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도 본격적인 노령화 사회로 접어들게 되면서 점차 혈압약을 복용하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최근 국가에서도 또는 각 기관별로 홍보에 힘을 기울이고 있으나 환자들이 복용하는 약의 이름, 부작용,
조심해야 할 약이나 음식에 대해서 잘 알고 있는 경우는 많지 않습니다.
또한 혈압약을 복용하면서도 빨리 혈압을 낮춰서 약을 중단하기를 바라거나, 부작용을 우려하여 처방대로
복용하지 않는다거나, 고혈압 치료를 아예 미루는 경우도 있어 고혈압과 치료약물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하겠습니다.
일반적으로 고혈압 치료의 목표는 혈압을 140/90 mmHg이하로 유지하면서 혈압으로 인한 합병증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는 것입니다.
또한 당뇨병이나 만성 신장 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좀 더 엄격한 기준을 목표 혈압으로 하고 그 아래로 혈압을 유지하도록 해야 합니다.
고혈압 치료는 식이요법, 운동요법 등을 통한 생활습관 개선과 함께 약물요법이 있습니다.
고혈압 약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며, 그 중 이뇨제는 과도한 염분과 수분을 제거하여 혈압을 조절하는 것을 도우며 다른 고혈압 약의 보조치료제로 사용될 수도 있습니다.
또 교감신경에 작용하여 혈관수축을 방지하거나 심장을 느리게 뛰게 하여 심장 박동 수와 배출되는 혈액량을 감소시켜 혈압을 낮추는 교감신경 차단 약물도 있습니다.
다른 약물로는 안지오텐신Ⅱ라는 물질이 작용하는 것을 방해하거나(안제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 안지오텐신Ⅱ 수용체 차단제), 혈관 세포 내에 칼슘이 증가하여 혈관이 수축하는 것을 막아주는 약물(칼슘채널 차단제) 등이 있습니다.
이들 약물 중 현재 본인이 복용하고 있는 약의 이름을 아는 것이 고혈압 약물 치료의 첫걸음이라 할 수 있습니다.
<고혈압 환자가 반드시 지켜야 할 수칙>
1. 금연과 절주를 결단하고 실행합니다.
2. 짠 음식을 피합니다.
3. 적정 체중을 유지하도록 의사와 상의하여 운동의 종류와 강도를 결정합니다.
4. 6-8시간의 숙면을 취해 피로를 풀고 여유롭게 생활합니다.
5. 혈압이 조절되더라도 스스로 약을 끊지 말아야 합니다.
6. 정기적으로 혈압을 측정하고 의사의 진찰을 받읍시다.
- 고혈압약을 복용하면서 의문시 되는 질문들
1. 유명한 혈압약을 왜 내게는 처방하지 않을까요?
어떤 약물을 복용할 지 결정하는 것은 혈압이 높은 정도, 환자가 가진 기존 질환(당뇨병, 신장질환, 심장질환 등)과 부작용, 환자가 쉽게 복용할 수 있는 횟수 등을 고려하여 선택하게 됩니다. 따라서, 유명한 약이라고 해서 모든 사람에게 맞는 것은 아니며 여러 가지 약을 복용한다고 하여 혈압이 더 높다거나 상태가 중한 것이라고는 할 수 없습니다.
2. 혈압이 정상이면 약을 중단해도 되나요?
혈압이 정상이어도 약물 복용을 권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만성 신장질환, 당뇨병성 신증 등의 여러 가지 질환에서 혈압약이 치료에 사용되고 있으므로 마음대로 약을 중단하지 않도록 합니다.
3. 혈압약은 일단 시작하면 평생 복용해야 하나요?
일부에서는 식이요법과 운동을 통해서 혈압이 정상범위에서 장기간 안정화가 될 경우 약을 단계적으로 줄이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약을 평생 복용합니다. 약을 복용하는 것이 어렵고 힘들지만 평생 불안한 마음으로 억지로 복용하는 것보다는 혈압약과 더불어 혈압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고맙고 행복한 일로 생각하시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또 혈압약을 평생 먹는 것이 두려워 약 복용을 미루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4. 혈압약은 부작용으로 인해 해로운 것이 맞나요?
흔히 혈압약은 남성에서 발기부전 등을 일으킨다고 생각되기도 하지만, 이런 현상은 흔하지 않습니다. 혹시 이런 일이 생긴다면 의사와 상의하여 다양한 약제 중 이러한 부작용이 잘 나타나지 않은 약으로 변경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도 있습니다. 또 약을 복용하면 위장이 부담스럽거나 간에 무리를 준다거나 신장이 나빠진다거나 하는 오해가 있으나 약을 복용하는 것이 경미한 약의 부작용을 우려하여 약을 복용하지 않는 것보다 훨씬 이득이라는 것을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5. 혈압약은 하루 중 언제라도 규칙적으로만 복용하면 되나요?
혈압약의 가장 좋은 복용 시간은 혈압이 주로 아침에 높아지게 되므로 아침 식전이 권장되나, 위장이 불편하거나 같이 복용하는 약이 많은 경우 아침 식후에 복용하는 것도 좋습니다. 반면 늦은 밤에 혈압약을 복용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6. 혈압약은 어떻게 복용하는 것이 좋나요?
최근 혈압약은 천천히 약 성분이 방출되어 약효가 오래가게 만든 서방형 알약이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따라서 씹어서 복용하거나 약을 부수는 것은 삼가 하셔야 합니다. 또한 약은 물로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7. 혈압약 복용 중 감기약을 복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감기약 성분 중 혈관을 수축시키는 약 성분(슈도에페드린, 페닐에페드린)을 포함한 경우 혈압이 상승할 수 있으므로 복용 전 혈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미리 의사나 약사에게 상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감기약뿐만 아니라 다른 약물도 복용 전 미리 상의하십시오.
8. 생활상의 주의사항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고혈압 약을 복용한다고 해서 음식 조절과 운동을 게을리 하지 않도록 합니다. 또 겨울철에는 혈압이 상승할 수 있으므로 추위에 대비하거나 외출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변비가 생기지 않도록 주의하며, 약을 처음 복용하거나 변경될 경우 혈압의 변화를 관찰하시고 갑자기 일어서거나 할 때 어지러울 수 있으니 조심하십시오.
9. 혈압약을 먹으면서 주의해야 할 음식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혈압약 중 이뇨제를 복용하신다면 과일이나 야채(사과, 토마토, 바나나, 오렌지 등)를 섭취하여 칼륨을 보충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혈관확장제인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는 반대로 칼륨을 높이게 되므로 과량의 칼륨섭취는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약의 종류에 따라 주의해야 할 음식이 차이가 있다는 것을 명심하셔야 합니다. 또 칼슘채널 차단제를 복용할 경우 자몽주스와 병용 시 혈압약의 효과가 증가되어 부작용이 나타날 수도 있으므로 자몽주스는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의학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혈압과 당뇨병을 잘 관리하려면 적절한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0) | 2010.12.15 |
---|---|
WHO ATC 분류는… 약제급여 및 고혈압 적정성 평가에서 약제를 분류하는 기 (0) | 2010.12.15 |
당뇨병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체중을 유지 (0) | 2010.12.15 |
성 조숙증, 진단 및 치료시기가 최종 신장을 결정한다 (0) | 2010.12.09 |
갑상선 수술 논란 종지부 '5mm'가 기준 (0) | 2010.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