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구관련

2019-303호 신구조문 대비표

야국화 2019. 12. 27. 16:31

현 행

 

개 정 ()

 

요양급여비용 청구방법,

심사청구서명세서서식 및 작성요령

요양급여비용 청구방법,

심사청구서명세서서식 및 작성요령

1편 행위 요양급여비용

1편 행위 요양급여비용

1~ 15(생략)

1~ 15(현행과 같음)

16(전자문서)

16(전자문서)

요양기관과 심사평가원이 요양급여비용 청구와 관련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전자문서의 종류는 다음 각 호와 같다.

1. ~ 4. (생략)

5. 보완자료 제출내역서

6. ~ 9. (생략)

10. 보완자료 요청내역서

11. ~ 19. (생략)

요양기관과 심사평가원이 요양급여비용 청구와 관련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전자문서의 종류는 다음 각 호와 같다.

1. ~ 4. (현행과 같음)

5. 심사자료 제출내역서

6. ~ 9. (현행과 같음)

10. 심사자료 요청내역서

11. ~ 19. (현행과 같음)

~ (생략)

~ (현행과 같음)

17~ 32(생략)

17~ 32(현행과 같음)

 

 

(별첨 1)

(별첨 1)

전자문서 작성요령(1편 제4조 및 제30조 관련)

전자문서 작성요령(1편 제4조 및 제30조 관련)

. 요양기관이 심사평가원에 전송하는 전자문서

. 요양기관이 심사평가원에 전송하는 전자문서

5. 보완자료 제출내역서

5. 심사자료 제출내역서

(1) 보완자료 제출내역서1

(1) 심사자료 제출내역서1

항 목 명

MODE

POSI

TION

항 목 설 명

신청번호

(생략)

 

(생략)

보완자료를 심사평가원에 제출시 요양기관에서 부여하는 번호로서 제출 년··일과 제출일에 발생한 제출내역서의 개수를 일련번호로 기재

유형: CCYYMMDD + 일련번호
CCYYMMDD: 제출 년··(8자리)
일련번호: 보완자료 제출내역서의 일련번호 (4자리)

서식번호

(생략)생략

(생략)

서식번호
H061: 보완자료 제출내역서

요양기관기호

(생략)생략

(생략)

 

(생략)

담당자

(생략)생략

(생략)

요양기관의 구입통보 보완자료 제출내역서 담당자의 성명을 한글 또는 영문으로 기재

총건수

(생략)생략

(생략)

보완자료 제출 총건수를 기재

화상자료총매수~

참조란

(생략)생략

(생략)

(생략)

항 목 명

MODE

POSI

TION

항 목 설 명

신청번호

(현행과 같음)

(현행과 같음)

심사자료를 심사평가원에 제출시 요양기관에서 부여하는 번호로서 제출 년··일과 제출일에 발생한 제출내역서의 개수를 일련번호로 기재

유형: CCYYMMDD + 일련번호
CCYYMMDD: 제출 년··(8자리)
일련번호: 심사자료 제출내역서의 일련번호 (4자리)

서식번호

(현행과 같음)

(현행과 같음)

서식번호
H061: 심사자료 제출내역서

요양기관기호

(현행과 같음)

(현행과 같음)

(현행과 같음)

담당자

(현행과 같음)

(현행과 같음)

요양기관의 구입통보 심사자료 제출내역서 담당자의 성명을 한글 또는 영문으로 기재

총건수

(현행과 같음)

(현행과 같음)

심사자료 제출 총건수를 기재

화상자료총매수~

참조란

(현행과 같음)

(현행과 같음)

(현행과 같음)

(2) 보완자료 제출내역서2

(2) 심사자료 제출내역서2

항 목 명

MODE

POSI

TION

항 목 설 명

신청번호

(생략)생략

(생략)

보완자료를 심사평가원에 제출시 요양기관에서 부여하는 번호로서 제출 년··일과 제출일에 발생한 제출내역서의 개수를 일련번호로 기재

유형: CCYYMMDD + 일련번호
CCYYMMDD: 제출 년··(8자리)
일련번호: 보완자료 제출내역서의 일련번호 (4자리)

보완자료

요청내역서

통보번호

(생략)생략

(생략)

보완자료 요청내역서에 기재된 통보번호를 기재

통보번호: CCYYMMDD + 일련번호

통보서 구분

(생략)생략

(생략)

보완자료 요청내역서에 기재된 통보서 구분코드를 기재

A: 치료재료 B: 원료약 C: 조제·제제약

통보서신청번호

(생략)생략

(생략)

보완자료 요청내역서에 기재된 통보서 신청번호를 기재

신청번호: CCYYMMDD + 일련번호

줄번호

(생략)생략

(생략)

보완자료 요청내역서에 기재된 줄번호를 기재

통보품목코드

(생략)생략

(생략)

보완자료 요청내역서에 기재된 구입통보품목 코드를 기재

통보품목

(생략)생략

(생략)

보완자료 요청내역서에 기재된 구입통보품목 명칭을 기재

화상자료매수

(생략)생략

(생략)

(생략)

보완자료 내역

(생략)생략

(생략)

보완자료구분기타에 해당되는 경우 그 내역을 평문으로 기재

항 목 명

MODE

POSI

TION

항 목 설 명

신청번호

(현행과 같음)

(현행과 같음)

심사자료를 심사평가원에 제출시 요양기관에서 부여하는 번호로서 제출 년··일과 제출일에 발생한 제출내역서의 개수를 일련번호로 기재

유형: CCYYMMDD + 일련번호
CCYYMMDD: 제출 년··(8자리)
일련번호: 심사자료 제출내역서의 일련번호 (4자리)

심사자료

요청내역서

통보번호

(현행과 같음)

(현행과 같음)

심사자료 요청내역서에 기재된 통보번호를 기재

통보번호: CCYYMMDD + 일련번호

통보서 구분

(현행과 같음)

(현행과 같음)

심사자료 요청내역서에 기재된 통보서 구분코드를 기재

A: 치료재료 B: 원료약 C: 조제·제제약

통보서신청번호

(현행과 같음)

(현행과 같음)

심사자료 요청내역서에 기재된 통보서 신청번호를 기재

신청번호: CCYYMMDD + 일련번호

줄번호

(현행과 같음)

(현행과 같음)

심사자료 요청내역서에 기재된 줄번호를 기재

통보품목코드

(현행과 같음)

(현행과 같음)

심사자료 요청내역서에 기재된 구입통보품목 코드를 기재

통보품목

(현행과 같음)

(현행과 같음)

심사자료 요청내역서에 기재된 구입통보품목 명칭을 기재

화상자료매수

(현행과 같음)

(현행과 같음)

(현행과 같음)

심사자료 내역

(현행과 같음)

(현행과 같음)

심사자료구분기타에 해당되는 경우 그 내역을 평문으로 기재

(3) 보완자료 제출내역서3

(3) 심사자료 제출내역서3

항 목 명

MODE

POSI

TION

항 목 설 명

신청번호

(생략)생략

(생략)

보완자료를 심사평가원에 제출시 요양기관에서 부여하는 번호로서 제출 년··일과 제출일에 발생한 제출내역서의 개수를 일련번호로 기재

유형: CCYYMMDD + 일련번호
CCYYMMDD: 제출 년··(8자리)
일련번호: 보완자료 제출내역서의 일련번호(4자리)

보완자료

요청내역서

통보번호

(생략)생략

(생략)

보완자료 요청내역서에 기재된 통보번호를 기재

통보번호: CCYYMMDD + 일련번호

통보서 구분

(생략)생략

(생략)

 

보완자료 요청내역서에 기재된 통보서 구분코드를 기재

A: 치료재료 B: 원료약 C: 조제·제제약

통보서신청번호

(생략)생략

(생략)

보완자료 요청내역서에 기재된 통보서 신청번호를 기재

신청번호: CCYYMMDD + 일련번호

줄번호

(생략)생략

(생략)

보완자료 요청내역서에 기재된 줄번호를 기재

보완자료 구분

(생략)생략

(생략)

보완자료의 구분코드를 기재하며, 보완자료를 영상자료(IMAGE DATA)로 첨부하는 경우에는 해당 자료의 파일명을 기재

보완자료구분
7B1: 세금계산서 7B2: 거래명세표
7B3: 수입면장 7BE: 기타

보완자료파일명

(생략)생략

(생략)

보완자료를 영상자료(IMAGE DATA)로 첨부하는 경우에는 보완자료구분에서 선택한 자료의 파일명을 기재

항 목 명

MODE

POSI

TION

항 목 설 명

신청번호

(현행과 같음)

(현행과 같음)

심사자료를 심사평가원에 제출시 요양기관에서 부여하는 번호로서 제출 년··일과 제출일에 발생한 제출내역서의 개수를 일련번호로 기재

유형: CCYYMMDD + 일련번호
CCYYMMDD: 제출 년··(8자리)
일련번호: 심사자료 제출내역서의 일련번호(4자리)

심사자료

요청내역서

통보번호

(현행과 같음)

(현행과 같음)

심사자료 요청내역서에 기재된 통보번호를 기재

통보번호: CCYYMMDD + 일련번호

통보서 구분

(현행과 같음)

(현행과 같음)

심사자료 요청내역서에 기재된 통보서 구분코드를 기재

A: 치료재료 B: 원료약 C: 조제·제제약

통보서신청번호

(현행과 같음)

(현행과 같음)

심사자료 요청내역서에 기재된 통보서 신청번호를 기재

신청번호: CCYYMMDD + 일련번호

줄번호

(현행과 같음)

(현행과 같음)

심사자료 요청내역서에 기재된 줄번호를 기재

심사자료 구분

(현행과 같음)

(현행과 같음)

심사자료의 구분코드를 기재하며, 심사자료를 영상자료(IMAGE DATA)로 첨부하는 경우에는 해당 자료의 파일명을 기재

심사자료구분
7B1: 세금계산서 7B2: 거래명세표
7B3: 수입면장 7BE: 기타

심사자료파일명

(현행과 같음)

(현행과 같음)

심사자료를 영상자료(IMAGE DATA)로 첨부하는 경우에는 심사자료구분에서 선택한 자료의 파일명을 기재

 

 

. 심사평가원이 요양기관에 전송하는 전자문서

. 심사평가원이 요양기관에 전송하는 전자문서

4. 보완자료 요청내역서

4. 심사자료 요청내역서

(1) 보완자료 요청내역서1

(1) 심사자료 요청내역서1

항 목 명

MODE

POSI

TION

항 목 설 명

서식버전 ~

통보번호

(생략)생략

(생략)

(생략)

서식번호

(생략)생략

(생략)

서식번호
F110: 보완자료 요청내역서

요양기관기호 ~

참조란

(생략)생략

(생략)

(생략)

항 목 명

MODE

POSI

TION

항 목 설 명

서식버전 ~

통보번호

(현행과 같음)

(현행과 같음)

(현행과 같음)

서식번호

(현행과 같음)

(현행과 같음)

서식번호
F110: 심사자료 요청내역서

요양기관기호 ~

참조란

(현행과 같음)

(현행과 같음)

(현행과 같음)

(2) 보완자료 요청내역서2

(2) 심사자료 요청내역서2

항 목 명

MODE

POSI

TION

항 목 설 명

통보번호 ~

안내사항 내역

(생략)생략

(생략)

(생략)

자료요청 내역

(생략)생략

(생략)

보완자료 요청구분 기타의 경우 요청내역을 평문으로 기재

통보서구입량

(생략)생략

(생략)

(생략)

항 목 명

MODE

POSI

TION

항 목 설 명

통보번호 ~

안내사항 내역

(현행과 같음)

(현행과 같음)

(현행과 같음)

자료요청 내역

(현행과 같음)

(현행과 같음)

심사자료 요청구분 기타의 경우 요청내역을 평문으로 기재

통보서구입량

(현행과 같음)

(현행과 같음)

(현행과 같음)

(3) 보완자료 요청내역서3

(3) 심사자료 요청내역서3

항 목 명

MODE

POSI

TION

항 목 설 명

통보번호 ~

줄번호

(생략)생략

(생략)

(생략)

자료요청 구분

(생략)생략

(생략)

 

요양기관에 보완자료를 요청하는 경우 보완자료의 종류를 구분코드로 통보

보완자료구분
7B1: 세금계산서 7B2:: 거래명세표
7B3: 수입면장 7BE: 기타

항 목 명

MODE

POSI

TION

항 목 설 명

통보번호 ~

줄번호

(현행과 같음)

(현행과 같음)

(현행과 같음)

자료요청 구분

(현행과 같음)

(현행과 같음)

요양기관에 심사자료를 요청하는 경우 심사자료의 종류를 구분코드로 통보

심사자료구분
7B1: 세금계산서 7B2:: 거래명세표
7B3: 수입면장 7BE: 기타

 

 

(별표 4)

(별표 4)

전자문서 서식번호(1편 제16조제2항 및 제2편 제10조제2항 관련)

전자문서 서식번호(1편 제16조제2항 및 제2편 제10조제2항 관련)

요양기관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전송하는 전자문서

요양기관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전송하는 전자문서

구분

전자문서명

서식번호

비고

1~6

(생략)

(생략)

(생략)

7~9

(생략)

(생략)

 

10

보완자료 제출내역서

(생략)

 

11~13

(생략)

(생략)

 

구분

전자문서명

서식번호

비고

1~6

(현행과 같음)

(현행과 같음)

(현행과 같음)

7~9

(현행과 같음)

(현행과 같음)

 

10

심사자료 제출내역서

(현행과 같음)

 

11~13

(현행과 같음)

(현행과 같음)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요양기관에 전송하는 전자문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요양기관에 전송하는 전자문서

구분

전자문서명

서식번호

비고

14~16

(생략)

(생략)

 

17

보완자료 요청내역서

(생략)

 

18~23

(생략)

(생략)

 

24

(생략)

(생략)

(생략)

구분

전자문서명

서식번호

비고

14~16

(현행과 같음)

(현행과 같음)

 

17

심사자료 요청내역서

(현행과 같음)

 

18~23

(현행과 같음)

(현행과 같음)

 

24

(현행과 같음)

(현행과 같음)

(현행과 같음)

 

 

(별표 6)

(별표 6)

특정기호 코드(1편 제24조제2호 및 제2편 제17조 관련)

특정기호 코드(1편 제24조제2호 및 제2편 제17조 관련)

. 기타

. 기타

구분

대 상

특정기호

1~13

(생략)

(생략)

14

국민건강보험법 시행령별표 2 3호하목에 따른 조산아 및 저체중아의 외래진료

F016

15~22

(생략)

(생략)

구분

대 상

특정기호

1~13

(현행과 같음)

(현행과 같음)

14

국민건강보험법 시행령별표 2 3호하목에 따른 조산아 및 저체중 출생아의 외래진료

F016

15~22

(현행과 같음)

(현행과 같음)

 

 

(별표 8)

(별표 8)

특정내역 구분코드(1편 제24조 및 제2편 제17조 관련)

특정내역 구분코드(1편 제24조 및 제2편 제17조 관련)

1. 명일련 단위

1. 명일련 단위

구분

코드

특정내역

특정내역

기재형식

설 명

MS001

~MT006

(생략)

(생략)

(생략)

MT007

DRG

세부내역 (**)

X(3)/ccyymmdd/X/X(9)/9(10)/9(5).V9(2)/9(3)/9(10)/X(200)/X(1)/X(100)

 

 

 

 

 

 

 

 

 

질병군(DRG) 요양급여비용명세서에서 상대가치점수표 제2편 제15에 따라 질병군(DRG) 요양급여비용총액 1에 추가로 금액을 산정하는 식대, 외과전문의 가산, 초음파검사(급여대상), 2인실 내지 5인실 이용시 추가비용과 상급종합병원·종합병원·병원 1인실 이용에 따른 제외금액, 질병군 급여 항목(풍선 소장내시경검사 등), 마취통증의학과전문의 초빙료, 질병군 분류번호를 결정하는 주된 수술외에 실시한 수술, 의료질평가지원금, 전문병원 관리료 등, 응급의료행위 가산 수가, 통증자가조절법(PCA) 급여대상, 감염예방관리료, 야간전담간호사 관리료, 환자 안전관리료, 고위험임산부 집중치료실 이용시 추가비용, 고위험임산부 집중관리료 보훈 100분의100본인부담비급여(보훈위탁진료 요양기관의 보훈 국비환자 진료분만 해당), 강보험 100분의100본인부담, 100분의100미만 총액을 산정하는 100분의50 본인부담, 100분의80 본인부담, 100분의30 본인부담, 100분의90 본인부담의 세부 내역을 기재(1 투여량은 소수 셋째자리에서 45입하여 소수 둘째자리까지 기재하며, 금액은 원미만 45입하여 기재)

 

내역구분/투여(실시)일자/코드구분/코드/단가/1일투여량(실시횟수)/총투여일수(실시횟수)/금액/준용명/면허종류/면허번호

- 면허종류면허번호는 초음파검사, 마취통증의학과전문의 초빙료, 권역외상센터에서 중증외상환자의 응급의료행위 가산 수가를 산정한 경우 기재

- 초음파검사비용의 본인일부부담은 ”SON“, 10080 본인부담은 “SEB에 기재

- 캡슐내시경검사비용의 본인일부부담은 “ADD, 100분의80 본인부담은 ”SEB에 기재

- 통증자가조절법(PCA) 급여대상은 ”PCA”, 급여대상 이외는 ”SEB”에 기재

- 응급의료행위 가산 수가의 경우 준용명에 수술처치취료 등 응급의료행위의 실시 시각(ccyymmddhhmm) 기재

- <신설>

 

내역구분

식대인 경우 “EAT

외과전문의 가산 해당 항목인 경우 “SUR“

보훈 국비환자 100분의100인 경우 “100“

보훈 국비환자 비급여인 경우 “NOP“

건강보험 100분의100 본인부담 “ALL“

초음파검사(급여대상)의 경우 “SON“

100분의50 본인부담의 경우 “SEA“

100분의80 본인부담의 경우 “SEB“

100분의30 본인부담의 경우 “SED“

100분의90 본인부담의 경우 “SEE“

2인실 내지 5인실을 이용한 경우 ADM

상급종합병원·종합병원·병원의 1인실을 이용한 경우 “SIN“

질병군 급여 항목의 경우 “ADD

마취통증의학과전문의 초빙료의 경우 “ANE

질병군 주된 수술외에 실시한 수술의 경우 COP”

의료질평가지원금의 경우 “EVA

전문병원 관리료 등의 경우 “SPE

응급의료행위 가산 수가의 경우 “EME

통증자가조절법(PCA) 급여대상의 경우 “PCA

감염예방관리료의 경우 “INF

야간전담간호사 관리료의 경우 “NIG

환자 안전관리료의 경우 “SAF“

고위험임산부 집중치료실 입원료 등의 경우 “HIG“

<신설>

 

MT008

~MT041

(생략)

(생략)

(생략)

MT042

로봇 보조 수술 (**)

9(8)/X(1)

건강보험 행위 급여·비급여 목록표 및 급여 상대가치점수 제2편 질병군 급여·비급여 목록 및 급여 상대가치점수 제2부 제4장 산부인과 적용지침 6. 등에 따른 로봇 보조 수술을 실시한 경우에는 해당 비급여 비용과 환자동의 여부를 기재

환자동의서를 작성·비치한 경우 “Y”

 

MT043

~MT059

(생략)

(생략)

(생략)

<신설>

<신설>

<신설>)

<신설>

 

 

 

 

 

 

 

 

<신설>

<신설>

<신설>)

<신설>

<신설>

<신설>

<신설>)

<신설>

MX999

(생략)

(생략)

(생략)

 

구분

코드

특정내역

특정내역

기재형식

설 명

MS001

~MT006

(현행과 같음)

(현행과 같음)

(현행과 같음)

MT007

DRG

세부내역 (**)

X(3)/ccyymmdd/X/X(9)/9(10)/9(5).V9(2)/9(3)/9(10)/X(200)/X(1)/X(100)

/9(1).V9(2)

 

 

 

 

 

 

질병군(DRG) 요양급여비용명세서에서 상대가치점수표 제2편 제15에 따라 질병군(DRG) 요양급여비용총액 1에 추가로 금액을 산정하는 식대, 외과전문의 가산, 초음파검사(급여대상), 2인실 내지 5인실 이용시 추가비용과 상급종합병원·종합병원·병원 1인실 이용에 따른 제외금액, 질병군 급여 항목(풍선 소장내시경검사 등), 마취통증의학과전문의 초빙료, 질병군 분류번호를 결정하는 주된 수술외에 실시한 수술, 의료질평가지원금, 전문병원 관리료 등, 응급의료행위 가산 수가, 통증자가조절법(PCA) 급여대상, 감염예방관리료, 야간전담간호사 관리료, 환자 안전관리료, 고위험임산부 집중치료실 이용시 추가비용, 고위험임산부 집중관리료, 야간간호료 보훈 100분의100본인부담비급여(보훈위탁진료 요양기관의 보훈 국비환자 진료분만 해당), 강보험 100분의100본인부담, 100분의100미만 총액을 산정하는 100분의50 본인부담, 100분의80 본인부담, 100분의30 본인부담, 100분의90 본인부담의 세부 내역을 기재(1 투여량은 소수 셋째자리에서 45입하여 소수 둘째자리까지 기재하며, 금액은 원미만 45입하여 기재)

 

내역구분/투여(실시)일자/코드구분/코드/단가/1일투여량(실시횟수)/총투여일수(실시횟수)/금액/준용명/면허종류/면허번호/보상률

- 면허종류면허번호는 초음파검사, 마취통증의학과전문의 초빙료, 권역외상센터에서 중증외상환자의 응급의료행위 가산 수가를 산정한 경우 기재

- 초음파검사비용의 본인일부부담은 ”SON“, 10080 본인부담은 “SEB에 기재

- 캡슐내시경검사비용 및 일반 MESH 3D TYPE의 본인일부부담은 “ADD, 100분의80 본인부담은 ”SEB에 기재

- 통증자가조절법(PCA) 급여대상은 ”PCA”, 급여대상 이외는 ”SEB”에 기재

- 응급의료행위 가산 수가의 경우 준용명에 수술처치취료 등 응급의료행위의 실시 시각(ccyymmddhhmm) 기재

- 질병군 급여 항목(ADD)인 경우에 보상률 기재

 

내역구분

식대인 경우 “EAT

외과전문의 가산 해당 항목인 경우 “SUR“

보훈 국비환자 100분의100인 경우 “100“

보훈 국비환자 비급여인 경우 “NOP“

건강보험 100분의100 본인부담 “ALL“

초음파검사(급여대상)의 경우 “SON“

100분의50 본인부담의 경우 “SEA“

100분의80 본인부담의 경우 “SEB“

100분의30 본인부담의 경우 “SED“

100분의90 본인부담의 경우 “SEE“

2인실 내지 5인실을 이용한 경우 ADM

상급종합병원·종합병원·병원의 1인실을 이용한 경우 “SIN“

질병군 급여 항목의 경우 “ADD

마취통증의학과전문의 초빙료의 경우 “ANE

질병군 주된 수술외에 실시한 수술의 경우 COP”

의료질평가지원금의 경우 “EVA

전문병원 관리료 등의 경우 “SPE

응급의료행위 가산 수가의 경우 “EME

통증자가조절법(PCA) 급여대상의 경우 “PCA

감염예방관리료의 경우 “INF

야간전담간호사 관리료의 경우 “NIG

환자 안전관리료의 경우 “SAF“

고위험임산부 집중치료실 입원료 등의 경우 “HIG“

야간간호료의 경우 ”NNC“

 

MT008

~MT041

(현행과 같음)

(현행과 같음)

(현행과 같음)

<삭제>

<삭제>

<삭제>

<삭제>

 

 

 

 

 

MT043

~MT059

(현행과 같음)

(현행과 같음)

(현행과 같음)

MT060

인공수정체 제외금액 유형 (**)

9(1)

 

 

 

 

건강보험 행위 급여·비급여 목록표 및 급여 상대가치점수 제2편 질병군 급여·비급여 목록 및 급여 상대가치점수 제2부 제4장 안과 적용지침 2.에 따라 인공수정체 제외금액이 있는 경우에는 아래의 제외유형을 참조하여 기재

<인공수정체 제외 유형>

인공수정체 제외 유형

코드

연성 인공수정체, 단안 제외

1

연성 인공수정체, 양안 제외

2

경성 인공수정체, 단안 제외

3

경성 인공수정체, 양안 제외

4

MT062

가정전문
간호사
방문일수

9(4)/X(10)/9(2)

1개월 또는 1주일 동안 각 가정전문간호사별 방문일수 /가정전문간호사 면허번호/방문일수/가정전문간호사 면허번호/방문일수......순으로 기재

(접수번호별 첫 번째 명세서에만 기재)

MT063

요양병원

입원 중 진료의뢰

9(8)/ccyymmdd

요양급여의 적용기준 및 방법에 관한 세부사항에 따라 요양병원 입원 중인 산정특례 대상자를 본인일부부담금 산정특례에 관한 기준[별표3], [별표4] [별표42]에 따른 산정특례 대상 상병명으로 다른 요양기관에 진료의뢰 한 경우 요양기관기호(의뢰한 요양병원은 의뢰받은 요양기관의 기관기호, 의뢰받은 요양기관은 의뢰한 요양병원의 기관기호)와 의뢰일자를 기재

MX999

(현행과 같음)

(현행과 같음)

(현행과 같음)

 

 

2. 진료(조제)내역 줄번호(확장번호) 단위 및 처방내역 줄번호(확장번호) 단위

2. 진료(조제)내역 줄번호(확장번호) 단위 및 처방내역 줄번호(확장번호) 단위

구분

코드

특정내역

특정내역

기재형식

설 명

JS002

~JS014

(생략)

(생략)

(생략)

<신설>

<신설>

<신설>)

<신설>

 

JT001

~JX999

(생략)

(생략)

(생략)

 

구분

코드

특정내역

특정내역

기재형식

설 명

JS002

~JS014

(현행과 같음)

(현행과 같음)

(현행과 같음)

JS015

요양시설
가정간호

9(11)

가정간호를 요양시설(노인장기요양법에 따른 장기요양기관 포함)에서 제공하는 경우 요양시설 기호를 기재

JT001

~JX999

(현행과 같음)

(현행과 같음)

(현행과 같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