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재,자보 관련

(별첨 5)수탁기관 통보 확인결과 통보서 처리 사유별 코드

야국화 2013. 6. 10. 18:15

(별첨 5)

수탁기관 통보 확인결과 통보서 처리 사유별 코드

 

코 드

내 역

01

서식번호 기재착오

03

수탁기관으로 인증된 기관이 아닌 경우 또는 위탁기관기호 착오

09

총건수 불일치

11

직접지급

20

처리기간(60)경과

2K

코드구분 또는 코드 기재착오 및 누락

2B

진료수가 산정기준 적용착오

2F

증빙자료 미제출 등

(별첨 6)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른 감염병 상병분류기호

 

분 류

상 병 명

분류기호

정 의

1

콜레라(Cholera)

A000~A009

콜레라균(Vibrio cholerae O1 O139 혈청형) 감염에 의한 급성 설사 질환

장티푸스

(Typhoid fever)

A010, Z220

장티푸스균(Salmonella Typhi) 감염에 의한 급성 전신성 발열성 질환

파라티푸스

(Paratyphoid fever)

A011~A014

파라티푸스균(Salmonella Paratyphi A, B, C) 감염에 의한 급성 전신성 발열성 질환

세균성이질(Shigellosis, Bacillary dysentery)

A030~A039

이질균(Shigella spp.) 감염에 의해 급성 염증성 장염을 일으키는 질환

장출혈성대장균

(Entero hemorrhagic

Escherichia coli)감염증

A043

장출혈성대장균(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감염에 의하여 출혈성 장염을 일으키는 질환

A형간염

(Viral hepatitis A)

B150~B159

A형 간염 바이러스(Hepatitis A virus)에 의한 급성 감염 질환

2

디프테리아

(Diphtheria)

A360~A369

디프테리아균(Corynebacterium diphtheriae) 감염에 의한 호흡기 점막과 피부의 국소 질환

백일해(Pertussis)

A370~A379

백일해균(Bordetella pertussis) 감염에 의한 급성 호흡기 질환

파상풍(Tetanus)

A33~A35

파상풍균(Clostridium tetani)이 생산하는 테타노스파스민(tetano-spasmin) 독소가 신경계를 침범하여 근육의 긴장성 연축을 일으키는 질환

홍역(Measles)

B050~B059

홍역 바이러스(Measles virus) 감염에 의한 급성 발열성 발진성 질환

유행성이하선염

(Mumps)

B260~B269

유행성이하선염 바이러스(Mumps virus) 감염에 의하여 나타나는 이하선 부종이 특징적인 급성 발열성 질환

풍진(Rubella)

B060~B069, P350

풍진 바이러스(Rubella virus) 감염에 의한 급성 발열성 질환

폴리오(Poliomyelitis)

A800~A809

폴리오바이러스(Poliovirus)에 의하여 급성 이완성 마비를 일으키는 질환

B형간염

(Viral

hepatitis B)

급성

B160~B169

B형 간염 바이러스(Hepatitis B virus) 감염에 의한 질환

주산기

P353, Z225

산모

O984, B160~B169

B180~B181, Z225

일본뇌염(Japanese

encephalitis)

A830

일본뇌염 바이러스(Japanese encephalitis virus)에 의한 급성 중추신경계 감염 질환

수두(Varicella)

B010~B019, P358

수두 바이러스(Varicella Zoster Virus)에 의한 급성 발진성 전염병

분 류

상 병 명

분류기호

정 의

3

말라리아(Malaria)

B500~B538

Plasmodium(P. vivax, P. ovale, P. malariae,

P. falciparum)에 속하는 원충감염에 의한 급성 발열성 질환

결핵(Tuberculosis)

A150~A199

)

Mycobacterium tuberculosis complex (M. tuber culosis, M. bovis, M. africanum, M. canetti, M. microti, M. pinnipedii ) 감염에 의한 질환

(이 중, 인수공통질환인 결핵은 Mycobacterium bovis 감염에 의한 질환임)

한센병(Hansen‘s

disease, Leprosy)

A300~A309

한센간균(Mycobacterium leprae) 감염에 의한 질환

성홍열(Scarlet fever)

A38

베타용혈성연쇄구균(Group A β-hemolytic Streptococci) 발열성 외독소에 의한 급성 발열성 질환

수막구균성수막염

(Meningococcal

meningitis)

A390 & G01

수막염균(Neisseria meningitidis) 감염에 의한 급성 중추신경계 질환

레지오넬라증

(Legionellosis)

A481, A482

병원성 레지오넬라균(Legionella species) 감염에 의한 급성 호흡기 질환

비브리오패혈증

(Vibrio vulnificus sepsis)

A4152

비브리오 불니피쿠스균(Vibrio vulnificus) 감염에 의한 급성 패혈증

발진티푸스

(Epidemic typhus)

A750

Rickettsia prowazekii 감염에 의한 급성 발열성 질환

발진열

(Murine typhus)

A752

Rickettsia typhi 감염에 의한 급성 발열성 질환

쯔쯔가무시증

(Scrub typhus)

A753

Orientia tsutsugamushi 감염에 의한 급성 발열성 질환

렙토스피라증

(Leptospirosis)

A270~A279

렙토스피라균(Leptospira species) 감염에 의한 인수공통질환

브루셀라증

(Brucellosis)

A230~A239

브루셀라균(B. melitensis, B. arbotus, B. suis, B. canis ) 감염에 의한 인수공통질환

탄저(Anthrax)

A220~A229

탄저균(Bacillus anthracis) 감염에 의한 인수공통질환

공수병(Rabies)

A820~A829

공수병 바이러스(Rabies virus)의 신경계 감염으로 뇌척수염을 일으키는 질환

신증후군출혈열

(유행성출혈열)

(Hemorrhagic Fever

with Renal Syndrome)

A985

한탄 바이러스(Hantaan virus)와 서울 바이러스(Seoul virus) 등 감염에 의한 급성 발열성 질환

분 류

상 병 명

분류기호

정 의

3

인플루엔자(Influenza)

J100~J118

인플루엔자 바이러스(Influenza virus A, B, C) 감염에 의한 급성 호흡기 질환

후천성면역결핍증(AIDS)

B200~B24, Z21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Human immunodeficiency virus) 감염에 의한 질환

매독(Syphilis)

A500~A509

A510~A519

매독균(Treponema pallidum)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성기 및 전신 질환

크로이츠펠트-야콥병

(Creutzfelt-Jakob disease) 변종 크로이츠펠트

-야콥병(vCJD)

A810~A819

변형 프리온 단백(abnormal prion protein)이 중추신경계에 축적되어 중추신경계의 변성을 유발함으로써 특정 신경학적 소견을 나타내는 질환

4

페스트(Plague)

A200~A209

페스트균(Yersinia pestis) 감염에 의한 급성 발열성 인수공통질환

황열(Yellow fever)

A950~A959

황열 바이러스(Yellow fever virus) 감염에 의한 급성 발열성 질환

뎅기열(Dengue fever)

A90, A91

뎅기 바이러스(Dengue virus) 감염에 의한 급성 발열성 질환

바이러스성출혈열(Viral hemorrhagic fever)

A96~A99

에볼라 바이러스(Ebola virus), 마버그 바이러스(Marburg virus), 라싸 바이러스(Lassa virus) 등 출혈열 바이러스(hemorrhagic fever viruses) 감염에 의한 급성 발열성 출혈성 질환

두창(Smallpox)

B03

두창 바이러스(variola virus) 감염에 의한 급성 발진성 질환

보툴리눔독소증

(Botulism)

A051

보툴리누스균(Clostridium botulinum)이 생산하는 독소(A, B, E, F)에 의한 급성, 대칭성, 진행성의 신경마비 질환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

U049

사스코로나바이러스(SARS-CoV)에 의한 급성호흡기 감염병

조류인플루엔자 인체감염증(Avian

influenza infection

in humans)

J09

조류 인플루엔자(20105월 현재H5N1) 바이러스의 인체 감염에 의한 급성호흡기감염병

신종인플루엔자

(Novel influenza)

J09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대변이에 의해 출현한 새로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인체 감염에 의한 급성호흡기감염병

야토병(Tularemia)

A210~A219

야토병균(Francisella tularensis)감염에 의한 인수공통 질환

분 류

상 병 명

분류기호

정 의

4

큐열(Q fever)

A78

큐열균(Coxiella burnetii)에 의한 인수공통 질환

웨스트나일열

(West Nile fever)

A923

웨스트나일(West Nile)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급성 중추신경계 질환

신종감염병증후군

B99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발견된 감염병 또는 병명을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새로 발생한 감염성증후군으로서 1군감염병 내지 제4군감염병 또는 지정전염병에 속하지 않으며 입원치료가 필요할 정도로 병상이 중대하거나 급속한 전파, 또는 확산이 우려되어 환자격리 및 역학조사와 방역대책 등의 조치가 필요한 질환

라임병

(Lyme Borreliosis)

A692

보렐리아속균(Borrelia burgdorferi, Borrelia afzelii, Borrelia garinii) 감염에 의한 진드기매개 감염병

진드기매개뇌염

(Tick-borne

Encephalitis)

A840~A849

플라비 바이러스(flavivirus)에 속하는 진드기 매개 뇌염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증

유비저(Melioidosis)

A241~A244

유비저균(Burkholderia pseudomallei)에 의한 감염증

치쿤구니야열

(Chikungunya fever)

A920

치쿤구니야 바이러스(chikungunya virus)에 의한 감염증

5

회충증(Ascaris

lumbricoides

infection)

B770~B779

회충 충란내의 제2기 유충(자충포장란) 감염에 의한 기생충 질환

편충증(Trichuris trichiura infection)

B79

편충(Trichuris trichiura) 감염에 의한 대장 상부 기생충질환

요충증(Enterobius

vermicularis

infection)

B80

요충((Enterobius vermicularis) 감염에 의한 맹장 및 항문 기생충질환

간흡충증

(Clonorchiasis)

B661

간흡충(Clonorchis sinensis) 감염에 의한 간 및 담도 기생충질환

폐흡충증

(Paragonimiasis)

B664

폐흡충(Paragonimus westermani) 감염에 의한 폐내 기생충질환

장흡충증(Intestinal

trematodas)

B665

요코가와흡충(Matagonimus yokogawai) 감염 등에 의한 장내기생충질환

C형간염

(Viral hepatitis C)

B171, B182

C형 간염 바이러스(Hepatitis C virus)에 감염에 의한 질환

수족구병(Hand, foot and mouth disease)

B084

엔테로바이러스군(Enterovirus group)에 속하는 바이러스에 의해 주로 소아에게 유행하는 급성 바이러스성 질환

임질(Gonorrhea)

A540~A549

(Neisseria gonorrhoeae) 감염에 의해 주로 요도염이나 자궁경부염 등을 일으키는 질환

분 류

상 병 명

분류기호

정 의

 

클라미디아 (Chlamydial disease)감염증

A55~A568

클라미디아 트라코마티스균(Chlamydia trachomatis) 감염에 의한 요도염이나 자궁경부염 등의 성기부위 질환

연성하감(Chancroid)

A57

헤모필루스 두크레이균(Hemophilus ducreyi) 감염에 의한 성기나 회음부의 통증성 궤양성 질환

성기단순포진

(Genital herpes)

A600~A609

2형 단순포진 바이러스(Herpes simplex virus type II) 감염에 의한 성기부위의 수포성 질환

첨규콘딜롬

(Condyloma acuminata)

A630

사람 유두종 바이러스(Human papilloma virus) 감염에 의한 성기 주변의 사마귀성 질환

반코마이신내성황색포도알균(VRSA)감염증

___ & U810

반코마이신에 대한 감수성이 저하된 황색포도알균(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에 의한 감염질환

반코마이신내성장알균(VRE))감염증

___ & U810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에 의한 감염질환

메티실린내성황색포도알균(MRSA)감염증

___ & U801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얄균(Methicillin -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에 의한 감염 질환

다제내성녹농균

(MRPA)감염증

___ & U888

카바페넴계,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플로로퀴놀론계 항생제에 모두 내성인 다제내성녹농균(Multidrug -Resistant pseudomonas aeruginosa)에 의한 감염 질환

다제내성아시네토박터바우마니균(MRAB)

감염증

___ & U888

카바페넴계,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플로로퀴놀론계 3개 계열 항생제내성 다제내성아시네토박터바우마니균(Multidrug-Resistant Acinectobacter bauma nii)에 의한 감염 질환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속균종(CRE)감염증

___ & U898

카바페넴계 항생제에 내성 장내세균속 균종(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에 의한 감염 질환

살모넬라균 감염증(Salmonellosis)

A020

비장티푸스 살모넬라균(non-typoid Salmonella , S.Enteritidis, S.Typhimurium )의 감염에 의한 급성위장관염

장염비브리오균

감염증(Vibri

parahemolyticus

gastrosenteritis)

A053

장염비브리오균(V.parahemolyticus)의 감염에 의한 급성위장관염

장독소성대장균

감염증(ETEC)

A041

장독소성대장균(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감염에 의한 급성위장관염

장침습성대장균

감염증(EIEC)

A042

장침습성대장균(Enteroinvasive Escherichia coli)의 감염에 의한 급성위장관염

분 류

상 병 명

분류기호

정 의

 

장병원성대장균

감염증(EPEC)

A040

장병원성대장균(Enteropathogenic Escherichia coli)의 감염에 의한 급성위장관염

캄필로박터균 감염증(Campylobacterosis)

A045

캄필로박터균(C.jejuni, C.coli)의 감염에 의한 급성위장관염

클로스트리듐

퍼프린젠스 감염증

(Clostridium

perfringens

enteritis)

A052,

A048 & B967

클로스트리듐 퍼프린젠스 장독소(CPE, C.perfringens enterotoxin)에 의하여 발생하는 급성위장관염

황색포도알균 감염증(Staphylococcus

aureus Intoxication)

A050 & B956

황색포도알균(Staphylococcus aureus)이 증식하여 만들어내는 장독소에 의한 급성위장관염

바실루스 세레우스균 감염증(Bacillus

cereus gastroenteritis)

A054

바실루스 세레우스(B.cereus)가 만들어내는 장독소에 의한 급성위장관염

예르시니아 엔테로콜리티카 감염증

(Yersiniosis)

A046

예르시니아 엔테로콜리티카(Yersinia enterocolitica) 감염에 의한 급성위장관염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감염증

(Listeriosis)

A328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Listeria monocytogenes) 감염에 의한 위장관염

그룹 A형 로타

바이러스 감염증

(Rotaviral

gastroenteritis)

A080

그룹 A형 로타바이러스(Rotavirus)의 감염에 의한 급성위장관염

아스트로바이러스 감염증(Astroviral gastroenteritis)

A083

아스트로바이러스(Astrovirus)의 감염에 의한 급성위장관염

장내아데노바이러스 감염증

(Adenoviral

gastroenteritis)

A082 & B970

아데노바이러스(Adenovirus)의 감염에 의한 급성위장관염

노로바이러스 감염증(Noroviral

gastroenteritis)

A083

노로바이러스(Norovirus)의 감염에 의한 급성위장관염

사포바이러스 감염증(Sapoviral

gastroenteritis)

A083

사포바이러스(Sapovirus)의 감염에 의한 급성위장관염

분 류

상 병 명

분류기호

정 의

4

큐열(Q fever)

A78

큐열균(Coxiella burnetii)에 의한 인수공통 질환

웨스트나일열

(West Nile fever)

A923

웨스트나일(West Nile)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급성 중추신경계 질환

신종감염병증후군

B99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발견된 감염병 또는 병명을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새로 발생한 감염성증후군으로서 1군감염병 내지 제4군감염병 또는 지정전염병에 속하지 않으며 입원치료가 필요할 정도로 병상이 중대하거나 급속한 전파, 또는 확산이 우려되어 환자격리 및 역학조사와 방역대책 등의 조치가 필요한 질환

라임병

(Lyme Borreliosis)

A692

보렐리아속균(Borrelia burgdorferi, Borrelia afzelii, Borrelia garinii) 감염에 의한 진드기매개 감염병

진드기매개뇌염

(Tick-borne

Encephalitis)

A840~A849

플라비 바이러스(flavivirus)에 속하는 진드기 매개 뇌염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증

유비저(Melioidosis)

A241~A244

유비저균(Burkholderia pseudomallei)에 의한 감염증

치쿤구니야열

(Chikungunya fever)

A920

치쿤구니야 바이러스(chikungunya virus)에 의한 감염증

5

회충증(Ascaris

lumbricoides

infection)

B770~B779

회충 충란내의 제2기 유충(자충포장란) 감염에 의한 기생충 질환

편충증(Trichuris trichiura infection)

B79

편충(Trichuris trichiura) 감염에 의한 대장 상부 기생충질환

요충증(Enterobius

vermicularis

infection)

B80

요충((Enterobius vermicularis) 감염에 의한 맹장 및 항문 기생충질환

간흡충증

(Clonorchiasis)

B661

간흡충(Clonorchis sinensis) 감염에 의한 간 및 담도 기생충질환

폐흡충증

(Paragonimiasis)

B664

폐흡충(Paragonimus westermani) 감염에 의한 폐내 기생충질환

장흡충증(Intestinal

trematodas)

B665

요코가와흡충(Matagonimus yokogawai) 감염 등에 의한 장내기생충질환

C형간염

(Viral hepatitis C)

B171, B182

C형 간염 바이러스(Hepatitis C virus)에 감염에 의한 질환

수족구병(Hand, foot and mouth disease)

B084

엔테로바이러스군(Enterovirus group)에 속하는 바이러스에 의해 주로 소아에게 유행하는 급성 바이러스성 질환

임질(Gonorrhea)

A540~A549

(Neisseria gonorrhoeae) 감염에 의해 주로 요도염이나 자궁경부염 등을 일으키는 질환

분 류

상 병 명

분류기호

정 의

 

클라미디아 (Chlamydial disease)감염증

A55~A568

클라미디아 트라코마티스균(Chlamydia trachomatis) 감염에 의한 요도염이나 자궁경부염 등의 성기부위 질환

연성하감(Chancroid)

A57

헤모필루스 두크레이균(Hemophilus ducreyi) 감염에 의한 성기나 회음부의 통증성 궤양성 질환

성기단순포진

(Genital herpes)

A600~A609

2형 단순포진 바이러스(Herpes simplex virus type II) 감염에 의한 성기부위의 수포성 질환

첨규콘딜롬

(Condyloma acuminata)

A630

사람 유두종 바이러스(Human papilloma virus) 감염에 의한 성기 주변의 사마귀성 질환

반코마이신내성황색포도알균(VRSA)감염증

___ & U810

반코마이신에 대한 감수성이 저하된 황색포도알균(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에 의한 감염질환

반코마이신내성장알균(VRE))감염증

___ & U810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에 의한 감염질환

메티실린내성황색포도알균(MRSA)감염증

___ & U801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얄균(Methicillin -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에 의한 감염 질환

다제내성녹농균

(MRPA)감염증

___ & U888

카바페넴계,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플로로퀴놀론계 항생제에 모두 내성인 다제내성녹농균(Multidrug -Resistant pseudomonas aeruginosa)에 의한 감염 질환

다제내성아시네토박터바우마니균(MRAB)

감염증

___ & U888

카바페넴계,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플로로퀴놀론계 3개 계열 항생제내성 다제내성아시네토박터바우마니균(Multidrug-Resistant Acinectobacter bauma nii)에 의한 감염 질환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속균종(CRE)감염증

___ & U898

카바페넴계 항생제에 내성 장내세균속 균종(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에 의한 감염 질환

살모넬라균 감염증(Salmonellosis)

A020

비장티푸스 살모넬라균(non-typoid Salmonella , S.Enteritidis, S.Typhimurium )의 감염에 의한 급성위장관염

장염비브리오균

감염증(Vibri

parahemolyticus

gastrosenteritis)

A053

장염비브리오균(V.parahemolyticus)의 감염에 의한 급성위장관염

장독소성대장균

감염증(ETEC)

A041

장독소성대장균(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감염에 의한 급성위장관염

장침습성대장균

감염증(EIEC)

A042

장침습성대장균(Enteroinvasive Escherichia coli)의 감염에 의한 급성위장관염

분 류

상 병 명

분류기호

정 의

 

장병원성대장균

감염증(EPEC)

A040

장병원성대장균(Enteropathogenic Escherichia coli)의 감염에 의한 급성위장관염

캄필로박터균 감염증(Campylobacterosis)

A045

캄필로박터균(C.jejuni, C.coli)의 감염에 의한 급성위장관염

클로스트리듐

퍼프린젠스 감염증

(Clostridium

perfringens

enteritis)

A052,

A048 & B967

클로스트리듐 퍼프린젠스 장독소(CPE, C.perfringens enterotoxin)에 의하여 발생하는 급성위장관염

황색포도알균 감염증(Staphylococcus

aureus Intoxication)

A050 & B956

황색포도알균(Staphylococcus aureus)이 증식하여 만들어내는 장독소에 의한 급성위장관염

바실루스 세레우스균 감염증(Bacillus

cereus gastroenteritis)

A054

바실루스 세레우스(B.cereus)가 만들어내는 장독소에 의한 급성위장관염

예르시니아 엔테로콜리티카 감염증

(Yersiniosis)

A046

예르시니아 엔테로콜리티카(Yersinia enterocolitica) 감염에 의한 급성위장관염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감염증

(Listeriosis)

A328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Listeria monocytogenes) 감염에 의한 위장관염

그룹 A형 로타

바이러스 감염증

(Rotaviral

gastroenteritis)

A080

그룹 A형 로타바이러스(Rotavirus)의 감염에 의한 급성위장관염

아스트로바이러스 감염증(Astroviral gastroenteritis)

A083

아스트로바이러스(Astrovirus)의 감염에 의한 급성위장관염

장내아데노바이러스 감염증

(Adenoviral

gastroenteritis)

A082 & B970

아데노바이러스(Adenovirus)의 감염에 의한 급성위장관염

노로바이러스 감염증(Noroviral

gastroenteritis)

A083

노로바이러스(Norovirus)의 감염에 의한 급성위장관염

사포바이러스 감염증(Sapoviral

gastroenteritis)

A083

사포바이러스(Sapovirus)의 감염에 의한 급성위장관염

분 류

상 병 명

분류기호

정 의

4

큐열(Q fever)

A78

큐열균(Coxiella burnetii)에 의한 인수공통 질환

웨스트나일열

(West Nile fever)

A923

웨스트나일(West Nile)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급성 중추신경계 질환

신종감염병증후군

B99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발견된 감염병 또는 병명을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새로 발생한 감염성증후군으로서 1군감염병 내지 제4군감염병 또는 지정전염병에 속하지 않으며 입원치료가 필요할 정도로 병상이 중대하거나 급속한 전파, 또는 확산이 우려되어 환자격리 및 역학조사와 방역대책 등의 조치가 필요한 질환

라임병

(Lyme Borreliosis)

A692

보렐리아속균(Borrelia burgdorferi, Borrelia afzelii, Borrelia garinii) 감염에 의한 진드기매개 감염병

진드기매개뇌염

(Tick-borne

Encephalitis)

A840~A849

플라비 바이러스(flavivirus)에 속하는 진드기 매개 뇌염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증

유비저(Melioidosis)

A241~A244

유비저균(Burkholderia pseudomallei)에 의한 감염증

치쿤구니야열

(Chikungunya fever)

A920

치쿤구니야 바이러스(chikungunya virus)에 의한 감염증

5

회충증(Ascaris

lumbricoides

infection)

B770~B779

회충 충란내의 제2기 유충(자충포장란) 감염에 의한 기생충 질환

편충증(Trichuris trichiura infection)

B79

편충(Trichuris trichiura) 감염에 의한 대장 상부 기생충질환

요충증(Enterobius

vermicularis

infection)

B80

요충((Enterobius vermicularis) 감염에 의한 맹장 및 항문 기생충질환

간흡충증

(Clonorchiasis)

B661

간흡충(Clonorchis sinensis) 감염에 의한 간 및 담도 기생충질환

폐흡충증

(Paragonimiasis)

B664

폐흡충(Paragonimus westermani) 감염에 의한 폐내 기생충질환

장흡충증(Intestinal

trematodas)

B665

요코가와흡충(Matagonimus yokogawai) 감염 등에 의한 장내기생충질환

C형간염

(Viral hepatitis C)

B171, B182

C형 간염 바이러스(Hepatitis C virus)에 감염에 의한 질환

수족구병(Hand, foot and mouth disease)

B084

엔테로바이러스군(Enterovirus group)에 속하는 바이러스에 의해 주로 소아에게 유행하는 급성 바이러스성 질환

임질(Gonorrhea)

A540~A549

(Neisseria gonorrhoeae) 감염에 의해 주로 요도염이나 자궁경부염 등을 일으키는 질환

분 류

상 병 명

분류기호

정 의

 

클라미디아 (Chlamydial disease)감염증

A55~A568

클라미디아 트라코마티스균(Chlamydia trachomatis) 감염에 의한 요도염이나 자궁경부염 등의 성기부위 질환

연성하감(Chancroid)

A57

헤모필루스 두크레이균(Hemophilus ducreyi) 감염에 의한 성기나 회음부의 통증성 궤양성 질환

성기단순포진

(Genital herpes)

A600~A609

2형 단순포진 바이러스(Herpes simplex virus type II) 감염에 의한 성기부위의 수포성 질환

첨규콘딜롬

(Condyloma acuminata)

A630

사람 유두종 바이러스(Human papilloma virus) 감염에 의한 성기 주변의 사마귀성 질환

반코마이신내성황색포도알균(VRSA)감염증

___ & U810

반코마이신에 대한 감수성이 저하된 황색포도알균(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에 의한 감염질환

반코마이신내성장알균(VRE))감염증

___ & U810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에 의한 감염질환

메티실린내성황색포도알균(MRSA)감염증

___ & U801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얄균(Methicillin -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에 의한 감염 질환

다제내성녹농균

(MRPA)감염증

___ & U888

카바페넴계,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플로로퀴놀론계 항생제에 모두 내성인 다제내성녹농균(Multidrug -Resistant pseudomonas aeruginosa)에 의한 감염 질환

다제내성아시네토박터바우마니균(MRAB)

감염증

___ & U888

카바페넴계,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플로로퀴놀론계 3개 계열 항생제내성 다제내성아시네토박터바우마니균(Multidrug-Resistant Acinectobacter bauma nii)에 의한 감염 질환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속균종(CRE)감염증

___ & U898

카바페넴계 항생제에 내성 장내세균속 균종(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에 의한 감염 질환

살모넬라균 감염증(Salmonellosis)

A020

비장티푸스 살모넬라균(non-typoid Salmonella , S.Enteritidis, S.Typhimurium )의 감염에 의한 급성위장관염

장염비브리오균

감염증(Vibri

parahemolyticus

gastrosenteritis)

A053

장염비브리오균(V.parahemolyticus)의 감염에 의한 급성위장관염

장독소성대장균

감염증(ETEC)

A041

장독소성대장균(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감염에 의한 급성위장관염

장침습성대장균

감염증(EIEC)

A042

장침습성대장균(Enteroinvasive Escherichia coli)의 감염에 의한 급성위장관염

분 류

상 병 명

분류기호

정 의

 

장병원성대장균

감염증(EPEC)

A040

장병원성대장균(Enteropathogenic Escherichia coli)의 감염에 의한 급성위장관염

캄필로박터균 감염증(Campylobacterosis)

A045

캄필로박터균(C.jejuni, C.coli)의 감염에 의한 급성위장관염

클로스트리듐

퍼프린젠스 감염증

(Clostridium

perfringens

enteritis)

A052,

A048 & B967

클로스트리듐 퍼프린젠스 장독소(CPE, C.perfringens enterotoxin)에 의하여 발생하는 급성위장관염

황색포도알균 감염증(Staphylococcus

aureus Intoxication)

A050 & B956

황색포도알균(Staphylococcus aureus)이 증식하여 만들어내는 장독소에 의한 급성위장관염

바실루스 세레우스균 감염증(Bacillus

cereus gastroenteritis)

A054

바실루스 세레우스(B.cereus)가 만들어내는 장독소에 의한 급성위장관염

예르시니아 엔테로콜리티카 감염증

(Yersiniosis)

A046

예르시니아 엔테로콜리티카(Yersinia enterocolitica) 감염에 의한 급성위장관염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감염증

(Listeriosis)

A328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Listeria monocytogenes) 감염에 의한 위장관염

그룹 A형 로타

바이러스 감염증

(Rotaviral

gastroenteritis)

A080

그룹 A형 로타바이러스(Rotavirus)의 감염에 의한 급성위장관염

아스트로바이러스 감염증(Astroviral gastroenteritis)

A083

아스트로바이러스(Astrovirus)의 감염에 의한 급성위장관염

장내아데노바이러스 감염증

(Adenoviral

gastroenteritis)

A082 & B970

아데노바이러스(Adenovirus)의 감염에 의한 급성위장관염

노로바이러스 감염증(Noroviral

gastroenteritis)

A083

노로바이러스(Norovirus)의 감염에 의한 급성위장관염

사포바이러스 감염증(Sapoviral

gastroenteritis)

A083

사포바이러스(Sapovirus)의 감염에 의한 급성위장관염

분 류

상 병 명

분류기호

정 의

 

엔테로바이러스 감염증

무균성뇌수막염 A870 & G020

포진성구협염 B085

급성출혈성결막염 B303 & H131

뇌염 A850 & G051

심근염 B332 & I411

심낭염 B332 & I321

확장성심근병증 B332 & I430

신생아패혈증

엔테로바이러스(enterovirus) 감염에 의한 질환

 

) 다발적 항생물질 내성이 있는 결핵의 경우 U880 또는 U881을 부가적 코드로 같이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