 혈행조영술

은 식도종양 환자 중 식도 절제 후 식도재건술 시행 환자를 대상

으로 수술 중 위관 관류 평가에 있어 안전하고 유효한 기술임

 

. 참고사항

동 기술에 사용하는 인도시아닌그린은 허가초과 약제로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장의 허가초과 사용약제 비급여 사용

대해 승인 받은 경우에 한하여 그 범위 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

 

964. 근적외선 인도시아닌그린 간 및 담도 조영술

. 기술명

한글명 : 근적외선 인도시아닌그린 간 및 담도 조영술

영문명 : Near Infrared Indocyanine Green Hepatography

and Cholangiography

 

. 사용목적

수술 시 간구역, 간종양의 위치 확인 및 담도 주행을 시각적

으로 확인하여 담도 손상을 줄이기 위함

 

. 사용대상

간절제술, 간적출술 또는 담낭절제술이 필요한 환자

 

. 시술방법

수술 전 또는 수술 중 인도시아닌그린을 정맥으로 주입한 후

수술 부위에 근적외선 광원을 조사하여 형광 발현된 영상을

통해 간구역, 간종양의 위치 및 담도 주행을 확인함

 

. 안전성ㆍ유효성 평가결과

근적외선 인도시아닌그린 간 및 담도 조영술은 가이드라인

및 의학교과서에서 안전한 기술로 제시되어 있으며, 인도시아닌

그린을 정맥 주입하는 기존의 기술과 유사한 수준의 안전성을

가지므로 안전한 기술임

근적외선 인도시아닌그린 간 및 담도 조영술은 가이드라인 및

의학교과서에서 간절제술, 간적출술 및 담낭절제술 시 간구역,

간종양의 위치를 확인하고, 담도 주행을 시각적으로 확인하여

담도 손상을 줄이는데 도움을 주는 기술로 제시되어 유효한

기술임

따라서, 근적외선 인도시아닌그린 간 및 담도 조영술은 간절제술,

간적출술 또는 담낭절제술이 필요한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시

간구역, 간종양의 위치 확인 및 담도 주행을 시각적으로 확인

하여 담도 손상을 줄이는데 있어 안전하고 유효한 기술임

 

. 참고사항

동 기술에 사용하는 인도시아닌그린은 허가초과 약제로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장의 허가초과 사용약제 비급여 사용

대해 승인 받은 경우에 한하여 그 범위 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

 

(24-11,12차)+「신의료기술의+안전성·유효성+평가결과+고시」+전문.hwpx
1.02MB
(24-11,12차)+신의료기술의+안전성·유효성+평가결과+고시+일부개정안.hwpx
0.04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