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평원, 요양병원 적정성 평가 소송 승소 | |||||
---|---|---|---|---|---|
담당부서 | 법무지원단, 법규송무부 | 작성일 | 2015.04.14 | 조회수 | |
심평원, 요양병원 적정성 평가 소송 승소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손명세, 이하 심평원)은 “지난 4월 2일, 요양병원 입원급여 적정성 평가와 관련하여 A요양병원이 서울행정법원에 제기한 ‘환류대상기관 결정 통보처분 취소 청구의 소’에서 승소했다.”고 밝혔다.
A요양병원은「2013년도(5차) 요양병원 입원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약 1,100개 요양병원 중 구조부문․진료부문에서 모두 하위 20% 이하에 해당한다는 이유로 환류처분을 받았고, 이에 대해 행정소송을 제기하였다.
환류처분은 요양병원 입원급여 적정성 평가 결과가 구조부문․진료부문 모두 하위 20% 이하에 해당하는 요양병원에 대하여 ‘의사나 간호인력 확보에 따른 입원료 가산’ 및 ‘물리치료사 등 필요 인력 확보에 따른 별도 보상’에서 제외하는 처분이다.
A요양병원이「2013년도(5차) 요양병원 입원급여 적정성 평가」의 절차, 대상, 방법 전반에 대하여 위법하다고 주장하는데 대하여, 법원의 판단은 A요양병원의 주장을 모두 배척함으로써 현재 위 평가제도가 적법하게 시행되고 있음을 인정하였다.
하지만, 법원은 ▲다른 요양병원들은 대부분 그 기한 내에 의견을 제출한 점 등에 비추어 의견제출기간이 부족한 기간이라 볼 수 없고, ▲ 환류처분과 가감지급처분은 근거 규정이 달라 서로 별개의 처분이므로 환류처분에는 가감지급처분 관련 규정(가감지급기준 고시 제11조․제13조)이 적용되지 않는다고 판단하였다. ▲적정성 평가방법에 대해서는 심사평가원이 재량권을 가지므로 시설 및 장비는 일정한 기준만 넘으면 충분하고, 인력을 중심으로 우열을 평가하는 것이 합리성을 결여하였다고 보기 어렵고 ▲환자의 구체적인 증상에 대한 치료보다는 간호나 재활에 더 중점을 두는 요양병원의 특수성을 고려하면, 적정성 평가에서 진료과목이 아닌 인력 현황이나 환자의 상태를 평가지표로 하여 조사하였더라도 적법하다고 판단하였다. ▲진료비 청구명세서 및 환자평가표를 허위로 작성할 경우 병원에 부과되는 국민건강보험법상의 제재에 비추어 그 자료는 진실성이 담보되고 ▲이 사건 처분을 통해 의료서비스의 질이 낮은 요양병원의 시정을 촉구함으로써 의료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고 환자들의 건강을 보호하려는 공익이 이 사건 처분으로 입을 A요양병원의 불이익보다 크므로 비례원칙에 위배되지 않는다고 판단하였다.<첨부>
※ 세부내역 첨부 파일 참조
| |||||
첨부파일 |
'노인장기요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기요양급여 제공기준 및 급여비용 산정방법 등에 관한 고시 개정안 입안예고 (0) | 2015.07.07 |
---|---|
요양병원 타 기관 위탁진료 및 원외처방약제비 집중심사 안내 (0) | 2015.05.26 |
2014년 장기요양기관 현지조사 결과 178억원 부당청구 적발 (0) | 2015.03.03 |
2015-12호 청구 (0) | 2015.02.12 |
(고시 제2015-11호, 12호) 요양병원 관련 행위 급여ㆍ비급여 목록표 등 개정고시 안내 (0) | 2015.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