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

2030년 간호사 15만8천명, 의사 7천600명 부족 전망

야국화 2017. 5. 4. 09:13

2030년 간호사 158천명, 의사 7600명 부족 전망

보건복지부, 의료인력 수급관리 대책 나서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하 보사연)2017년 주요 보건의료인력 중장기 수급전망연구결과,

향후 보건의료인력 부족문제가 심화될 것으로 분석됨에 따라 적정 인력 수급관리를 위한 중장기 대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보사연 연구결과에 따르면 2030의사는 7600, 간호사는 158천명, 약사는 1만명부족하고, 치과의사는 3천명, 한의사는 1400과잉 공급되는 것으로 추계되었다.

<2017년 주요 보건의료인력 중장기 수급전망(보사연)>

(단위 : )

구분

2030년 수급(공급-수요) 차이

면허등록인원

입학정원

의사

-7,646

125,103

3,058

치과의사

3,030

30,915

750

한의사

1,391

25,412

750

간호사

-158,554

359,196

19,183

약사

-10,742

70,858

1,700

1) 수급차이는 근무일수 265일을 기준으로 의료인력 1인당 환자 수(`12년 기준)를 동일하게 유지한다고 가정

2) 면허등록인원은 사망자 포함한 총 인원 , 3) 입학정원은 2017년 기준(정원 외 입학 제외)

2030 의사 부족인원총 면허등록 인원(125천명)6.1%에 해당하는 규모이며, 약사 부족인원총 면허등록 인원(7만명)15.2% 수준의 규모이다.

 

- 참고로 한 해 신규 배출인력의 기준이 되는 대학 입학정원은 2017년 기준으로 의대는 3,058, 약대는 1,700.

 

특히 간호사의 경우에는 2030총 면허등록 인원 359천명의 44.1% 달하는 규모가 부족한 것으로 전망되어, 의료인력 중 수급 불균형 문제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 2017년 간호대 입학정원은 19,183

 

- 또한 연구결과 간호사 직업활동률(의료기관+비의료기관)70.7%분석되어, 전문대졸 이상 여성 고용률(62.7%)과 비교했을 때 간호사에 대한 사회적 수요가 높은 수준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한편, 이러한 의사, 간호사 등의 인력부족 전망OECD 국가들과의 활동인력 수준을 비교한 지표와도 맥을 같이 한다.

 

- 인구 1천 명당 활동인력 수를 살펴 볼 때, OECD 평균* 의사 3.3, 간호인력 9.5인데 반해, 한국의사 2.3(한의사 포함), 간호인력 6.0(간호조무사 포함)에 불과하다.

 

그 간 신규 의료인력이 꾸준히 배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일부 직종의 인력 부족문제가 여전히 심각한 것은,

 

최근 환자안전 및 감염관리 기준 강화, 간호·간병통합서비스 확대 의료서비스 질 제고를 위한 제도개선,

 

해외환자 유치 증가 등 보건의료 환경 변화 등에 따라 의료인력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것이 주요 원인으로 파악되었다.

 

보건복지부는 이번 연구결과를 고려하여 적정 규모의 의사, 간호사, 약사 인력의료현장에 충원될 수 있도록,

 

신규 인력 배출규모 증가, 유휴인력 재고용 추진, 경력단절 방지 보건의료인력 중장기 수급관리 대책조속히 마련할 계획이다.

 

한편, 이번 연구는 그 간 5년마다 실시해오던 정기연구와 달리 새로운 의료환경 변화를 기민하게 반영하기 위해 진행한 중간 연구적 성격을 갖는다.

 

보건복지부는 중간연구의 한계직종별 평균 근무일수 차이, 지역간·의료기관 간 분포 등이 반영되지 않은 점을 감안하여,

 

- 2019년 정기적인 수급추계 연구다양한 기준들을 현실에 맞게 재정비하고 보완하여 실시할 예정이다.

붙임

 

관련 통계

 

1.‘2017년 주요 보건의료인력 중장기 수급전망연구 주요통계

 

보건의료인력 활동현황

인력구분

면허등록인력 (A)

가용인력* (B)

활동인력** (C)

(C/B)

의사

125,103

114,126

101,450

88.9

치과의사

30,915

28,294

25,315

89.5

한의사

25,412

22,057

19,959

90.5

간호사

359,196

336,268

237,744

70.7

약사

70,858

57,136

41,785

73.1

* 가용인력=면허등록자-(사망자+해외이주자+은퇴자), ** 활동인력=보건분야+비보건의료계 분야 (2017년 보사연)

 

보건의료인력 수급추계 연구결과

(단위: )

인력구분

2020

2025

2030

의사

-1,837

-4,339

-7,646

치과의사

1,566

2,367

3,030

한의사

1,084

1,364

1,391

간호사

-110,065

-126,371

-158,554

약사

-7,139

-8,950

-10,742

* ARIMA 모형, 근무일수 265일 기준, 현재 의료인력 1인당 환자 수(`12년 기준)를 동일하게 유지한다고 가정

 

2. 입학정원 배정추이

인력구분

’13

’14

’15

’16

’17

`18

의사

3,058

3,058

3,058

3,058

3,058

3,058

치과의사

750

750

750

750

750

750

한의사

750

750

750

750

750

750

간호사

17,783

18,283

19,183

19,183

19,183

19,683

약사

1,700

1,700

1,700

1,700

1,700

1,700

* 정원 외 입학 제외, 교육부 실제 배치인원과 다를 수 있음

 

3. 인구 천 명당 활동인력 수 비교

구분

OECD

평균

2015(or nearest year)

한국

(최대)

(최소)

기타 국가

활동의사인력

3.3

(28개국)

2.3

5.1

(오스트리아)

2.2

(멕시코)

미국: 2.6

일본: 2.4

활동간호인력

9.5

(26개국)

6.0

17.6

(스위스)

2.7

(멕시코)

독일: 13.1

일본: 11.0

* 2016 OECD HEALTH 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