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광우병이란? | ||||||||||||||||||
1) 광우병(BSE:Bovine spongiform encephalopathy)의 정의 * 소해면상뇌증은 국제수역사무국(OIE)에서 B급 질병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소해면상뇌증과 스크래피가 제2종 가축전염병으로 지정되어 있다.
| ||||||||||||||||||
3) 감염경로 및 전파방법
4) 임상증상 및 잠복기간
Table 1. 주요 전염성해면상뇌증의 잠복기 및 임상경과기간
| ||||||||||||||||||
* 국제수역사무국(OIE) □ 소 해면상뇌증의 특징적 증상
| ||||||||||||||||||
5) 광우병의 진단 및 치료
* 광우병은 아직까지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이 없으며, 프리온 단백질은 끓이거나 삶는 등 의 일반적인 소독 방법으로는 제거되지 않으며 특히 고기를 굽는 높은 온도에서도 잘 죽지 않는다. 따라서 최선의 예방방법은 광우병에 걸린 소와 관계된 음식을 먹지 않는 것 이라 할 수 있다. * 현재 인간 광우병 치료제로 개발된 약물은 전무한 상태이다. 하지만 최근 독일 아스타메티카사는 현재 카타토론(Katadolon)이라는 상품명을 발매하고 있는 비마취성 진통제(non-opioid analgesic)인 플루피르틴 말레이트(Flupirtine maleate)가 세포사멸을 저해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인간 광우병 치료제로 적응증을 확대하기 위해 임상실험을 하고 있다. *미국 국립 알레르기·전염병 연구소(National Institute of Allergy and Infectious Diseases ; NIAID)의 과학자들이 쥐에게 유도한 광우병 유사 프리온 질병(mad cow-like prion disease)의 진전을 둔화시키는 새로운 계통의 화합물을 동정하는데 성공했다는 소식이다. 이번 연구 결과는 학술지 "사이언스(Science)" 2월 25일자에 발표되었다. 프리온 질병은 뇌에 독성 단백질이 모여 발생하는 질환으로 독성 단백질에 의해 뇌 의 정상적인 활동이 저해를 받음으로써 문제를 일으킨다. 만약에 쥐에서 확인된 이 번 연구 결과가 사람에서도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면 크루츠펠트-야콥병 (Creutzfeldt-Jakob disease) 뿐만 아니라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및 유형 2 당뇨병(type 2 diabetes)과 같은 비-프리온 질병에 대한 새로운 치료제 개발도 가 능해질 전망이다. * 또한 서울대 황우석(黃禹錫) 교수(수의학)가 `유전자 복제기술'를 이용해 선천적으로 광우병에 저항성을 가진 가축을 생산하는 연구를 극비리에 진행시켜 온 것이 밝혀졌다. 특히 황교수는 최근 비록 기초단계이긴 하지만 소에게서 광우병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찾아내는데 성공하는 등 연구의 개가를 올렸는데. 그 동안 황교수는 서울대내 10여명의 박사들로 연구팀을 구성해 연구를 진행해왔으며 연구진 중 일부는 유전자조작 기술이 앞선 미국 텍사스주의 텍사스 A&M대학에 파견, 이 대학과 공동연구를 진행중이여서 앞으로의 연구를 기대해 본다.
BSE 감염소 뇌조직 병변
| ||||||||||||||||||
6) BSE와 CJD 그리고 vCJD의 차이점
* Creutzfeldt-Jakob diseaseWhile several human TSEs exist, Creutzfeldt-Jakob disease (CJD) is the prototype human TSE. CJD occurs in a form associated with a hereditary predisposition (approximately 5~10% of all cases) and in a more common, sporadic form that accounts for 85~90% of cases. A small percentage of cases (less than 5%) are iatrogenic (resulting from the accidental transmission of the causative agent via contaminated surgical equipment or as a result of cornea or dura mater transplants). It has also been shown that CJD can be transmitted to humans as a result of treatment with natural human growth hormone. Replacement of natural human growth hormone by recombinant growth hormone has alleviated this risk.* Variant Creutzfeldt-Jakob diseaseA newly recognized form of CJD, variant Creutzfeldt-Jakob disease (vCJD), was first reported in March 1996 in the UK (cf. WHO Fact Sheet N° 180 on variant Creutzfeldt-Jakob disease). In contrast to the classical forms of CJD, vCJD has affected younger patients (average age 29 years, as opposed to 65 years), has a relatively longer duration of illness (median of 14 months as opposed to 4.5 months) and is strongly linked to exposure, probably through food, to BSE. Recent studies have confirmed that vCJD is distinct from sporadic and acquired CJD. From October 1996 to November 2002, 129 cases of vCJD have been reported in the UK, six in France and one each in Canada, Ireland, Italy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Insufficient information is available at present to make any precise prediction about the future number of vCJD cases. Since few countries have surveillance systems,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the incidence of vCJD needs to be better defined. Similarities observed between the strain of the agent responsible for vCJD and those of BSE and closely related agents transmitted naturally and experimentally to different animal species, are consistent with the hypothesis discussed during two 1996 WHO consultations: that the cluster of vCJD cases is due to the same agent that caused BSE in cattle.
7) 방역대책 * BSE 발생국가 및 발생우려국가(총 34개국) 네덜란드, 덴마크, 독일, 룩셈부르크, 벨기에, 스페인, 아일랜드, 영국,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포르투갈, 프랑스, 그리스, 스웨덴, 핀란드, 알바니아, 보스니아, 불가리아, 크로아티아, 체코, 헝가리, 리히텐슈타인, 마케도니아, 노르웨이, 폴란드, 루마니아,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스위스, 유고슬라비아, 일본, 이스라엘, 캐나다, 미국(잠정) * 미국이 "BSE 발생국가 및 발생위험국"으로 잠정 지정됨에 따라 미국으로부터 수입되는 반추동물 유래 의약품, 의약외품, 화장품, 의료용구 및 그 원료는 '03.12.24자 선적분부터 전염성해면상뇌증(Transmissible Spongiform Encephalopathy, TSE) 미감염증명서를 제출하는 경우에만 수입가능하게 된다.
| ||||||||||||||||||
외국논문 관련 | ||||||||||||||||||
Pubmed에서 Bovine spongiform encephalopathy의 검색어를 넣어 관련있다고 생각되는 내용을 실었다.
1) Prion diseases: from molecular biology to intervention strategies. Chembiochem. 2003 Dec 5;4(12):1268-84. PMID: 14661267 [Abstract] 2) Enzymatic degradation of prion protein in brain stem from infected cattle and sheep. J Infect Dis. 2003 Dec 1;188(11):1782-9. Epub 2003 Nov 18. PMID: 14639552 [PubMed - in process]. [Abstract] 3) Human prion diseases: epidemiology and integrated risk assessment. Lancet Neurol. 2003 Dec;2(12):757-63. PMID: 14636781 [PubMed - indexed for MEDLINE] [Full Text] 4) Peripheral tissue involvement in sporadic, iatrogenic, and variant creutzfeldt-jakob disease: an immunohistochemical, quantitative, and biochemical study. Am J Pathol. 2004 Jan;164(1):143-53. PMID: 14695328 [PubMed - in process] [Abstract] 5) Immunohistochemical detection of Prion protein (PrP-Sc) and epidemiological study of BSE in Korea. J Vet Sci. 2001 Apr;2(1):25-31. PMID: 14614290 [PubMed - indexed for MEDLINE] [Abstract] 6) Neuropathological characterisation of French bovine spongiform encephalopathy cases. Histochem Cell Biol. 2003 Dec;120(6):513-21. Epub 2003 Nov 18. PMID: 14624299 [PubMed - in process] [Abstract] 7) Variant Creutzfeldt-Jakob disease. Vet Res Commun. 2003 Sep;27 Suppl 1:11-3. No abstract available. PMID: 14535362 [PubMed - indexed for MEDLINE] [Abstract] 8) Pathogenesis of BSE. Vet Res Commun. 2003 Sep;27 Suppl 1:25-8. PMID: 14535364 [PubMed - indexed for MEDLINE] [Abstract] 9) Diagnosis of prion diseases. Kubler E, Oesch B, Raeber AJ. Prionics AG, Schlieren, Switzerland.] [Full Text]
| ||||||||||||||||||
관련 사이트 | ||||||||||||||||||
![]() 국립수의과학검역원(소해면상뇌증:BSE) 대책없는 광우병 식약청 Bric 사이트
|
'의학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졸중(stroke) (0) | 2008.05.07 |
---|---|
색소내시경 (0) | 2008.05.03 |
탈리도마이드 (0) | 2008.05.02 |
농약중독,증상,치료 (0) | 2008.04.29 |
그라목손 중독 (0) | 2008.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