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Ⅲ장
정확한 질병코드 기재를 위해 심평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1. 질병코드 검색
❍ 질병코드를 직접 입력하여 질병명을 조회하거나 한글 또는 영문 주제어만 입력하여 관련 질병코드를 조회할 수 있는 서비스
❍ 조회방법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홈페이지(www.hira.or.kr) [요양기관 서비스 → 업무안내 → 청구관련코드 조회 → 상병분류기호] |
2. 질병코드 마스터파일 제공
❍ 불완전코드나 중복코드 등의 사용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정확한 질병코드 파일을 제공하는 서비스
❍ 조회방법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홈페이지(www.hira.or.kr) [요양기관 서비스 → 정보마당 → 급여기준 정보→ EDI → 급여기준] ※ KCD 5차 개정 상병코드 파일 : 566번 진료분야별 질병코드집 별도 게재 |
❍ 조회내용
완전코드, 중복코드, 성별구분 질병코드
❍ 요양기관이 요양급여비용 청구시 기재한 질병코드가 정확한지 스스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해당 요양기관에서 오류내역을 포함하여 직접 조회할 수 있는 서비스
❍ 질병코드 모니터링 지표의 종류
❍ 조회방법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홈페이지(www.hira.or.kr) [요양기관 서비스→ 업무안내→ 질병코드웹조회] |
❍ 조회내용 : 5개지표 및 오류내역
지표해설, 사용자 매뉴얼, 질병코드 기재원칙 등
❍ 질병코드 모니터링 지표 해설 : <부록3> 참조
❍ 요양기관에 청구명세서 접수번호 단위로 잘못 기재된 질병코드(불완전코드 다발생 순 20개)를 요양급여비용심사결과통보서와 함께 송부하여 청구오류를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
❍ 통보문 예시
▶ 요양급여비용 청구시 기재하는 질병코드는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에 따라 세부분류기호를 사용하여 마지막단위까지 구체적으로 써넣어야 하나 귀원의 경우 ( J03, E11, K25, M791 ................ ) 등 불완전한 코드가 기재ㆍ청구되어 불완전코드 기재율지표가 ( 0.20 )로 확인되오니 차후 정확한 질병코드 기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극 협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예시) 십이지장염:K29(불완전코드)/ K298(완전코드), 아래다리결핵성관절염:M011(불완전코드)/ M0116(완전코드)
▶ 불완전코드 기재율 = 불완전질병코드개수/총질병코드개수 (지표가 0.20일 경우 불완전코드기재율이 20%임을 의미함 )
▶ 2007년 3.5일부터 불완전코드 기재율 및 중복코드 기재율 등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홈페이지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홈페이지/요양기관/HIRA Plus Web 바로가기/알고싶어요/질병코드웹조회 시스템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 통보대상 : 불완전코드 발생율이 10% 이상인 요양기관
부 록
1. 성별구분 질병코드
2. 전염병예방법에 의한 전염병 질병코드
3. 질병코드 모니터링 지표 해설
<부록1>
성별구분 질병코드
■ 남성(男性)에만 적용되는 질병코드
B26.0 |
볼거리 고환염 |
C60.- |
음경의 악성신생물 |
C61 |
전립샘의 악성신생물 |
C62.- |
고환의 악성신생물 |
C63.- |
기타 및 상세불명의 남성 생식기관의 악성신생물 |
D07.4 |
음경의 상피내 암종 |
D07.5 |
전립샘의 상피내 암종 |
D07.6 |
기타 및 상세불명의 남성 생식기관의 상피내 암종 |
D17.6 |
정삭의 양성 지방종성 신생물 |
D29.- |
남성 생식기관의 양성신생물 |
D40.- |
남성 생식기관의 행동양식 불명 또는 미상의 신생물 |
E29.- |
고환의 기능이상 |
E89.5 |
처치후 고환기능저하 |
F52.4 |
조루증 |
I86.1 |
음낭 정맥류 |
L29.1 |
음낭 가려움 |
N40 |
전립샘의 증식 |
N41.- |
전립샘의 염증성 질환 |
N42.- |
전립샘의 기타 장애 |
N43.- |
음낭수류 및 정맥류 |
N44 |
고환의 염전 |
N45.- |
고환염 및 부고환염 |
N46 |
남성 불임증 |
N47 |
과장포피, 포경 및 감돈 포경 |
N48.- |
음경의 기타장애 |
N49.- |
달리 분류되지 않은 남성 생식기관의 염증성 장애 |
N50.- |
남성 생식기관의 기타장애 |
N51.- |
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남성생식기관의 장애 |
Q53.- |
정류 고환 |
Q54.- |
요도 하열 |
Q55.- |
남성 생식기관의 기타 선천 기형 |
R86 |
남성 생식기 검사물의 이상 소견 |
S31.2 |
음경의 열린 상처 |
S31.3 |
음낭 및 고환의 열린 상처 |
Z12.5 |
전립샘의 신생물에 대한 특수 선별 검사 |
■ 여성(女性)에만 적용되는 질병코드
A34 |
산과적 파상풍 |
B37.3 |
외음 및 질의 칸디다증 |
C51.- |
외음의 악성신생물 |
C52 |
질의 악성신생물 |
C53.- |
자궁목의 악성신생물 |
C54.- |
자궁체의 악성신생물 |
C55 |
상세불명 자궁 부위의 악성신생물 |
C56 |
난소의 악성신생물 |
C57.- |
기타 및 상세불명의 여성 생식기관의 악성신생물 |
C58 |
태반의 악성신생물 |
C79.6 |
난소의 속발성 악성신생물 |
D06.- |
자궁목의 상피내 암종 |
D07.0 |
자궁내막의 상피내 암종 |
D07.1 |
외음의 상피내 암종 |
D07.2 |
질의 상피내 암종 |
D07.3 |
기타 및 상세불명의 여성생식기관의 상피내 암종 |
D25.- |
자궁의 평활근종 |
D26.- |
자궁의 기타 양성신생물 |
D27 |
난소의 양성신생물 |
D28.- |
기타 및 상세불명의 여성 생식기관의 양성신생물 |
D39.- |
여성생식기관의 행동양식 불명 또는 미상의 신생물 |
E28.- |
난소의 기능이상 |
E89.4 |
처치 후 난소기능 상실 |
F52.5 |
비기질성 질경련증 |
F53.- |
달리분류되지 않은 산후기의 정신 및 행동 장애 |
I86.3 |
외음 정맥류 |
L29.2 |
외음 가려움 |
L70.5 |
연고성 여성 찰상 여드름 |
M80.0 |
병적 골절을 동반한 폐경기후 골다공증 |
M80.1 |
병적 골절을 동반한 난소적출술 후 골다공증 |
M81.0 |
폐경기후 골다공증 |
M81.1 |
난소적출술 후 골다공증 |
M83.0 |
산후기 골연화증 |
N70.- |
자궁관염 및 난소염 |
N71.- |
자궁목을 제외한 자궁의 염증성 질환 |
N72.- |
자궁목의 염증성 질환 |
N73.- |
기타 여성 골반의 염증성 질환 |
N74.- |
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여성 골반 염증성 장애 |
N75.- |
바르톨린샘의 질환 |
N76.- |
질 및 외음부의 기타 염증 |
N77.- |
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외음질의 궤양 및 염증 |
N80.- |
자궁내막증 |
N81.- |
여성생식기 탈출 |
N82.- |
여성생식기를 포함한 샛길(누공) |
N83.- |
난소, 자궁관 및 넓은 인대의 비염증성 장애 |
N84.- |
여성 생식기의 폴립 |
N85.- |
경부를 제외한 자궁의 기타 비염증성 장애 |
N86 |
자궁목의 미란 및 외반증 |
N87.- |
자궁목의 형성이상 |
N88.- |
자궁목의 기타 비염증성 장애 |
N89.- |
질의 기타 비염증성 장애 |
N90.- |
외음부 및 회음부의 기타 비염증성 장애 |
N91.- |
무월경, 소량 및 희발 월경 |
N92.- |
과다, 빈발 및 불규칙 월경 |
N93.- |
기타 이상 자궁 및 질출혈 |
N94.- |
여성 생식기관 및 월경주기와 관련된 통증 및 기타병태 |
N95.- |
폐경기 및 기타 폐경기전후 장애 |
N96 |
습관성 유산 |
N97.- |
여성 불임증 |
N98.- |
인공 수정과 관련된 합병증 |
N99.2 |
질의 수술후 유착 |
N99.3 |
자궁적출술후 질 원개의 탈출 |
O 항 모두 |
임신, 출산 및 산후기 |
P54.6 |
신생아 질출혈 |
Q50.- |
난소, 자궁관 및 넓은 인대의 선천기형 |
Q51.- |
자궁 및 자궁목의 선천기형 |
Q52.- |
여성 생식기의 기타 선천기형 |
R87 |
여성생식기 검사물의 이상소견 |
S31.4 |
질 및 외음부의 열린 상처 |
S37.4 |
난소의 손상 |
S37.5 |
자궁관의 손상 |
S37.6 |
자궁의 손상 |
T19.2 |
외음 및 질의 이물 |
T19.3 |
자궁[모든 부위]의 이물 |
T83.3 |
자궁내 피임장치의 기계적 합병증 |
Y76.- |
유해사건과 관련된 산과 및 부인과 장치 |
Z01.4 |
부인과적 검사 |
Z12.4 |
자궁목의 신생물에 대한 특수 선별검사 |
Z30.1 |
(자궁내)피임장치의 삽입 |
Z30.3 |
월경 추출법 |
Z30.5 |
(자궁내)피임장치의 관리 |
Z31.1 |
인공수정 |
Z31.2 |
시험관수정 |
Z32.- |
임신검사 및 시험 |
Z33 |
우발적인 임신상태 |
Z34.- |
정상 임신의 관리 |
Z35.- |
고위험 임신의 관리 |
Z36.- |
출산전 선별 |
Z39.- |
분만 후 간호 및 검사 |
Z43.7 |
인공적 질에 대한 처치 |
Z87.5 |
임신, 출산 및 산후기 합병증의 개인력 |
Z97.5 |
(자궁내)피임장치의 존재 |
☞ 1) 3단분류 끝에 -로 표기는 4단 분류코드가 모두 해당된다는 뜻임
예) C51.- : C51.0~C51.9 모두 해당
2) 3단분류만 기재되어있는 코드는 3단분류가 완전코드인 경우임
<부록2>
전염병예방법에 의한 전염병 질병코드
분 류 |
상 병 명 |
분 류 기 호 |
정 의 |
제1군 |
콜레라(Cholera) |
A00 |
Cholera균 감염에 의한 급성설사질환 |
페스트(Plague) |
A20 |
Yersinia pestis균 감염에 의한 급성 열성 인수공통질환 | |
장티푸스 (Typhoid fever) |
A01.0 |
Salmonella typhi균 감염에 의한 급성 전신성 열성질환 | |
파라티푸스 (Paratyphoid fever) |
A01.1-A01.4 |
Salmonella paratyphi균 감염에 의한 급성 전신성 열성질환 | |
세균성이질 (Shigellosis) |
A03 |
Shigella균 감염에 의한 급성 염증성 장염을 일으키는 질환 | |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Enterohemorrhagic E.coli) |
A04.3 |
장출혈성대장균 감염에 의한 출혈성 장염을 일으키는 질환 | |
제2군 |
디프테리아 (Diphtheria) |
A36 |
Diphtheria균 감염에 의한 호흡기 점막과 피부의 국소 질환 |
백일해(Pertussis) |
A37.0 |
Bordetella pertussis균 감염에 의한 급성 호흡기 질환 | |
파상풍(Tetanus) |
A33-A35 |
Clostridium tetani균이 생산하는 테타노스파스민 독소가 신경계를 침범하여 근육의 긴장성 연축을 일으키는 질환 | |
홍역(Measles) |
B05 |
Measles virus 감염에 의한 급성 열성 발진성 질환 | |
유행성이하선염 (Mumps) |
B26 |
Mumps virus 감염에 의하여 나타나는 이하선 부종이 특징적인 급성열성질환 | |
풍진(Rubella) |
B06 |
Rubella virus 감염에 의한 급성열성질환 | |
폴리오 (Poliomyelitis) |
A80 |
Pollio virus에 의하여 급성 이완성 마비를 일으키는 질환 | |
B형간염 (Viral hepatitis B) |
B16(급성) B18.0,B18.1(만성) |
B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질환 | |
일본뇌염(Japanese encephalitis) |
A83.0, A83.9 |
일본뇌염 바이러스에 의한 급성 중추신경계 감염질환 | |
수두(Varicella) |
B01 |
Varicella-zoster virus에 의한 급성 수포성 질환 | |
제3군 |
말라리아(Malaria) |
B50-B54 |
Plasmodium속에 속하는 원충감염에 의한 급성 열성질환 |
결핵(Tuberculosis) |
A15-A16 |
결핵균 감염에 의한 질환 | |
한센병(Leprosy) |
A30 |
Mycobacterium leprae균 감염에 의한 질환 | |
매독(Syphilis) |
A50-A53 |
Treponema pallidum균 감염에 의해 발생되는 성기 및 전신질환 | |
임질(Gonorrhea) |
A54 |
임균 감염에 의하여 주로 요도염이나 자궁경부염 등을 일으키는 질환 | |
클라미디아 감염증 (Chlamydial disease) |
A55-A56 |
Chlamydial tracomatis균 감염에 의한 요도염이나 자궁경부염 등의 성기부위 질환 | |
연성하감(Chancroid) |
A57 |
Haemophilus ducreyi균 감염에 의한 성기나 회음부의 통증성 궤양성 질환 | |
성기단순포진 (Herpes simplex type2) |
A60 |
제2형 단순포진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성기부위의 수포성 질환 |
분 류 |
상 병 명 |
분 류 기 호 |
정 의 |
제3군 |
첨규콘딜롬 (Condyloma accuminata) |
A63.0 |
사람 유두종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성기 주변의 사마귀성 질환 |
비임균성요도염 (Non-gonococcal urethritis) |
N34.1 |
임균 이외의 병원성 미생물 감염에 의하여 생기는 요도염 | |
성홍열 (Scarlet fever) |
A38 |
베타용혈성연쇄구균의 발열성의 독소에 의한 급성 열성 질환 | |
수막구균성수막염 (Meningococcal meningitis) |
A39.0, G01 |
수막염균 감염에 의한 급성 중추신경계 질환 | |
레지오넬라증 (Legionellosis) |
A48.1 |
병원성 레지오넬라균 감염에 의한 급성 호흡기 질환 | |
비브리오패혈증 (Vibrio vulnificus sepsis) |
A41.5 |
Vibrio vulnificus균 감염에 의한 급성 패혈증 | |
발진티푸스 (Epidemic typhus) |
A75.0 |
Rickettsia prowazeki 감염에 의한 급성 열성 질환 | |
발진열 (Murine typhus) |
A75.2 |
발진열 리케치아 감염에 의한 급성 열성 질환 | |
쯔쯔가무시증 (Tsutsugamushi fever) |
A75.3 |
Orientia tsutsugamushi 감염에 의한 급성 열성 질환 | |
렙토스피라증 (Leptospirosis) |
A27 |
병원성 렙토스피라균 감염에 의한 인수공통질환 | |
브루셀라증 (Brucellosis) |
A23 |
Brucella균 감염에 의한 인수공통질환 | |
탄저(Anthrax) |
A22 |
탄저균 감염에 의한 인수공통질환 | |
공수병(Rabies) |
A82 |
공수병 바이러스의 신경계 감염으로 뇌척수염을 일으키는 질환 | |
신증후군성출혈열 (유행성출혈열, HFRS) |
A98.5 |
한탄 바이러스와 서울 바이러스 등 감염에 의한 급성 열성 질환 | |
인플루엔자(Influenza) |
J10-J11 |
인플루엔자 바이러스(A,B,C)감염에 의한 급성 호흡기 질환 | |
후천성면역결핍증(AIDS) |
B20-B24 |
인간 면역결핍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질환 | |
제4군 |
황열(Yellow fever) |
A95 |
황열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급성 열성 질환 |
뎅기열(Dengue fever) |
A90, A91 |
뎅기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급성열성 출혈성 질환 | |
마버그열(Marberg fever) |
A98.3 |
마버그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급성 열성 출혈성 질환 | |
에볼라열(Ebola fever) |
A98.4 |
에볼라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급성 열성 출혈성 질환 | |
라싸열(Lassa fever) |
A96.2 |
라싸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급성 열성 질환 | |
리슈마니아증 (Leishmaniasis) |
B55 |
리슈만 편모충 감염에 의한 피부와 점막의 질환 | |
바베시아증 (Babesiosis) |
B60.0 |
바베스열 원충에 의한 적혈구 감염 질환 | |
아프리카수면병 (African trypanosomiasis) |
B56 |
감비아파동편모충 또는 로데시아파동편모충 감염에 의한 질환 |
분 류 |
상 병 명 |
분 류 기 호 |
정 의 |
제4군 |
크립토스포리디움증 (Cryptosporidiosis) |
A07.2 |
Cryptosporidium 감염에 의한 만성 설사를 유발하는 질환 |
주혈흡충증 (Schistosomiasis) |
B65 |
일본주혈흡충, 만손주혈흡충, 방광주혈흡충 등의 주혈흡충 감염에 의한 질환 | |
요우스(Yaws) |
A66 |
Treponema pallidum aubspecies pertenue 감염에 의한 피부질환 | |
핀타(Pinta) |
A67 |
Treponema carateum 감염에 의한 피부질환 | |
두창(Small pox) |
B03 |
Variola virus 감염에 의한 급성 발진성 질환 | |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 |
U04.9 KCD-5th 개정 |
사스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호흡기 질환 | |
보툴리눔독소증 (Botulism) |
A05.1 |
Clostridium botulinum이 생산하는 독소에 의한 급성, 대칭성, 진행성의 신경마비질환 | |
조류인플루엔자 인체감염증 (Avian influenza infection in humans, AI) |
J09 KCD-5th 개정 |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인체 감염에 의한 급성 호흡기 전염병 | |
야토병(Turalemia) |
A21 |
Francisella turarensis에 의한 급성 전염병 | |
큐열(Q fever) |
A78 |
Coxiella burnetii에 의한 급성 전염병 | |
신종전염병증후군 |
B99 |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발견된 전염병 또는 병명을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새로 발생한 전염성증후군 | |
지정군 |
A형간염 (Viral hepatitis A) |
B15 |
A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한 급성 감염질환 |
C형간염 (Viral hepatitis C) |
B17.1(급성) B18.2(만성) |
C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한 급성 감염질환 | |
반코마이신내성황색 포도상구균(VRSA)감염증 |
A41.0 |
반코마이신에 대한 감수성이 저하된 황색포도상구균에 의한 감염질환 | |
샤가스병 (Chagas's disease) |
B57 |
크루스 파동편모충 감염에 의한 원충성 질환 | |
광동주혈선충증 (Angiostrongyliasis) |
B83.2 |
광동주혈선충 감염에 의한 질환 | |
유극악구충증 (Gnathostomiasis) |
B83.1 |
유극악구충 감염에 의한 질환 | |
사상충증(Filariasis) |
B74 |
피하나 림프관에서 기생하는 사상충 감염에 의한 질환 | |
포충증(Hydatidosis) |
B67 |
단방조충 감염에 의한 질환 | |
크로이츠펠트-야콥병 (Creutzfelt-jacob disease) 및 변종 크로이츠펠트-야콥병 (variant Creutzfeltd Jakob Disease, v-CJD) |
A81.0 |
변형 프리온 단백(abnormal prion protein)이 중추신경계에 축적되어 중추신경계의 변성을 유발함으로써 특정 신경학적 소견을 나타내는 질환 | |
서나일 바이러스성 감염(West Nile virus infection) |
A92.3 |
웨스트나일(West Nile)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급성 중추신경계 질환 |
<부록3>
질병코드 모니터링 지표 해설
1 |
|
불완전코드 기재율 |
❍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와 일치하지 않는 분류기호를 기재하거나 마지막 자리까지 완전하게 기재하지 않는 분류기호 개수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
예) 십이지장염은 K298로 기재하여야 하나 K29로 기재한 경우
특발성통풍(아래다리)는 M1006으로 기재하여야 하나 M100만 기재한 경우
▶ K29, M100 등의 발생비율을 지표로 나타냄
지표산식
|
- 불완전코드 기재율이 1에 가까울수록 질병코드의 기재와 관련된 관리가 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
2 |
|
중복코드 기재율 |
❍ 주상병과 같이 사용할 수 없는 기타 상병의 중복기재 정도를 보여주는 지표
예) 상세불명의 콜레라(A00.9)와 비브리오 콜레라(A00.0, A00.1)는 같이 올 수 없는 질병코드임
지표산식
- 중복코드 기재율의 지표 값이 1에 가까울수록 질병코드의 기재와 관련된 관리가 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
3 |
|
질병코드 개수지표 |
❍ 질병의 중증도 보정 후에 입원 및 외래로 구분하여 평균적으로 사용하는 질병코드 개수와 해당 요양기관에서 사용하는 질병코드 개수를 비교하는 지표
지표산식
h : 대상 의료기관 i : 상병별 (입원 DRG보정, 외래 APG보정) Nhi : 대상 의료기관의 상병별 청구건수 Di : 상병별 평균 질병코드 개수 Dhi : 대상 의료기관의 상병별 질병코드 개수 |
- 전체 평균에 비하여 더 많은 질병코드를 사용한다면 1보다 큰 값을 가지게 됨.
4 |
|
3대 질병구성지표 |
❍ 동일한 질환군에서 경증의 질환에 비하여 중증에 해당하는 질환군이 얼마나 많은지를 보여주는 지표
지표산식
|
- 각각의 질병구성 지표가 1에 근접할수록 대상 의료기관은 경증 질환보다는 중증 질환의 청구건수가 높음을 의미
단, 동 지표는 실제 진료형태에 차이(전문 클리닉의 경우 중증의 질환을 집중적으로 보는 경우)가 있음을 감안해야 함.
5 |
|
다빈도 질병 프로파일지표 |
❍ 8개 호흡기계 질환에 대하여 요양기관별 구성비율의 분포를 분석하여 동일 종별, 동일 진료과목과의 구성비율을 비교하여 보여주는 지표
지표산식
|
- 동 지표도 실제 진료형태에 차이(전문 클리닉의 경우 중증의 질환을 집중적으로 보는 경우)가 있음을 감안해야 함.
'심사평가원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료인 등 인력확보수준에 따른 정신과 입원료 차등제 Q&A (0) | 2008.09.12 |
---|---|
금기의약품 예외 인정가능 사례(08.9.8) (0) | 2008.09.09 |
중복사유,금기사유,의료급여 원내조제횟수 (0) | 2008.09.03 |
상병분류구분,상병기재요령 (0) | 2008.09.03 |
청구시 첨부자료 (0) | 2008.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