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청.의약 안전성,허가사항관련

의료기기 안전성 정보 안내[인공유방]2019.2.13

야국화 2019. 2. 15. 10:22

의료기기 안전성 정보 안내[인공유방]2019.2.13
1. 관련근거: 식품의약품안전처 의료기기안전평가과-1012(2019.2.11.)

2. 미국 FDA에서 모든 유형의 '인공유방'으로 인한 역형성 대세포 림프종(BIA-ALCL) 부작용 발생 위험에

    대해 의료인 대상 권고사항을 발표(2019.2.6.)하였습니다.

3. 관련 정보와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18.12월에 배포한 '실리콘겔인공유방(유방보형물) 부작용 예방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붙임과 같이 안내하니 업무에 참고하여 주기시 바라며, 의료기기 부작용 등 이상사례를 인지

    하는 경우에는 식품의약품안전처 홈페이지(https://emed.mfds.go.kr → 보고마당 → 이상사례보고) 또는

    유선(의료기기안전평가과: 043-719-5007, 5015)으로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붙임1. 인공유방 해외 안전성 정보 및 권고사항


                                 인공유방 해외 안전성 정보 및 권고사항

 □ 해외 안전성 정보 요약
 ❍ 미국 식품의약품청(FDA)에서 모든 유형의 ‘인공유방’으로 인한 역형성 대세포 림프종* 부작용 발생 위험

     에 대해 의료인 대상 권고사항 발표(‘19.2.6.)
   - 특히 유방보형물 주위에 새로운 부기(swelling), 덩어리(lumps), 통증이 있는 환자의 경우 악성 종양 여부

      에 대한 신속한 진단 등이 필요하다고 공지
   * BIA-ALCL(Breast Implant Associated-Anaplastic Large Cell Lymphoma): 면역체계와 관련된 희귀한

     암의 한 종류로 유방암과는 별개의 질환임
 ** 정보출처: https://www.fda.gov/MedicalDevices/Safety/LetterstoHealthCareProviders/ucm630863.htm


□ 의료인 권고사항


• 보형물 이식 이전에 모든 환자에게 해당 의료기기 제조사가 제공한 라벨 정보 및 교육 자료를

  제공하고, 다른 유형의 보형물에 대한 유익성과 위해성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시기 바람
   * 대부분의 BIA-ALCL 확진 사례는 거친 표면 보형물을 가진 환자에게서 발생하였지만, 매끄러운

     표면을 가진 유방 보형물만을 이식한 환자에게서도 확인된 사례가 있음
이식 후기 보형물 주변에 장액종(seroma)이 발병한 환자를 치료 시, 역형성 대세포 림프종

   (BIA-ALCL) 발생 가능성을 고려하시기 바람
  - 장액(seroma fluid)과 피막을 채취하여 병리학 검사를 시행하시기 바람
보형물 이식 환자에 대한 개별화된 치료계획 마련하시기 바람


. 실리콘겔 인공유방(유방보형물) 부작용 예방을 위한 가이드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