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장기요양

(붙임 2) 2012년 요양병원 적정성 평가결과 지표별 현황

야국화 2013. 2. 28. 16:51

(붙임 2) 2012년 요양병원 적정성 평가결과 지표별 현황

 

 

2012년도 요양병원 적정성 평가 결과 지표별 현황

1. 요양병원 수와 입원진료비

   요양병원 수와 입원진료비 증가 현황

년도                   :     2004      2006      2008      2010      2011년

기관수                :     113        361       690       867        988 개

입원진료비(억원) :   1,350        5,330     13,660     23,060      28,076

 

2. 구조부문 평가결과

. 기본시설 영역

병실의 병상당 적정면적 충족률

- 평균 99.0%이며, 전체 병상 모두 적정면적을 충족하는 기관은 852기관(90.9%)

다인실(7인실 이상) 병상의 비율

- 45.3%이며, 모든 병실을 7인실 이상으로 운영하는 기관이 21기관(2.2%)

화장실이 있는 병상의 비율

- 평균 39.8%이며 화장실이 있는 병실이 전혀 없는 기관은 197기관(21.0%)

 

그림2. 병실의 병상당 적정면적 충족률, 다인실 병상의 비율, 화장실이 있는 병상의 비율 분포

 

적정 욕실이 있는 기관771기관(82.3%)

적정욕실의 조건 : 적정 면적(7.2m2이상), 온수공급, 난방시설 구비

환자용 편의시설 (식당, 휴게실)두 구비한 기관은 305기관(32.5%)

 

. 환자안전 영역

바닥의 턱 제거율(병실, 욕실, 화장실)

- 모든 공간 제거 636기관(67.9%), 모든 공간 미제거 36기관(3.8%)

바닥의 미끄럼 방지 시설 설치율(욕실, 화장실, 계단)

- 모든 공간 설치 756기관(80.7%), 모든 공간 미설치 26기관(2.7%)

 

안전손잡이 설치율(욕실, 화장실, 복도, 계단)

- 모든 공간 설치 460기관(49.1%), 모든 공간 미설치 36기관(3.8%)

 

응급호출시스템 구비율(병상, 욕실, 화장실)

- 모든 공간 구비 653기관(69.7%), 모든 공간 미구비 65기관(6.9%)

 

소방점검 활동 수행 여부

- 916기관(97.8%)에서 소방점검활동을 수행하고 있음

 

염관리 활동 수행 여부(4항목)

- 823기관(87.8%)에서 감염관리활동 4항목을 모두 수행함

. 의료인력 영역

의사간호사간호인력 1인당 환자수

- 의사 1인당 평균 31.0명의 환자를 담당하며, 최대 65.1명을 진료함

- 간호사 1인당 평균 11.4, 최대 47.1명을 담당함

- 간호인력(간호사 + 간호조무사) 1인당 평균 4.6, 최대 15.7명을 담당함

 

평일 야간 및 휴일 당직의사 유무

- 원내에 상주하는 당직의사가 있는 기관 408기관(43.5%)

간호인력 이직률

- 간호인력 이직률은 평균 29.7%이며(대상기간: 2011.10.12012.3.31)

- 간호인력이직률 0% 10기관(1.3%), 간호인력이직률 90%이상 13기관(1.7%)

. 필요인력 영역

물리치료사 1인당 환자수

- 평균 82.2명이며, 물리치료사 1인당 최대 9,263명을 담당함

9,263: 평가대상 기간 3개월 동안 물리치료사가 1일간 근무한 기관임

1. 기관당 물리치료사 1인당 환자수 현황

(단위: 기관, )

기관수

평균

표준편차

변동계수

중앙값

최대값

최소값

Q1

Q3

836

82.2

328.2

399

60.1

9,263

4.2

33.8

92.2

2010년도(3) 평가결과 중앙값: 54.4

약사(약국포함) 재직일수율

- 평균 64.6%이며, 평가대상기간(3개월) 동안 약사 근무 기관은 576기관(62.4%)

방사선사(방사선촬영실 포함) 재직일수율

- 평균 64.5%이며 평가대상기간 동안 방사선사 근무 기관은 582기관(63.1%)

임상병리사(임상검사실 포함) 재직일수율

- 평균 41.1%이며, 평가대상기간 동안 임상병리사 근무 기관은 372기관(40.3%)

사회복지사 재직일수율

- 평균 69.6%이며, 평가대상기간 동안 사회복지사 근무 기관은 609기관(66.0%)

의무기록사 재직일수율

- 평균 50.8%이며, 평가대상기간 동안 의무기록사 근무 기관은 435기관(47.1%)

. 의료장비 영역

100병상당 산소공급 장비는 평균 24.7대이며, 산소공급장비가 없는 기관은 4기관(0.4%)

100병상당 흡인기는 평균 22.8대이며, 흡인기 미보유 기관은 7기관(0.7%)

100상당 심전도모니터는 평균 3.4대이며, 심전도모니터 미보유 기관은 68기관(7.2%)

100상당 혈중산소포화도감시장비는 평균 4.4대이며, 보유 기관은 39기관(4.2%)

 

 

2. 진료부문

. 과정 영역

MMSE(간이정신상태) 검사: 노인에게 정신상태변화는 흔하고 중요한 변화 중 하나이며, 인지기능이 감소된 노인은 치매가 없어도 사고, 섬망 장애의 위험이 높아서 입원시 고령 환자의 인지기능 검사는 필수임

유치도뇨관 삽입: 입원환자들의 실금은 기관의 인력 소모를 증가시키므로 이러한 자원소모 감소를 위해 유치도뇨관 삽입이 증가할 수 있음. 유치도뇨관 삽입은 노인사망의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요로감염의 주요원인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정신적인 측면에서도 많은 영향을 미침

당화혈색소(HbA1c)검사: 당뇨질환은 노인에게 흔하긴 하나 적절한 혈당 관리로 합병증 예방 및 삶의 질 향상이 가능함. 대부분의 임상가이드라인에서 당뇨환자에게 당화혈색소(HbA1c)검사의 정기적인 측정을 강조함

65세이상 노인 입원시 MMSE검사 실시 환자분율

- 평균 89.4%이며, MMSE 검사를 전혀 실시하지 않은 기관은 8기관(0.9%)

당뇨환자 중 HbA1c검사 실시 환자분율

- 평균 84.9%이며, 검사를 전혀 실시하지 않은 기관이 29기관(3.2%)

유치도뇨관이 있는 환자분율_고위험군/저위험군

- 고위험군은 평균 21.3%이며, 저위험군은 평균 2.4%

2010년 평가결과와 비교

- HbA1c 검사 > MMSE 검사 순으로 개선폭이 큼

 

. 결과 영역

일상생활수행능력: 노인환자에게 제공되는 질적인 의료서비스는 질병의 완치와 함께 독립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잔존 기능을 유지향상시키는 것임.

인의 독립적인 기능상태를 평가할 때 ADL(일상생활수행능력) 측정이 가장 중요하고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음

요실금: 실금은 우리나라 요양병원 입원환자의 48.7%가량에서 발생하는 다빈도 질환이며, 실금은 노인들의 신체적 활동의 저하 뿐 아니라, 낙상, 자존감의 저하, 우울 등의 정신적인 측면에서도 많은 영향을 미침

욕창: 창은 통증, 회복 지연, 피부와 뼈의 감염증과 같은 합병증을 유발함.

욕창 예방 및 치료를 위해 잦은 체위변경 외에 충분한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함

일상생활수행능력 감퇴 환자분율_치매환자군/치매환자제외군

- 치매환자군은 평균 7.5%이며, 치매환자제외군은 평균 5.9%

요실금 환자분율_저위험군은 평균 18.5%이며, 결과부문 지표 중에서

‘10년 대비 개선 폭이 가장 큼(3.9%p 향상)

욕창이 새로 생긴 환자분율_고위험군/저위험군

- 고위험군은 평균 1.1%이며, 저위험군은 평균 0.1%

욕창이 악화된 환자분율_고위험군 평균 0.6%

  

 

3 . 평가결과 공개 및 적용

. 평가결과 홈페이지 공개

소비자의 요양기관 선택에 도움이 되도록 5등급( )으로 공개

세부 화면을 통해 지표별 실측치 공개

. 평가결과 적용

기관별 평가결과를 요양기관에 통보

평가결과의 중요사항은 의약단체 통보

. 평가결과의 수가 환류

평가결과가 구조 및 진료부문 모두 하위 20% 이하 기관 수가연계 실시

- 의사 등 인력 확보수준에 따른 입원료 가산 및 별도 보상 등을 2분기 동안 적용 제외

관련근거 : 건강보험 행위 급여비급여 목록표 및 급여상대가치점수 제3편 요양병원 급여 목록 및 상대가치점수(고시 제2011-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