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과 당뇨병을 잘 관리하려면 적절한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과체중이거나 비만한 사람이 체중을 6개월 동안에 7%를 감량하거나 3년 동안에 5%를 감량하면 반 이상(58%)이 당뇨병을 예방할 수 있고, 당뇨병 환자가 1년 동안에 8.6%의 체중감량을 하면 당뇨병을 성공적으로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심장질환의 위험도 예방할 수 있음이 제시되고 있다. 또한 과체중과 비만은 고혈압 발생 위험을 증가시키며, 고혈압 환자가 체중에서 10Kg을 감량하면 혈압을 5-20mmHg정도 낮출 수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1. 나의 표준체중은 얼마인가?
표준체중이란 일상생활에서 건강을 유지하는데 가장 적절한 체중을 말한다.
<표1> 표준체중 알기
표준체중(kg) = 남자: 키(m) x 키(m) x 22, 여자: 키(m) x 키(m) x 21
예) 신장 160cm인 여성의 표준체중 = 1.6 x 1.6 x 21 = 54(kg)
2. 체중감량을 위해 얼마나 먹을까?
체중감량은 감량의 목표와 기간을 설정하여 실행하게 되는데, 한 달에 2kg 정도를 감량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것이 적절하며, 하루 섭취열량은 보통 표준체중 1kg당 25~30kcal를 곱하여 결정한다.
<표2> 체중감량을 위한 하루 섭취열량 알기
하루 섭취열량 = 표준체중(Kg) x 25~30(kcal/일)
예) 신장 160cm인 여성 하루 섭취열량 = 표준체중 54(Kg) x 25-30(kcal/일)= 1,350-1,620(kcal/일)
3. 어떻게 먹어야 할까?
식사는 영양소의 균형적 섭취를 위해 곡류, 어육류, 채소, 지방, 우유, 과일을 골고루 섭취하는 것이 필요하며, 3끼 식사와 1-2회의 간식으로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하루에 1,600kcal를 먹으려면 500kcal의 3끼 식사와 과일 100kcal 정도의 간식을 1회(또는 과일 50kcal 분량을 2회) 섭취하면 된다.
4. 외식은 어떻게 할까 ?
외식을 할 경우 음식의 종류, 제공량 등을 잘 파악하여 내 식사량에 맞는 분량을 섭취하도록 하며, 곡류, 어육류, 채소류 등이 골고루 갖추어진 식사가 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과식을 한 경우 충분한 운동으로 열량을 소모시키도록 하며, 다음 끼니의 식사량을 줄이면서 외식 시 부족하기 쉬운 채소류 등을 보강하도록 한다.
<표3> 외식의 열량에 대한 이해 (밥은 1공기, 식사는 1인분 기준)
1인분 열량 |
비교적 골고루 갖추어진 식사 | 골고루 갖추어지지 않은 식사 |
---|---|---|
450-550Kcal | 비빔밥, 찌개백반, 육개장, 회덮밥, 대구탕 |
생선초밥(채소부족), 메밀국수(어육류, 채소 부족), 라면(채소 및 어육류 부족, 기름 많음), 기스면(채소부족),냉면(채소부족), 설렁탕(채소부족) |
550kcal 이상 | 짬뽕, 안심스테이크, 오므라이스(기름 많음) |
자장면(기름 많음), 돈까스(기름 많음), 갈비탕(채소부족) |
5. 어떤 식사습관이 비만으로 이어질까?
- 1) 식사시간
- 아침을 거르고 점심은 가볍게 하며, 저녁에 한꺼번에 다량의 음식을 먹거나 야식을 많이 먹을 경우는 비만이 되기 쉽다.
- 2) 식사횟수
- 하루에 1-2끼를 먹으면 과식하기 쉽고, 오랜 동안의 공복시간으로 인해 기초 대사량이 저하되어 몸에서 사용하는 에너지가 줄어들면서 여분의 에너지가 저장되어 비만이 되기 쉽다.
- 3) 식사속도
- 체중과다인 사람은 정상인에 비해 식사속도가 빠른 것이 특징이다.
- 포만감을 느끼기 위해서는 20분 정도가 필요하므로 천천히 식사를 하면 포만 신호가 뇌로 전달되어 배부름을 느끼게 되나, 빨리 먹게 되면 포만감을 느끼기도 전에 계속 많은 양을 먹게 된다.
- 4) 야식 증후군
- 하루 섭취하는 열량의 최소 25% 이상을 저녁식사 이후 다음날 아침까지 섭취하는 경우를 의미하며, 비만한 사람에서 흔히 관찰되는 섭식장애의 하나이다.
6. 섭취열량을 줄이기 위한 조리법 요령 (Tips)
- 튀김 조리법은 피하고, 찜, 구이, 삶기 등의 방법을 이용한다.
- 육류를 조리하거나 먹을 때는 눈에 보이는 지방과 껍질은 제거한다.
- 샐러드를 먹을 때 마요네즈 등의 기름드레싱보다는 생과일, 간장, 식초 등을 이용한 과일소스 또는 간장소스로 대신한다.
- 채소를 볶을 때는 기름을 적게 두르고 물을 약간씩 섞으면서 볶는다.
7. 배가 고플 때 포만감을 줄 수 있는 저열량 요리의 예
곤약은 토란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서 대부분이 수분으로 이루어져 열량이 거의 없는 식품으로 추천할 수 있는 저열량 식품이다. 그러나 곤약은 수분과 섬유질로만 구성되어 다른 영양소가 거의 없으므로 지나치게 곤약에만 의존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그림 1> 실곤약 닭가슴살 겨자냉채 (열량 92kcal) | |
주재료: 실곤약 100g, 닭가슴살 40g, 오이+당근 20g, 노랑과 빨강 파프리카 20g 겨자소스 : 갠 겨자 1 큰술, 물 1큰술, 식초 1큰술, 소금 약간, 화인스위트 1/4 작은술 조리법 : 1. 실곤약은 끓는 물에 살짝 데치고 깨끗이 씻은 후 물기를 뺀다. |
'의학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폐구균 단백결합 백신 접종 스케줄 안내 (0) | 2010.12.22 |
---|---|
인플루엔자 A(H1N1) 예방지침 안내 (0) | 2010.12.22 |
WHO ATC 분류는… 약제급여 및 고혈압 적정성 평가에서 약제를 분류하는 기 (0) | 2010.12.15 |
혈압약 복용 (0) | 2010.12.15 |
당뇨병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체중을 유지 (0) | 2010.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