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식약청,‘12년 의약품 허가 현황 발표 | ||||
---|---|---|---|---|---|
담당부서 | 식품의약품안전청 | 작성일 | 2013-02-26 | ||
식약청,‘12년 의약품 허가 현황 발표
□ 식품의약품안전청(청장 이희성)은 ‘12년 의약품 허가(신고) 현황을 분석한 결과, 허가(신고)된 품목수는 4,733개로서 ’11년(8,122개)에 비해 42% 정도 감소했다고 밝혔다. □ 식약청은 지난해에는 국내 제약사의 투자증가, 범정부적 신약개발 R&D 지원 및 사전 검토제도 운영 등 제도적인 지원 등으로 국내 제약사의 의약품 개발이 양적인 측면보다는 질적인 측면으로 성장하여 신약 3품목, 개량신약 6품목, 세포치료제 2품목 등이 허가되었다고 설명하였다. ※ 국내 제약기업의 연구개발비 4712억(‘07년)→ 6290억(’09년)→ 9768억(’11년) ※ 국가 R&D 지원액(국가과학기술위원회 범부처 전주기 신약개발예산지원) 150억(‘11년)→300억(’12년)→360억(‘13년) ※ 사전 검토제도 : 의약품개발과정에서 허가까지 단계별 맞춤형 상담제공 ○ 국내 개발 신약의 경우 ‘11년에 이어 ’12년에도 ‘슈펙트캡슐(백혈병 치료제) 100mg 및 200mg’, ‘제미글로정(당뇨병 치료제)’ 3개가 허가되었다. - 지속적인 신약 개발은 약가 인하 등으로 어려운 시장 상황에도 불구하고 국내 제약사의 지속적인 신약 개발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 ※ 신약 : 화학구조나 본질 조성이 전혀 새로운 신물질의약품 또는 신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의약품 ○ 개량신약은 ‘애피트롤이에스 내복 현탁액’ 등 6품목이 허가되어 ‘11년 2품목에 비하여 크게 늘어났다. ※ 개량신약 : 이미 허가(신고)된 의약품에 비해 안전성, 유효성 유용성(복약순응도․편리성)이 개량되었거나, 진보성이 있는 의약품 ○ 아울러, 수입에만 의존하던 희귀의약품도 지난해 국내에서 처음으로 ‘헌터라제(헌터증후군)’, ‘애브서틴(고셔병)’ 2품목이 희귀의약품으로 허가되었다. ○ 생물의약품은 바이오시밀러로 국내에서 개발된 ‘램시마’가 세계 최초로 허가되었고, 세포치료제인 ‘카티스템(골관절염)’ 및 ‘큐피스템(크론병)’ 2품목이 허가되어 환자에게 새로운 치료기회를 제공하게 되었다. ※ 바이오시밀러 : 이미 품목허가를 받은 생물의약품과 품질, 비임상, 임상시험으로 동등성을 입증한 의약품 ※ 세포치료제 : 살아있는 자가, 동종, 이종 세포를 체외에서 배양 등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방법으로 조작하여 제조한 의약품
□ 지난해 허가(신고) 품목 중 한약재, 원료의약품을 제외한 1,408개를 약효군 별로 분석한 결과 ▲‘해열·진통·소염제’ 등 신경계의약품(269개, 19%) ▲‘골다공증 치료제’ 등 대사성의약품(200개, 14%) ▲‘고혈압치료제’ 등 순환계의약품(162개, 11%)순이었다. ○ 특히, 대사성의약품은 골다공증치료제 개발(53개)이 활기를 띄면서 ’11년(10개)에 비해 상승폭이 가장 컸으며, 그 다음으로 발기부전치료제 등 비뇨생식기관용의약품이 ‘11년 20개에서 ‘12년 79개로 증가하였다. ○ 반면, ‘11년 가장 많이 허가(신고)된 순환계의약품은 특허 만료에 따른 제네릭 의약품 연구개발이 감소하여 허가(신고) 품목수도 큰 폭으로 줄어들었다. ※ ‘11년의 경우 총 1,467 품목 중 순환계의약품(304개, 21%) 신경계의약품(287개, 19%) 호흡기계의약품(131개, 9%)순으로 허가
○ 한편 전문의약품과 원료의약품의 허가(신고) 품목수는 ‘10년 이후 매년 소폭 감소하고 있으나, 일반의약품은 신경계의약품 개발 등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 참고로 전문의약품의 허가(신고) 품목수는 ‘10년(1,343개), ’11년(1,118개), ‘12년(1,002개)로, 원료의약품은 ’10년(491개), ‘11년(139개), ’12년(110개)로 감소하고 있다. - 일반의약품은 ‘10년(344개), ’11년(349개), ‘12년(406개)로 증가하고 있다.
□ 식약청은 국내 제약산업의 지원 및 수출 경쟁력 강화를 위해 규제 선진화, 사전검토제 운영, 최신 과학기술개발에 따른 평가체계 구축을 통해 의약품 허가를 합리적으로 지원하겠다고 설명하였다. ○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www.kfda.go.kr)정보자료 → 매뉴얼/지침 → 2012 허가보고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 |||||
첨부파일 | ![]() | ||||
|
'식약청.의약 안전성,허가사항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료기기 제조품목 자진취하 수리알림[(주)리더스메디텍,(주)비스토스] (0) | 2013.03.04 |
---|---|
식약청,‘12년 의약품 허가 현황 발표 (0) | 2013.02.28 |
제목 의약품 재분류 변경 관련 홈페이지 안내(KPIS) 및 변경 협조 요청 (0) | 2013.02.25 |
[보험_제2013-61]특정 연령대 금기 의약품 개정 공고 및 급여기준 적용 안내 (0) | 2013.02.15 |
부적합 의료기기에 대한 사용중지 요청 및 판매중지 등 사실 알림 (0) | 2013.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