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장기요양

제목 2012년도 요양병원별 적정성평가 결과 공개

야국화 2013. 2. 28. 16:28

제목 2012년도 요양병원별 적정성평가 결과 공개   
담당부서 평가기획실, 평가관리부 작성일 2013-02-28

2012년도 요양병원별 적정성평가 결과 공개

- 전반적인 서비스 수준은 향상, 요양병원 간 차이는 여전 -

 

□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강윤구)은 2012년도 요양병원 입원 진료에 대해 적정성 평가를 실시하고 요양병원별 평가결과를 28일 공개했다.

○ 요양병원 적정성평가는 지난 2008년 1월 요양병원형 정액수가제가 시작된 이후매년 심사평가원에서 실시하여 결과를 공개하고 있으며 이번이 4번째이다


□ 2012년 평가는 2012년 1월 이전에 개설해 2012년 3월 현재 운영 중인 요양병원 937기관을 대상으로 시설·인력·장비 등 구조(치료환경) 부문과 진료(과정·결과)부문을 평가했다.

○ 구조부문은 인력현황(의사 및 간호사 1인당 병상수 등), 의료시설(병상당 병실 면적 등), 안전시설, 기타 진료시설 및 필요인력, 의료장비에 대한 기관별 보유 수준을 평가했고,

○ 진료부문은 요양병원에서 우선순위가 높은 영역인 환자의 신체적 기능 등에 대한 일상생활수행능력감퇴환자분율 등 10개 지표를 선정, 의료서비스 제공 수준을 평가했다.

평가결과는 구조부문과 진료부문을 종합해 5등급으로 구분했다. 등급별 기관의 수는 1등급: 1122등급: 1843등급 251 등이다.

1. 평가결과 등급별 현황

구 분

1둥급

2등급

3등급

4등급

5등급

기타

기관수

937

112

184

251

239

123

28

(%)

(100.0)

(12.0)

(19.6)

(26.8)

(25.5)

(13.1)

(3.0)

: 기타기관은 평가조건을 충족하지 못한 기관으로, 10개 진료지표 중 산출된 지표가 6개 미만이거나, 인력지표 11개 중 9개 지표가 산출되지 않아 평가등급에서 제외한 기관 임

 

지역별로 살펴보면 1등급 기관수는 강원과 제주를 제외하고 모든 지역에 고루 분포하고 있으며,

- 종합점수 평균은 부산(75.8), 전남(73.2), 광주전북(71.9), 경북(71.4) 순으로 우수하고, 제주(63.1)가장 낮은 결과를 보였다.

 

20103차 평가결과와 비교 해 보면, 전반적인 의료 서비스 수준은 향상되었으나, 요양병원 간 차이는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점수의 경우 구조부문이 2.8, 진료부분이 4.8점 상승했으며, 구조와 진료부문을 더한 종합점수는 3.6점 상승했다.

구 분

2010(3차평가) 종합점수

2012(4차평가) 종합점수

구조부문

74.8

77.6(2.8)

진료부문

56.9

61.7(4.8)

구조부문 + 진료부문

66.7

70.3(3.6)

2. 2010, 2012년 평가결과 종합점수 현황

 

평가결과는 평가지표에 따라 병원 간 큰 차이를 보였다.

- 응급호출벨을 갖춘 기관이 201053.6%에서 69.7%로 가장 많은 개선을 보였지만, 설치하지 않은 기관도 65(6.9%) 있었다.

- 욕실 등에 바닥의 턱을 모두 제거한 기관이 67.9%, 모든 공간에 안전손잡이를 설치한 기관이 49.1%의 수준이었으며, 바닥의 턱을 전혀 제거하지 않거나 안전손잡이를 전혀 설치 않은 기관이 각각 36(3.8%) 이었다.

- 산소 공급장비와 흡인기도 2010년에 비해 보유수준은 다소 증가하였지만, 전혀 보유하지 않은 기관도 각각 4(0.4%), 7(0.7%) 으로 나타났다.

 

병원별로 살펴보면, 당뇨환자에게 당화혈색소(HbA1c)검사를 실시한 비율과 65세 이상 노인에게 인지기능(MMSE)검사를 실시한 비율은 각각 최대 100%에서 최소 0%로 병원 간 차이가 컸다.

- 상태가 좋지 않은 입원환자에게 유치도뇨관(소변줄)을 삽입한 비율도 2010(최대 100%에서 최소 0%)에 비해 격차는 다소 감소하였으나, 최대 84%에서 최소 0%로 나타났다.

- 비교적 상태가 양호한 입원환자에서 요실금 환자율은 평균 18.5%2010 22.4% 보다 개선되었으나, 기관 간은 최대 79.2%에서 최소 0% 차이를 보였다.

평가지표

2010년 평가결과

2012년 평가결과

비고

최대

최소

평균

최대

최소

평균

당화혈색소검사

100.0

0.0

70.2

100.0

0.0

84.9

높으면 좋은 지표

인지기능검사

100.0

0.0

75.5

100.0

0.0

89.4

높으면 좋은 지표

유치도뇨관 삽입(고위험군)

100.0

0.0

24.1

84.0

0.0

21.3

낮으면 좋은 지표

요실금(저위험군)

91.9

0.0

22.4

79.2

0.0

18.5

낮으면 좋은 지표

3. 연도별, 평가지표별 현황 (단위:%)

이와 같은 요양병원 적정성 평가결과는 심사평가원 홈페이지(www.hira.or.kr) 병원평가정보에서 요양병원별로 확인이 가능하다.

심사평가원은 요양병원 평가결과 1등급( )에서 5등급( )까지를 안테나( )의 개수로 표시하여 공개하고 있으며,

- 안테나를 클릭하면 해당병원의 평가지표별 결과 값도 확인 할 수 있어, 민이 병원을 선택할 때 참고 할 수 있는 정보로 활용 가능하다.

 

또한 심사평가원은 2013년도(5) 요양병원 적정성평가를 20137월부터 9월 진료분을 대상으로 실시할 예정이다.

심사평가원은 5차 평가를 진행하기 전에 4차 평가결과와 5차 평가에 대한 사전설명회를 전국 5개 권역으로 나누어 개최할 계획인데,

- 심사평가원 관계자는 5차 평가부터는 보건복지부의 요청에 따라 진료부문의 지표를 강화하여 진료부문 중심으로 평가할 예정이므로, 요양병원 관계자들이 설명회에 반드시 참석할 것을 권하였다.

  이와 같이 심사평가원이 시행하는 요양병원 적정성평가가 향후 진료환경 위주에서 진료내용 중심으로 평가영역이 강화됨으로써,

요양병원의 진료환경개선과 함께 의료서비스의 질이 향상되고 국민들은 요양병원 이용정보를 충분히 제공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첨부파일 첨부파일20130228_2012년도 요양병원별 적정성평가 결과 공개
  • 자료가 다운되지 않을 경우 담당부서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울산(33)

1

상록수요양병원

1

소망요양병원

1

언양아하브요양병원

1

울산광역시립노인병원

1

의료법인인석의료재단보람요양병원

2

국민요양병원

2

성심요양병원

2

아람의료소비자생활협동조합아람요양병원

2

온양고려요양병원

2

의료법인우아의료재단길메리요양병원

3

강남요양병원

3

라이프요양병원

3

새생명요양병원

3

성모요양병원

3

아람의료소비자생활협동조합중앙요양병원

3

울산노인전문병원

3

웰빙의료소비자생활협동조합성안요양병원

3

임요양병원

3

평화요양병원

3

행복사랑의료소비자생활협동조합중울산요양병원

3

호계요양병원

4

늘푸름의료소비자생활협동조합참사랑요양병원

4

늘푸름의료소비자생활협동조합참편한요양병원

4

사회복지법인다사랑복지재단태안요양병원

4

천상소망요양병원

4

현대요양병원

4

효마음요양병원

울산(33)

4

효사랑요양병원

5

대공원요양병원

5

동울산사랑요양병원

5

삼산요양병원

5

예장의료소비자생활협동조합가나요양병원

5

울산의료소비자생활협동조합문수요양병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