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

폭염 대비 국민 행동 요령

야국화 2013. 8. 7. 15:34

장마 후 본격적인 폭염, 한낮 야외작업 및 활동 자제

폭염 건강피해 감시결과 7월말(6.2∼7.31)까지 총 453명 온열질환자 발생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는 전국 435개 응급의료기관을 통해 운영 중인 「폭염으로 인한 온열질환 감시체계」의 7월 운영 결과(6.2∼7.31)를 발표하였다.

* 「폭염으로 인한 온열질환 감시체계」 운영 결과(붙임 1)

7월말까지 운영결과, 총 453명의 온열질환자가(열사병 127명, 열탈진 192명, 열경련 75명, 열실신 59명) 발생 하였고 이중 2명은 사망자였다.

* 2012년 동기간(6.1∼7.31) 온열질환자 435명, 사망자 7명

온열질환자 사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남자가(319명, 70.4%) 여자보다 많았고 연령대는 60대가(115명, 25.4%) 가장 많았다.

시간대별로는 오후 15시∼18시가(115명, 25.4%)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발생 장소로는 실외(369명, 81.5%)가 실내(84명 18.5%)보다 약 4.3배 정도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실외에서도 작업장(110명, 24.3%), 논밭(88명, 19.4%)이 상대적으로 폭염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건복지부는 장마가 끝나는 8월 둘째주부터 전국적으로 폭염이 기승을 부릴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폭염에 특히 취약한 독거노인 및 만성질환자(고혈압, 심장병, 당뇨 등)는 특별히 주의해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폭염이 집중되는 12시∼17시 사이에는 되도록 실외활동을 자제하고, 불가피하게 실외에서 활동 및 작업하는 경우에는 충분한 휴식과 수분섭취를 하여야 하며,

특히 주변에서 온열질환자 발생이 의심되면 즉시 119로 연락하여 반드시 응급처치를 받아야 함을 당부하였다.

아울러, 보건복지부는 하절기 무더위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9월까지 「폭염으로 인한 온열질환 감시체계」를 각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더욱 철저히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첨부

hwp [8.6.화.석간]_장마_후_본격적인_폭염,_한낮_야외작업_및_활동_자제.hwp (631 KB / 다운로드 : 164)

 

참고자료 1

 

폭염 대비 국민 행동 요령

 

가장 우선적인 핵심 행동 수칙

물을 마십시다.

갈증을 느끼지 않아도 규칙적적으로, 자주 물, 스포츠음료나 과일 주스를 마십시다.

시원하게 지냅시다.

- 헐렁하고 밝은 색깔의 가벼운 옷을 입습니다.

- 햇볕을 차단합니다. (양산, 모자)

- 실내온도를 적정수준(26)으로 유지합니다.

- 시원한 물로 목욕 또는 샤워를 합시다.

더운 시간대에는 휴식합시다.

오전 12시부터 오후 5시까지의 가장 더운 시간대에는 휴식을 취합시다.

갑자기 날씨가 더워질 경우 자신의 건강상태를 살피며 활동의 강도를 조절

 

폭염 특보시 하지 말아야 할 사항

< 이것만은 피해주세요! / 이렇게 하지 마세요! >

 

술이나 카페인이 들어있는 음료(커피)는 마시지 마세요.

어둡고 달라붙는 옷은 입지 마십시요.

오전 12시에서 오후 5시 사이에는 야외활동 및 작업은 피하십시요.

뜨겁고 소화하기 힘든 음식은 먹지마십시요.

가스렌지나 오븐의 사용은 집안의 온도를 높일 수 있으므로 자제하십시요.

창문과 문이 닫힌 상태에서 선풍기를 틀지 마십시요.

 

지역사회 폭염으로 인한 건강피해를 최소화 하기 위해 지켜야 할 사항

< 꼭 지켜주세요! / 이렇게 하세요! >

 

주변 사람의 건강을 살핍니다.

- 독거노인, 아픈 사람 또는 폭염으로 인해 주변에 도움을 필요로 하는 연약한 사람들을 방문하거나 전화 등으로 건강 등을 확인하여 도움을 주십시요.

주정차 된 차에 어린이나 동물을 혼자 두지 않습니다.

응급환자가 발생하면 119에 전화 후 다음의 응급처치를 취합니다.

- 폭염으로 인한 온열질환에 대한 응급처치 방법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구 분

열사병

열탈진

증 상

의 식

없음

있음

체 온

40도이상

약간 높거나 정상

피 부

건조하고 뜨거움

축축하고 땀이 많이 남

기 타

심한두통, 오심 및 구토

두통, 경련, 피곤, 무기력

처치방법

단계 1

119전화

시원한 곳으로 옮김

단계 2

시원한 곳으로 옮김

물을 마시게 함

단계 3

넥타이나 윗단추 등을 풀어줌

넥타이나 윗단추 등을 풀어줌

참고자료 2

 

온열질환의 증상 및 응급상황 행동 요령

< 온열질환별 증상 및 응급조치 요령 >

종류

증 상

응급조치

열발진

다발성 붉은 뾰루지 또는 소수포

- , 가슴 상부, 서혜부,

유방밑, 팔꿈치 안쪽

시원하고 건조한 장소로 옮김

- 소수포 등이 난 부위에는 건조하게 유지

살포제(dusting powder)

열부종성

발이나 발목의 부종

시원한 장소에서 발을 높인 자세로 휴식

열실신

가벼운 두통

어지러움

실신(일시적 의식소실)

시원한 장소로 옮겨 평평한 곳에 눕힘

, 스포츠 음료나 주스 등을 천천히 마심

열경련

근육경련

- , 다리, 복부, 손가락

서늘한 곳에서 휴식

스포츠 음료나 주스(투명과즙) 등을 마심

* 0.1% 식염수(1에 소금 1티스푼)정도 섞어 마심

경련이 일어난 근육을 마사지

* 경련이 멈추었다고 해서 바로 다시 일을 시작하면 안됨

바로 응급실에 방문을 해야 하는 경우

- 1시간 넘게 경련이 지속

- 기저질환으로 심장질환이 있는 경우

- 평상시 저염분 식이요법을 한 경우

열탈진

땀을 많이 흘림(과도한 발한)

- 차고 젖은 피부

극심한 무력감과 피로

창백함

근육경련

오심 또는 구토

혼미, 어지럼증(현기증)

체온은 크게 상승하지 않음

시원한 곳 또는 에어컨이 있는 장소에서 휴식

스포츠 음료나 주스(투명과즙) 등을 마심

* 0.1% 식염수(1에 소금 1티스푼)정도 섞어 마심

시원한 물로 샤워를 하거나 목욕

증상이 한시간 이상 되거나 회복되지

않을 경우는 의료기관 진료

- 병원에서 수액을 통해 수분과 염분을 보충

열사병

40도가 넘는 체온(직장 온도)

땀이 나지 않아 건조하고 뜨거운 피부

중추신경 기능장애

- 헛소리, 혼수상태
- 심한 두통

오한

빈맥, 빈호흡, 저혈압

뇌병증, 횡문근 융해증,

신부전, 급성호흡부전증후, 심근손상, 간손상, 허혈성 장손상, 취장손상, 범발성 혈간내 응고장애, 혈소판 감소증 등

119에 즉시 신고하고 기다리는 동안 다음과

같은 처치 시행

- 환자를 시원한 장소로 옮김

- 환자의 옷을 시원한 물로 적시고 몸을

선풍기 등으로 바람을 불어줌

* 이때 환자의 체온이 너무 떨어지지 않도록 주의

* 의식이 없는 환자에게 음료를 마시도록 하는 것은

위험하니 절대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