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체중을 유지하여야 하는 것이 가장 기본적인 치료이며,
적절한 체중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자기에게 맞는 식사량을 골고루 먹는 것이 가장 빠르고
정확한 식사요법이다.
정해진 양의 영양소 섭취를 골고루 하면서 다양하게 먹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정해놓은
식단계획 도구가 식품 교환표이다.
우리가 먹는 모든 식품은 6가지로 나누어 질 수 있다.
< 6가지 식품군 >
곡류군 |
어육류군 | 채소군 | 지방군 | 우유군 | 과일군 |
---|---|---|---|---|---|
밥, 빵, 떡, 감자 등 |
고기, 생선, 계란, 두부 등 |
채소, 김치, 나물, 국 등 |
기름, 버터, 마요네즈 등 |
우유, 두유 등 | 사과, 배, 귤, 감 등 |
식사를 계획할 때, 곡류군, 어육류군, 채소군, 지방군을 골고루 갖추어서 식사를 하고, 우유군과 과일군은 식사와 함께 또는 간식으로 식사를 함으로서 매일매일 6가지 식품을 골고루 먹는 것이 필요하다.
먹고 싶은 음식을 선택하여 어느 식품군에 들어가는지를 보고 빠진 식품군의 음식을 선택하여 보강하면 된다. 예를 들어, 갈비탕이 먹고 싶다면, 우선 갈비탕은 어육류군에 들어간다. 밥과 함께 먹으므로 곡류군은 있다. 그럼 없는 식품군이 어느 것일까? 채소군이 없다. 반찬으로 나오는 석밖지, 나물이 채소군에 들어가고 갈비탕에 넣는 파가 채소군이다. 나물을 무칠 때 들어가는 들기름(또는 참기름)이 지방군이다. 후식으로 수박이 나온다면 과일군을 먹은 것이다. 이러한 식으로 골고루 먹으면 된다.
내게 정해진 분량을 어떻게 먹을 것인가? 우리가 매일 밥만 먹고 살수는 없으니, 밥 대신 먹는 것들을 살펴보자. 국수, 누룽지, 빵, 감자, 떡 등의 다양한 식품들을 밥 대신 먹고 있으며, 이러한 식품들이 곡류군에 속한 식품들이다. 이와 같이 먹고 싶은 음식을 바꾸어 먹을 수 있도록 영양소가 비슷한 식품들을 그룹지어 같은 식품군으로 제시하고 있다. 단, 각각의 식품들이 영양소 함량이 다르므로 바꿀 수 있는 기준량이 정해져 있으며, 이 정해진 기준량을 “1 교환양” 이라고 한다.
<곡류군 “1 교환양” 이해 : 밥 1/3공기=빵 1쪽=인절미3개=강냉이 1과1/2공기=삶은 국수 1/2공기>
각 식품군의 1 교환양당 열량 (kcal/1 교환양)과 각 식품의 1 교환양을 알자.
식품군 |
열량 | 1 교환양 |
---|---|---|
곡류군 | 100 | 밥1/3공기=빵1쪽=감자1개=인절미3개=강냉이1과1/2공기=삶은 국수1/2공기 |
어육류군 | 50-100 | 고기류 40g=생선류 50g=두부 80g=계란 50g=건어물류 15g=조개류 70g |
채소군 | 20 | 채소류 70g(익혀서 1/3컵)=뿌리채소 40g=버섯류 50g=김치류 50g |
지방군 | 45 | 기름류 5g(작은 스푼 1개)=견과류 8g |
우유군 | 80 | 저지방우유 200ml (우유류보다 열량이 45kcal 낮음) |
125 | 우유류 200ml (1팩)=두유류 200ml (1팩) | |
과일군 | 50 | 사과80g(1/3개)=배110g(1/4개)=딸기150g(7개)=수박150g(1쪽)=토마토350g(소2개) |
그러면 내게 맞는 식단은 어떻게 계획할 것인가? 일단 의사에게서 얼마만큼의 식사를 할 것인지를 처방받아야 하며, 처방된 열량을 섭취하기 위한 각 식품군별로 섭취하여야 할 교환수는 영양사에게 교육받아야 한다. 참고로 섭취열량계산법과 열량별 식품군별 교환수의 기준은 다음과 같다. 단, 치료방침에 따라 개인별 조정이 되어야 하는 경우가 있으니 반드시 의사와 영양사에게 확인교육을 받도록 한다.
식단계획의 순서
1. 의사로부터 하루에 섭취해야 할 열량을 처방받는다.
2. 영양사로부터 열량에 따른 각 식품군별로 섭취해야 할 교환수 교육을 받는다.
3. 각 식품군별로 섭취해야 할 교환수를 3끼와 간식 1~2회로 적절하게 나눈다.
4. 각 식품군별로 먹고 싶은 음식을 선정하여 1 교환양에 해당하는 분량을 확인한다.
5. 끼니별로 나누어 놓은 교환수와 먹고 싶은 음식의 1 교환양을 곱하면 섭취해야 할 분량이다.
<체중감량을 위한 하루 섭취열량 알기>
하루 섭취열량=표준체중(Kg) x 25~30 (kcal/일)
예)신장 160cm인 여성 하루 섭취열량=표준체중 54(Kg) x 25-30(kcal/일) = 1,350-1,620(kcal/일)
내가 의사로부터 하루에 1,600 kcal를 먹도록 처방을 받았다면, 영양사로부터 각 식품군별로 섭취해야 할 교환수를 교육받는다.
<섭취열량에 따른 각 식품군별 교환수>
1일 섭취열량 |
곡류군 | 어육류군 | 채소군 | 지방군 | 우유군 | 과일군 |
---|---|---|---|---|---|---|
1,200 Kcal/일 | 5 | 4 | 6 | 3 | 1 | 1 |
1,600 Kcal/일 | 8 | 5 | 7 | 4 | 1 | 1 |
1,800 Kcal/일 | 8 | 5 | 7 | 4 | 2 | 2 |
2,000 Kcal/일 | 10 | 5 | 7 | 4 | 2 | 2 |
각 식품군별로 섭취해야 할 교환수를 확인한 후 끼니별로 배분을 한다. 각 끼니별로 배분된 섭취교환수에 먹고 싶은 식품의 정해진 1 교환양을 곱하여 섭취해야 할 음식의 양을 계획한다.
식품군 |
1일 교환수 | 아침 | 점심 | 저녁 |
---|---|---|---|---|
곡류군 | 8 | 2 | 3 | 3 |
2×밥1/3공기=밥2/3공기 | 3×밥1/3공기=밥1공기 | 3×밥1/3공기=밥1공기 | ||
어육류군 | 5 | 1 | 2 | 2 |
1×연두부150g=연두부150g(1/2개) | 1×쇠고기40g=스테이크 볶음40g 1×오징어50g=오징어 초무침50g |
1×돼지고기40g=돈육고추잡채40g 1×동태살50g=동태전50g | ||
채소군 | 7 | 2(국, 김치, 나물) | 3(국, 김치, 나물) | 2(국, 김치, 나물) |
지방군 | 4 | 조리용 기름으로, 전이나 튀김의 지나친 섭취제한 | ||
우유군 | 1 | 간식으로 섭취 1×우유200ml=우유200ml(1컵) | ||
과일군 | 1 | 간식으로 섭취 1×사과80g=사과80g(1/3개) |
<1600Kcal 식단 예시>
'의학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WHO ATC 분류는… 약제급여 및 고혈압 적정성 평가에서 약제를 분류하는 기 (0) | 2010.12.15 |
---|---|
혈압약 복용 (0) | 2010.12.15 |
성 조숙증, 진단 및 치료시기가 최종 신장을 결정한다 (0) | 2010.12.09 |
갑상선 수술 논란 종지부 '5mm'가 기준 (0) | 2010.11.16 |
제목 LHON(Leber`s Hereditary Optic Neuropathy, 레버씨 시신경위축증) (0) | 2010.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