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청2023-3호 신구조문 대비표 2023.2.20
현 행 | 개 정 안 | |
[1-14] 중동호흡기증후군(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MERS) (5)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검체(구인두도말, 비인두도말, 비인두흡인물, 비강흡인물, 가래, 기관흡인물, 기관지폐포세척액 등)에서 특이 유전자 검출 ○ 검체(구인두도말, 비인두도말, 비인두흡인물, 비강흡인물, 가래, 기관흡인물, 기관지폐포세척액 등)에서 특이 유전자 검출 및 염기서열 확인 |
[1-14] 중동호흡기증후군(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MERS) (5)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검체(구인두도말, 비인두도말, 비인두흡인물, 비강흡인물, 가래, 기관흡인물, 기관지폐포세척액 등)에서 특이 유전자 검출 ○ (삭제) |
|
[1-17] 디프테리아(Diphtheria) (5)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확인 진단 검체(구인두도말, 비인두도말, 비강도말, 위막조직)에서 독소생성 C. diphtheriae 분리 동정 검체(구인두도말, 비인두도말, 비강도말, 위막조직)에서 독소 유전자 검출 ○ 추정 진단 검체(구인두도말, 비인두도말, 비강도말, 위막조직)에서 C. diphtheriae 분리 동정 |
[1-17] 디프테리아(Diphtheria) (5)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확인 진단 검체(구인두도말, 비인두도말, 비강도말, 위막조직)에서 독소생성 C. diphtheriae 분리 동정 검체(구인두도말, 비인두도말, 비강도말, 위막조직)에서 특이(독소유전자 포함) 유전자 검출 ○ 추정 진단 검체(구인두도말, 비인두도말, 비강도말, 위막조직 등)에서 C. diphtheriae 분리 동정 |
|
[2-1] 결핵(Tuberculosis) (1) 정의 Mycobacterium tuberculosis complex (M. tuberculosis, M. bovis, M. africanum, M. canetti, M. microti, M. pinnipedii 등) 감염에 의한 질환 (※ 이 중, 인수공통질환인 결핵은 M. bovis 감염에 의한 질환임) (3) 신고를 위한 진단기준 ○ 환자 : 결핵에 부합되는 임상증상을 나타내면서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따라 감염병병원체 감염이 확인된 사람 ※ 신설 ○ 의사환자 : 결핵에 부합되는 임상적, 방사선학적 또는 조직학적 소견을 나타내나 세균학적으로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부합하는 검사결과가 없는 사람 |
[2-1] 결핵(Tuberculosis) (1) 정의 ○ 결핵균* 감염에 의한 질환 * Mycobacterium tuberculosis complex (M. tuberculosis, M. bovis, M. africanum, M. canetti, M. microti, M. pinnipedii 등) (※ 삭제) (3) 신고를 위한 진단기준 ○환자:결핵에 부합되는 임상증상을 나타내면서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따라 결핵균 감염이 확인된 사람 ※ M. bovis BCG 감염은 BCG 백신 접종에 의한 것으로서 예방접종 이상반응인 바, 신고대상이 아님 ○의사환자 : 결핵에 부합되는 임상적, 방사선학적 또는 조직학적 소견을 나타내나 세균학적으로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부합하는 검사결과가 없는 사람 |
|
[2-2] 수두(Varicella) (1) 정의 수두 바이러스(Varicella Zoster Virus) 감염에 의한 급성 발진성 질환 (5)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검체(수포액, 가피, 구인두도말, 비인두도말, 혈액, 뇌척수액 등)에서 Varicella Zoster virus 분리 ○ 회복기 혈청의 항체가가 급성기에 비하여 4배 이상 증가 ○ 검체(혈액)에서 특이 IgM 항체 검출 ○ 검체(수포액, 가피, 구인두도말, 비인두도말, 혈액, 뇌척수액 등)에서 특이 유전자 검출 |
[2-2] 수두(Varicella) (1) 정의 수두 바이러스(Human alphaherpesvirus 3) 감염에 의한 급성 발진성 질환 (5)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검체(수포액, 가피, 구인두도말, 비인두도말, 혈액, 뇌척수액 등)에서 Human alphaherpesvirus 3 분리 ○ 회복기 혈청의 항체가가 급성기에 비하여 4배 이상 증가 ○ 검체(혈액)에서 특이 IgM 항체 검출 ○ 검체(수포액, 가피, 구인두도말, 비인두도말, 혈액, 뇌척수액 등)에서 특이 유전자 검출 |
|
[2-3] 홍역(Measles) (1) 정의 홍역 바이러스(Measles virus) 감염에 의한 급성 발열 및 발진성 질환 (5)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검체(비강도말, 구인두도말, 비인두도말, 혈액, 소변 등)에서 Measles virus 분리 ○ 회복기 혈청의 항체가가 급성기에 비하여 4배 이상 증가 ○ 검체(혈액)에서 특이 IgM 항체 검출 ○ 검체(비강도말, 구인두도말, 비인두도말, 혈액, 소변 등)에서 특이 유전자 검출 |
[2-3] 홍역(Measles) (1) 정의 홍역 바이러스(Measles morbillivirus) 감염에 의한 급성 발열 및 발진성 질환 (5)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검체(비강도말, 구인두도말, 비인두도말, 혈액, 소변 등)에서 Measles morbillivirus 분리 ○ 회복기 혈청의 항체가가 급성기에 비하여 4배 이상 증가 ○ 검체(혈액)에서 특이 IgM 항체 검출 ○ 검체(비강도말, 구인두도말, 비인두도말, 혈액, 소변 등)에서 특이 유전자 검출 |
|
[2-4] 콜레라(Cholera) (5)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확인 진단 검체(대변, 직장도말, 구토물)에서 독소형 콜레라균(Vibrio cholerae O1 또는 O139) 분리동정 ○ 추정 진단 검체(대변, 직장도말, 구토물)에서 독소 유무를 알 수 없는 V. cholerae O1 또는 O139 분리 동정 검체(대변, 직장도말, 구토물)에서 독소 유전자(ctx) 검출 |
[2-4] 콜레라(Cholera) (5)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확인 진단 검체(대변, 직장도말, 구토물)에서 독소형 콜레라균(V. cholerae O1 또는 O139) 분리동정 ○ 추정 진단 검체(대변, 직장도말, 구토물 등)에서 독소 유무를 알 수 없는 V. cholerae O1 또는 O139 분리 동정 검체(대변, 직장도말, 구토물 등)에서 독소 유전자(ctxA) 검출 |
|
[2-8] 장출혈성대장균(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감염증 (5)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확인 진단 검체(대변, 직장도말)에서 독소 유전자(stx1, stx2)를 보유한 E. coli 분리 동정 ○ 추정 진단 검체(대변, 직장도말)에서 독소 유전자(stx1, stx2)* 검출 * shiga-toxin과 verotoxin은 동일한 독소임 |
[2-8] 장출혈성대장균(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감염증 (5)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확인 진단 검체(대변, 직장도말)에서 독소 유전자(stx1, stx2)를 보유한 E. coli 분리 동정 ○ 추정 진단 검체(대변, 직장도말)에서 독소 유전자(stx1, stx2) 검출 * 삭제 |
|
[2-9] A형간염(Viral hepatitis A) (1) 정의 A형간염 바이러스(Hepatitis A virus) 감염에 의한 급성 간염 질환 |
[2-9] A형간염(Viral hepatitis A) (1) 정의 A형간염 바이러스(Hepatovirus A) 감염에 의한 급성 간염 질환 |
|
[2-11] 유행성이하선염(Mumps) (1) 정의 유행성이하선염 바이러스(Mumps rubulavirus) 감염에 의한 이하선 부종이 특징적인 급성 발열성 질환 5)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검체(타액, 볼점막도말, 구인두도말, 비인두도말, 혈액, 소변, 뇌척수액)에서 Mumps rubulavirus 분리 ○ 회복기 혈청의 항체가가 급성기에 비하여 4배 이상 증가 ○ 검체(혈액)에서 특이 IgM 항체 검출 ○ 검체(타액, 볼점막도말, 구인두도말, 비인두도말, 혈액, 소변, 뇌척수액)에서 특이 유전자 검출 |
[2-11] 유행성이하선염(Mumps) (1) 정의 유행성이하선염 바이러스(Mumps orthorubulavirus) 감염에 의한 이하선 부종이 특징적인 급성 발열성 질환 5)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검체(타액, 볼점막도말, 구인두도말, 비인두도말, 혈액, 소변, 뇌척수액)에서 Mumps orthorubulavirus 분리 ○ 회복기 혈청의 항체가가 급성기에 비하여 4배 이상 증가 ○ 검체(혈액)에서 특이 IgM 항체 검출 ○ 검체(타액, 볼점막도말, 구인두도말, 비인두도말, 혈액, 소변, 뇌척수액)에서 특이 유전자 검출 |
|
[2-12] 풍진(Rubella) (1) 정의 풍진 바이러스(Rubella virus) 감염에 의한 급성 발열성 질환 (5)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① 선천성 풍진 ○ 검체(비강도말, 구인두도말, 비인두도말, 혈액, 소변, 뇌척수액)에서 Rubella virus 분리 ○ 모체 항체가가 없어지는 시기(생후 약 9개월) 이후에도 항체 지속 검출 ○ 검체(혈액)에서 특이 IgM 항체 검출 ○ 검체(비강도말, 구인두도말, 비인두도말, 혈액, 소변, 뇌척수액)에서 특이 유전자 검출 ② 후천성 풍진 ○ 검체(비강도말, 구인두도말, 비인두도말, 혈액, 소변, 뇌척수액)에서 Rubella virus 분리 ○ 회복기 혈청의 항체가가 급성기에 비하여 4배 이상 증가 ○ 검체(혈액)에서 특이 IgM 항체 검출 ○ 검체(비강도말, 구인두도말, 비인두도말, 혈액, 소변, 뇌척수액)에서 특이 유전자 검출 |
[2-12] 풍진(Rubella) (1) 정의 풍진 바이러스(Rubivirus rubellae) 감염에 의한 급성 발열성 질환 (5)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① 선천성 풍진 ○ 검체(비강도말, 구인두도말, 비인두도말, 혈액, 소변, 뇌척수액)에서 Rubivirus rubellae 분리 ○ 모체 항체가가 없어지는 시기(생후 약 9개월) 이후에도 항체 지속 검출 ○ 검체(혈액)에서 특이 IgM 항체 검출 ○ 검체(비강도말, 구인두도말, 비인두도말, 혈액, 소변, 뇌척수액)에서 특이 유전자 검출 ② 후천성 풍진 ○ 검체(비강도말, 구인두도말, 비인두도말, 혈액, 소변, 뇌척수액)에서 Rubivirus rubellae 분리 ○ 회복기 혈청의 항체가가 급성기에 비하여 4배 이상 증가 ○ 검체(혈액)에서 특이 IgM 항체 검출 ○ 검체(비강도말, 구인두도말, 비인두도말, 혈액, 소변, 뇌척수액)에서 특이 유전자 검출 |
|
2-14] 수막구균 감염증(Meningococcal disease) (5)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검체(뇌척수액, 혈액, 비인두도말 등)에서 N. meningitidis 분리 동정 |
[2-14] 수막구균 감염증(Meningococcal disease) (5)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검체(뇌척수액, 혈액 등)에서 N. meningitidis 분리 동정 |
|
[2-19] 반코마이신내성황색포도알균(VRSA) 감염증 (5)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내성기준은 CLSI (M100-30th ed, 2020) 지침에 근거 |
[2-19] 반코마이신내성황색포도알균(VRSA) 감염증 (5)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내성기준은 CLSI (M100-32st ed, 2022) 지침에 근거 |
|
[2-20]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속균종(CRE) 감염증 (5)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내성기준은 CLSI (M100-30th ed, 2020) 지침에 근거 |
[2-20]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속균종(CRE) 감염증 (5)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내성기준은 CLSI (M100-32st ed, 2022) 지침에 근거 |
|
[2-21] E형간염(Viral hepatitis E) (1) 정의 E형간염 바이러스(Hepatitis E virus) 감염에 의한 급성 간염 및 만성 간 질환 |
[2-21] E형간염(Viral hepatitis E) (1) 정의 E형간염 바이러스(Paslahepevirus balayani) 감염에 의한 급성 간염 및 만성 간 질환 |
|
[2-22]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5)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검체(비인두도말, 구인두도말, 가래 등)에서 코로나바이러스(SARS-CoV-2) 유전자검출, 바이러스 분리 등 |
[2-22]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5)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검체(비인두도말, 구인두도말, 가래 등)에서 특이 유전자 검출 등 |
|
[2-23] 원숭이두창 (3) 신고를 위한 진단기준 ○ 환자 - 원숭이두창에 부합되는 임상증상을 나타내면서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따라 감염병 병원체 감염이 확인된 사람 ○ 의사환자 - 임상증상 및 역학적 연관성을 고려하여 원숭이두창이 의심되나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부합하는 검사결과가 없는 사람 (5)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검체(피부병변액, 피부병변조직, 가피, 혈액 등)에서 특이 유전자 검출 |
[2-23] 엠폭스(MPOX) (3) 신고를 위한 진단기준 ○ 환자 - 엠폭스에 부합되는 임상증상을 나타내면서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따라 감염병 병원체 감염이 확인된 사람 ○ 의사환자 - 임상증상 및 역학적 연관성을 고려하여 엠폭스가 의심되나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부합하는 검사결과가 없는 사람 (5)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검체(피부병변액, 피부병변조직, 가피, 구인두도말, 혈액 등)에서 특이 유전자 검출 |
|
[3-4] C형간염(Viral hepatitis C) (1) 정의 C형간염 바이러스(Hepatitis C virus) 감염에 의한 간염 질환 |
[3-4] C형간염(Viral hepatitis C) (1) 정의 C형간염 바이러스(Hepacivirus C) 감염에 의한 간염 질환 |
|
[3-5] 말라리아(Malaria) (5)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확인 진단 - 검체(혈액)에서 도말검사로 말라리아 원충 확인 - 검체(혈액)에서 특이 유전자 검출 ○ 추정 진단 - 검체(혈액)에서 특이 항원 검출(신속진단키트 포함) |
[3-5] 말라리아(Malaria) (5)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확인 진단 - 검체(혈액)에서 도말검사로 말라리아 원충(충체) 확인 - 검체(혈액)에서 특이 유전자 검출 ○ 추정 진단 - 검체(혈액)에서 특이 항원 검출(신속진단검사 포함) |
|
[3-13] 공수병(Rabies) (1) 정의 공수병 바이러스(Rabies virus)의 감염에 의한 질환 (5)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검체(타액)에서 Rabies virus 분리 ○ 검체(목 피부조직, 뇌조직)에서 특이 항원 검출 ○ 검체(혈액, 뇌척수액)에서 특이 항체 검출 ○ 검체(타액, 목 피부조직, 뇌조직)에서 특이 유전자 검출 |
[3-13] 공수병(Rabies) (1) 정의 공수병 바이러스(Lyssavirus rabies)의 감염에 의한 질환 (5)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검체(타액)에서 Lyssavirus rabies 분리 ○ 검체(목 피부조직, 뇌조직)에서 특이 항원 검출 ○ 검체(혈액, 뇌척수액)에서 특이 항체 검출 ○ 검체(타액, 목 피부조직, 뇌조직)에서 특이 유전자 검출 |
|
[3-14] 신증후군출혈열(유행성출혈열) (5)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확인 진단 검체(혈액, 뇌척수액)에서 특이 항원 검출 회복기 혈청의 항체가가 급성기에 비하여 4배 이상 증가 검체(혈액)에서 특이 IgM 항체 검출 예방접종을 받지 않은 자 중에 간접면역형광항체법으로 항체가가 1:512 이상 검체(혈액, 뇌척수액)에서 특이 유전자 검출 ○ 추정 진단 예방접종을 받은 자 중에 간접면역형광항체법으로 특이 IgG 항체 검출 기타 다른 검사법으로 특이 항체 검출(예방접종 여부 관계 없음) |
[3-14] 신증후군출혈열(유행성출혈열) (5)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확인 진단 (삭제) 회복기 혈청의 항체가가 급성기에 비하여 4배 이상 증가 검체(혈액)에서 특이 IgM 항체 검출 예방접종을 받지 않은 자 중에 간접면역형광항체법으로 항체가가 1:512 이상 검체(혈액, 뇌척수액)에서 특이 유전자 검출 ○ 추정 진단 예방접종을 받은 자 중에 간접면역형광항체법으로 특이 IgG 항체 검출 기타 다른 검사법으로 특이 항체 검출(예방접종 여부 관계 없음) |
|
[3-22] 진드기매개뇌염(Tick-borne Encephalitis) (5)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검체(혈액, 뇌척수액)에서 Tick-borne encephalitis virus 분리 ○ 회복기 혈청의 항체가가 급성기에 비해 4배 이상 증가 ○ 검체(혈액, 뇌척수액)에서 특이 IgM 항체 검출 ○ 검체(혈액, 뇌척수액)에서 특이 유전자 검출 |
[3-22] 진드기매개뇌염(Tick-borne Encephalitis) (5)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검체(혈액, 뇌척수액)에서 Tick-borne encephalitis virus 분리 - 회복기 혈청의 항체가가 급성기에 비해 4배 이상 증가 - 검체(혈액, 뇌척수액)에서 특이 항체 검출 - 검체(혈액, 뇌척수액)에서 특이 유전자 검출 |
|
[4-1] 인플루엔자(Influenza) (5)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검체(구인두도말, 비인두도말, 비인두흡입물, 비강흡입물, 기관지폐포세척액, 가래)에서 Influenza virus 분리 ○ 회복기 혈청의 항체가가 급성기에 비하여 4배 이상 증가 ○ 검체(구인두도말, 비인두도말, 비인두흡입물, 비강흡입물, 기관지폐포세척액, 가래)에서 특이 유전자 검출 |
[4-1] 인플루엔자(Influenza) (5)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삭제) ○ (삭제) ○ 검체(구인두도말, 비인두도말, 비인두흡입물, 비강흡입물, 기관지폐포세척액, 가래)에서 특이 유전자 검출 |
|
[4-5] 요충증(Enterobius) | [4-5] 요충증(Enterobiasis) | |
[4-8] 장흡충증(Metagonimiasis) | [4-8] 장흡충증(Intestinal fluke infections) | |
[4-13] 성기단순포진(Genital herpes) (1) 정의 제2형 단순 포진 바이러스(Herpes simplex virus type II) 감염에 의한 성기부위의 수포성 질환 (5)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검체(수포나 궤양 병변 등에서 나오는 분비물, 궤양부위도말)에서 Herpes simplex virus typeⅡ 분리 ○ 검체(혈액, 수포나 궤양 병변 등에서 나오는 분비물, 궤양부위도말)에서 특이 항체 검출 ○ 검체(혈액, 수포나 궤양 병변 등에서 나오는 분비물, 궤양부위도말)에서 특이 유전자 검출 |
[4-13] 성기단순포진(Genital herpes) (1) 정의 제2형 단순 포진 바이러스(Human alphaherpesvirus 2) 감염에 의한 성기부위의 수포성 질환 (5)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검체(수포나 궤양 병변 등에서 나오는 분비물, 궤양부위도말)에서 Human alphaherpesvirus 2 분리 ○ 검체(혈액, 수포나 궤양 병변 등에서 나오는 분비물, 궤양부위도말)에서 특이 항체 검출 ○ 검체(혈액, 수포나 궤양 병변 등에서 나오는 분비물, 궤양부위도말)에서 특이 유전자 검출 |
|
[4-15] 반코마이신내성장알균(VRE) 감염증 (5)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내성기준은 CLSI (M100-S29, 2019) 지침에 근거 |
[4-15] 반코마이신내성장알균(VRE) 감염증 (5)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내성기준은 CLSI (M100-32st ed, 2022) 지침에 근거 |
|
[4-16] 메티실린내성황색포도알균(MRSA) 감염증 (5) 진단을 위한 검사 기준 ※ 내성기준은 CLSI (M100-S29, 2019) 지침에 근거 |
[4-16] 메티실린내성황색포도알균(MRSA) 감염증 (5) 진단을 위한 검사 기준 ※ 내성기준은 CLSI (M100-32st ed, 2022) 지침에 근거 |
|
[4-17] 다제내성녹농균(MRPA) 감염증 (5) 진단을 위한 검사 기준 ※ 내성기준은 CLSI (M100-S29, 2019) 지침에 근거 |
[4-17] 다제내성녹농균(MRPA) 감염증 (5) 진단을 위한 검사 기준 ※ 내성기준은 CLSI (M100-32st ed, 2022) 지침에 근거 |
|
[4-18] 다제내성아시네토박터바우마니균(MRAB) 감염증 (5) 진단을 위한 검사 기준 ※ 내성기준은 CLSI (M100-S29, 2019) 지침에 근거 |
[4-18] 다제내성아시네토박터바우마니균(MRAB) 감염증 (5) 진단을 위한 검사 기준 ※ 내성기준은 CLSI (M100-32st ed, 2022) 지침에 근거 |
|
[4-19-사)] 클로스트리듐 퍼프린젠스 감염증(Clostridium perfringens enteritis) (5)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검체(대변, 구토물)에서 106개 균/g 이상 C. perfringens 검출 ○ 검체(대변, 직장도말, 구토물)에서 장독소 특이 유전자(cpa 및 cpe)를 가진 C. perfringens 분리 동정 |
[4-19-사)] 클로스트리듐 퍼프린젠스 감염증(Clostridium perfringens enteritis) (5)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검체(대변, 구토물)에서 106개 균/g 이상 C. perfringens 검출 ○ 검체(대변, 직장도말, 구토물)에서 장독소 특이 유전자(cpa와 cpe)를 가진 C. perfringens 분리 동정 |
|
[4-19-타)] 그룹 A형 로타바이러스 감염증(Group A Rotavirus infection) (1) 정의 그룹 A형 로타바이러스(Group A Rotavirus) 감염에 의한 급성 위장관염 |
[4-19-타)] 그룹 A형 로타바이러스 감염증(Group A Rotavirus infection) (1) 정의 그룹 A형 로타바이러스(Rotavirus A) 감염에 의한 급성 위장관염 |
|
[4-19-하)] 장내 아데노바이러스 감염증(Enteric Adenovirus infection) (1) 정의 장내 아데노바이러스(Enteric Adenovirus) 감염에 의한 급성 위장관염 |
[4-19-하)] 장내 아데노바이러스 감염증(Enteric Adenovirus infection) (1) 정의 장내 아데노바이러스(Human mastadenovirus F) 감염에 의한 급성 위장관염 |
|
[4-19-러)] 람블편모충 감염증(Giardiasis) (5)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검체(대변, 장내흡인물 등)에서 원충 확인 ○ 검체(대변)에서 특이 유전자 검출 ○ 검체(대변, 장내흡인물)에서 특이 항원 검출 |
[4-19-러)] 람블편모충 감염증(Giardiasis) (5)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검체(대변, 장내흡인물 등)에서 충체 확인 ○ 검체(대변)에서 특이 유전자 검출 ○ 검체(대변, 장내흡인물)에서 특이 항원 검출 |
|
[4-19-버)] 원포자충 감염증(Cyclosporiasis) (5)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검체(대변, 장생검조직)에서 원충 확인 ○ 검체(대변, 장생검조직)에서 특이 유전자 검출 |
[4-19-버)] 원포자충 감염증(Cyclosporiasis) (5)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검체(대변, 장생검조직)에서 충체 확인 ○ 검체(대변, 장생검조직)에서 특이 유전자 검출 |
|
[4-20-가)] 아데노바이러스 감염증(Adenovirus infection) (5)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검체(구인두도말, 비인두도말, 비강흡인물, 비인두흡인물, 기관지폐포세척액, 가래 등)에서 Adenovirus 분리 ○ 검체(구인두도말, 비인두도말, 비강흡인물, 비인두흡인물, 기관지폐포세척액, 가래 등)에서 특이 유전자 검출 |
[4-20-가)] 아데노바이러스 감염증(Adenovirus infection) (5)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삭제) ○ 검체(구인두도말, 비인두도말, 비강흡인물, 비인두흡인물, 기관지폐포세척액, 가래 등)에서 특이 유전자 검출 |
|
[4-20-다)]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 감염증(Parainfluenza virus infection) (5)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검체(구인두도말, 비인두도말, 비강흡인물, 비인두흡인물, 기관지폐포세척액, 가래 등)에서 Parainfluenza virus 분리 ○ 검체(구인두도말, 비인두도말, 비강흡인물, 비인두흡인물, 기관지폐포세척액, 가래 등)에서 특이 유전자 검출 |
[4-20-다)]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 감염증(Parainfluenza virus infection) (5)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삭제) ○ 검체(구인두도말, 비인두도말, 비강흡인물, 비인두흡인물, 기관지폐포세척액, 가래 등)에서 특이 유전자 검출 |
|
[4-20-라)]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감염증(Respiratory syncytial virus infection) (5)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검체(구인두도말, 비인두도말, 비강흡인물, 비인두흡인물, 기관지폐포세척액, 가래 등)에서 Respiratory syncytial virus 분리 ○ 검체(구인두도말, 비인두도말, 비강흡인물, 비인두흡인물, 기관지폐포세척액, 가래 등)에서 특이 유전자 검출 |
[4-20-라)]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감염증(Respiratory syncytial virus infection) (5)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삭제) ○ 검체(구인두도말, 비인두도말, 비강흡인물, 비인두흡인물, 기관지폐포세척액, 가래 등)에서 특이 유전자 검출 |
|
[4-21-나)] 바베스열원충증(Babesiosis) (5)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검체(혈액, 골수, 림프절, 피부조직)에서 도말검사로 충체 확인 ○ 검체(혈액, 골수, 림프절, 피부조직)에서 특이 유전자 검출 |
[4-21-나)] 바베스열원충증(Babesiosis) (5)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검체(혈액)에서 도말검사로 충체 확인 ○ 검체(혈액)에서 특이 유전자 검출 |
|
[4-21-다)] 아프리카수면병(African Trypanosomiasis) (1) 정의 파동편모충(Trypanosoma brucei gambiense, T. b. rhodesiense) 감염에 의한 질환 |
[4-21-다)] 아프리카수면병(African Trypanosomiasis) (1) 정의 파동편모충(Trypanosoma brucei gambiense, Trypanosoma brucei rhodesiense) 감염에 의한 질환 |
|
[4-21-마)] 샤가스병(Chagas’ disease) (5)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검체(혈액)에서 파동편모형 원충 확인 ○ 검체(혈액, 림프절, 골수)에서 현미경검경으로 무편모형 원충 확인 |
[4-21-마)] 샤가스병(Chagas disease) (5)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검체(혈액)에서 파동편모형 충체 확인 ○ 검체(조직, 림프절, 골수)에서 무편모형 충체 확인 |
'질병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룹 A형 로타바이러스 감염증 국가예방접종 실시에 따른 이상반응 관련 안내2023.3.3 (0) | 2023.03.06 |
---|---|
2023-118호 예방접종업무의 위탁에 관한 규정/2023.3.6 (0) | 2023.03.02 |
질청2023-3호 감염병의 진단기준 일부 개정 안내23.2.20 (0) | 2023.02.21 |
보툴리눔 항독소 치료 안내 2023.2.16 (0) | 2023.02.21 |
코로나19 예방접종업무 위탁의료기관 예방접종 시행비용 공고 안내 (0) | 2023.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