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

인플루엔자 유행 지속, 감염 주의 당부 : 2020-01-10

야국화 2020. 1. 13. 09:37

인플루엔자 유행 지속, 감염 주의 당부 : 2020-01-10

 담당자 : 박광숙/ 담당부서 : 감염병총괄과043-719-7113


인플루엔자 유행 지속, 감염 주의 당부

◇ 유행주의보 발령(2019.11.15.)이후 지속적으로 환자 발생 증가(45주 7.0명→ ‘20.1주 49.1명)
◇ 발열, 기침 등 인플루엔자 의심 증상이 있을 경우 가까운 의료기관에서 진료
◇ 인플루엔자 예방과 확산방지를 위한 올바른 손씻기, 기침예절 등 개인위생 준수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11월 15일 인플루엔자 유행주의보 발령 이후 인플루엔자 의사환자(유사증상환자)*가 지속 증가하면서 유행이 지속되고 있어(20년 제1주 외래환자 천명당 49.1명) 영유아 보육시설, 학교, 요양시설 등 집단시설과 가정 등에서 인플루엔자 예방을 위한 각별한 주의와 관심을 가져 줄 것을 당부하였다.
    * 인플루엔자 의사환자: 38℃ 이상의 갑작스러운 발열과 더불어 기침 또는 인후통을 보이는 자

 2019-2020절기 인플루엔자 유행기준: 5.9명/1,000명

(인플루엔자 유행기준 공식 : 과거 3년간 비유행기간 평균 인플루엔자의사환자(ILI) 분율 + 2×표준편차) 


 ○ 올해 인플루엔자 의사환자는 증가하고 있으나, 증가속도는 지난 3년에 비해서는 낮다.

 ○ 연령별로는 7-12세의 인플루엔자 의사환자분율*이 가장 높은 등 집단생활을 하는 초·중·고생에서 많이

     발생하고 있다.
    * 인플루엔자 의사환자 분율: ‘19.51주(12.15-21.) 외래환자 천명당 37.8명 → 52주(12.22-28.) 49.8명 →

       ‘20.1주(12.29-1.4) 49.1명
      (7~12세): 51주 102.2명 → 52주 128.8명 → ‘20. 1주 113.2명(/외래환자 1,000명)
      (13~18세): 51주 61.3명 → 52주 91.1명 → ‘20. 1주 93.6명(/외래환자 1,000명)


  ○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시 결과 2019-2020절기 시작(2019.9.1.) 이후 제1주까지(2020.1.4.) 총 596건의

      바이러스가 검출되었고 이 중 A(H1N1)pdm09는 430건(72.1%), A(H3N2)는 147건(24.7%) 그리고 B(Vi

      ctoria)는 19건(3.2%)이었고,
   - 검출된 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오셀타미비르 계열* 항바이러스제에 내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타미플루캡슐 등 경구투여용 항바이러스제


□ 질병관리본부는 인플루엔자 감염예방 및 확산방지를 위해 미접종자는 빠른 시일 내에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을 받을 것을 권고하였다.

    * (예방접종률) 생후 6개월∼12세 어린이 76.9%(6세 이하 84.4%, 7∼9세 75.4%, 10∼12세 64.6%),

      임신부 33.8%, 만 65세 이상 어르신 83.4%(’20.1.8.기준)

 ○ 특히, 인플루엔자에 걸리면 합병증 발생이 높은 임신부들과 다른 연령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접종률이 낮은 10~12세 어린이는 봄까지 유행이 지속되므로 아직 맞지 않았다면 지금이라도 예방접종을 완료하도록 당부하였다.


□ 65세 이상 어르신, 임신부, 소아, 면역저하자 등 고위험군 환자는 유행주의보 발령 시 인플루엔자 검사 없이 항바이러스제의 요양급여가 인정되므로, 38℃이상의 발열과 기침 또는 인후통 같은 인플루엔자 의심증상이 있는 경우 가까운 의료기관에서 신속하게 진료를 받도록 권고하였다.

 ○ 소아·청소년에서 경련과 섬망 등으로 인한 이상행동이 보도된 바 있는  오셀타미비르 계열 항바이러스제*

     부작용 논란과 관련해서는, 세계적으로 인과관계가 인정되고 있지 않으나,
   - 의료인에게는 인플루엔자 진료 시 이상행동 등 해당 증상 발생에 대한 경과 관찰이 필요하다는 충분한

     설명을, 환자 보호자에게는 이상행동이 나타날 수 있는 인플루엔자 발병 초기에 주의 깊은 환자 관찰을

     당부하였다.
    * 타미플루캡슐 등 경구투여용 항바이러스제


□ 아울러, 유행기간 동안 영유아 보육시설, 학교, 요양시설 등 집단시설에서 인플루엔자 예방관리 강화를

   요청하였다.

 ○ 영유아나 학생이 인플루엔자에 감염되었을 경우 집단 내 전파를 예방하기 위해 해열제 없이 체온이 정상

     으로 회복한 후 24시간까지 어린이집, 유치원, 학교 및 학원 등에 등원·등교를 하지 않도록 하고,

 ○ 노인요양시설 등 고위험군이 집단생활하는 시설에서는 직원 및 입소자에게 예방접종을 실시하고, 입소자

     의 인플루엔자 증상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호흡기 증상이 있는 방문객의 방문을 제한하며, 유증상자는

     별도로 생활하도록 해야 한다고 권고하였다.


□ 질병관리본부 정은경 본부장은 “인플루엔자 예방을 위해 어린이, 임신부, 어르신 등은 예방접종을 완료

   할 것”과, “손씻기, 기침예절 실천 등 개인위생수칙을 준수할 것”을 재차 당부하였다.

  ◀ 개인위생수칙 ▶  

◇ 올바른 손씻기의 생활화

  -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손씻기

  - 외출 후, 식사 전·후, 코를 풀거나 기침, 재채기 후, 용변 후 등

◇ 기침예절 실천

  - 기침할 때는 휴지나 옷소매 위쪽으로 입과 코를 가리고 하기

  - 사용한 휴지나 마스크는 바로 쓰레기통에 버리기

  - 기침 후 반드시 올바른 손씻기 실천

  - 호흡기증상이 있을 시 마스크 착용

◇ 씻지 않은 손으로 눈, 코, 입 만지지 않기


  <붙임> 1. 인플루엔자 발생현황
□ 인플루엔자 의사환자분율(인플루엔자 표본감시, 1차 의료기관 200개)
  ○  제1주(‘19.12.29~’20.1.4) 인플루엔자 의사환자분율은 외래환자 1,000명당 49.1명으로 전주(49.8명)

      대비 감소, 전년 동기간(53.1명) 대비 낮은 수준
      * 2019-2020절기 유행기준 : 5.9명/1,000명
□ 인플루엔자 입원환자 현황(급성호흡기감염증 표본감시, 종합병원급 200개)
  ○ 제1주(‘19.12.29~’20.1.4) 인플루엔자 입원환자는 1,343명으로 지난주(1,317명) 대비 증가


        2.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검출현황
□ 인플루엔자바이러스 검출현황 및 유전형 분석 결과
  ○ 2019-2020절기(‘19.36주~’20.1주)에 총 596건 검출 [A(H1N1)pdm09 430건, A(H3N2) 147건,

      B(Victoria) 19건]
○  국내에서 검출된 인플루엔자바이러스 유전형은 A(H1N1)pdm09는 6B.1a, A(H3N2)는 3C.2a.1b,

      B(Victoria)는 1A 이며 항바이러스제 내성 없음.


        3.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안내 및 접종현황
□ 2019-2020절기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 개요

 ○ 대상자별 사업기간

구분

접종기간

접종대상

어린이

(2007.1.1.2019.8.31.

 출생아)

2019.9.172020.4.30

2회 접종 대상자

2019.10.152020.4.30

1회 접종 대상자

어르신

2019.10.152019.11.22

75세 이상(1944.12.31.이전 출생자)

* 보건소는 백신 소진 시까지

2019.10.222019.11.22

65세 이상(1954.12.31.이전 출생자)

* 보건소는 백신 소진 시까지

임신부

2019.10.152020.4.30

산모수첩, 고운맘카드 등을 통해

 임신여부를 확인한 임신부


○ 접종기관: 지정의료기관 및 보건소
     * 보건소는 지역에 따라 예방접종일정이 다를 수 있으므로 보건소 방문 전에 확인 필요
     * 지정의료기관은 관할 보건소 문의, 예방접종도우미 누리집(http://nip.cdc.go.kr), 스마트폰 앱에서

       확인가능

□ 어린이 지원대상자별·주수별 누적 접종률 현황                                                      (단위:%)

구분

2019-2020

(’19.10.15.’20.1.8.)

2018-2019

(전년 동기간)

증감

어린이

76.9

72.9

4.0

 

- 635개월

88.7

87.7

1.0

- 3659개월

83.4

80.7

2.7

- 6083개월

79.9

76.5

3.4

- 79

75.4

69.7

5.7

- 1012

64.6

57.8

6.8

어르신

83.4

84.2

0.8

임신부

33.8

-

-

* ’20.1.8. 예방접종통합관리시스템 등록 기준(4가 유료백신 접종 포함)
* 어린이는 예방접종률은 1회 접종, 2회 접종 대상자 중 1차 접종 완료자에 대한 접종률임


        4. 인플루엔자 우선접종 권장대상자
◦「예방접종의 실시기준 및 방법(질병관리본부 고시 제2019-1호)」
 1)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시 합병증 발생이 높은 대상자(고위험군)
 - 65세 이상 노인
 - 생후 6개월~59개월 소아
 - 임신부
 - 만성폐질환자, 만성심장질환자(단순 고혈압 제외)
 - 만성질환으로 사회복지시설 등 집단 시설에서 치료, 요양, 수용 중인 사람
 - 만성 간 질환자, 만성 신 질환자, 신경-근육 질환, 혈액-종양 질환, 당뇨환자, 면역저하자(면역억제제

    복용자), 60개월~18세의 아스피린 복용자
 - 50~64세 성인
  * 50~64세 성인은 만성질환을 가진 경우 인플루엔자 감염 시 합병증 발생가능성이 높으나 예방접종률이

     낮아 포함된 대상으로 65세 이상 노인과 구분
 2) 고위험군에게 인플루엔자를 전파시킬 위험이 있는 대상자
 - 의료기관 종사자
 - 6개월 미만 영아를 돌보는 자
 - 만성질환자, 임신부, 65세 이상 노인 등과 함께 거주하는 자
 3) 집단생활로 인한 인플루엔자 유행 방지를 위해 접종이 권장되는 대상자
 - 생후 60개월~18세 소아 청소년
◦「조류인플루엔자 대응정책」
 - 조류인플루엔자 대응 기관 종사자
 - 닭·오리·돼지농장 및 관련업계 종사자
☞ 우선접종권장대상자 중 현재 무료사업 대상은 65세 이상 어르신, 생후 6개월 ∼ 12세 어린이, 임신부(’19년 확대)

        5. 인플루엔자 개요

정 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Influenza virus ABC) 감염에 의한 급성 호흡기 질환

질병분류

ICD-10 J10.0~11.8

병원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전파경로

감염된 환자의 호흡기로부터 비말(droplet)로 전파

호발대상

전 연령대 발생

잠복기

14(2)

감염 기간

전염력은 증상시작 1일전부터 45일간 가장 높아짐

, 소아나 면역저하자에서는 바이러스 배출기간이 2주이상 길어지기도 함

주요증상

고열(3840), 마른기침, 인후통 등 호흡기 증상과 두통 근육통, 피로감, 쇠약감, 식욕부진 등 전신증상을 보임

그 외에도 콧물, 코막힘, 안구통, 구토, 복통 등이 동반될 수 있음

대부분 경증으로 자연 치유되지만 노인, 영유아, 만성질환자, 임신부 등은 합병증 발생 또는 기저질환의 악화로 입원치료를 받을 수 있고 일부는 사망에 이를 수 있음

증상지속기간 59

합병증

가장 흔한 합병증은 2차 호흡기 질환으로 부비동염, 중이염 등 상부호흡기 감염증이 가장 흔하고 모세기관지염, 기관지염, 폐렴 등 하부호흡기 감염증, 신경계 합병증(뇌염, 척수염, 길랑-바레 증후군), 횡단성 척수염, 심근염, 근육염(횡문근 융해증), 기흉 등이 발생 가능함

진 단

검체(인후 및 비인두 도찰물, 인후 및 비인두 흡인물)에서

바이러스 분리

바이러스 특이 항체 검출,

바이러스 특이 유전자 검출,

회복기 혈청의 항체가가 급성기에 비하여 4배 이상 증가 확인

치 료

대증요법

항바이러스제 치료

치사율

인플루엔자 합병증등으로 인한 사망율은 0.5-1/1000환자

예 방

예방접종

일반적 예방

- 올바른 손씻기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손씻기

- 기침 예절

기침이나 재채기 할 때는 휴지나 옷소배 위로 입과 코를 가리고 하기

호흡기 증상이 있을 시 마스크 착용

- 씻지 않은 손으로 눈, , 입 등을 만지지 않기

- 급성호흡기환자와 접촉하지 않기

       


6. 인플루엔자 예방․관리를 위한 어린이 및 학생 준수사항 


     [어린이 및 학생의 준수사항]

  1) 유행 시기 전까지 예방접종 받기
  2) 개인위생 준수
    ◦ 올바른 손씻기
      -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손씻기
      - 외출 후, 코를 풀거나 기침, 재채기 후, 배변 후, 식사 전·후 등 실시
    ◦ 기침 예절 지키기
      - 기침할 때는 휴지나 옷소매 위쪽으로 입과 코를 가리고 하기
      - 기침 후 올바른 손씻기 실천
      - 호흡기 증상이 있을 시 마스크 착용
      - 사용한 휴지나 마스크는 바로 쓰레기통에 버리기
        (마스크를 버릴 때 끈 잡고 버리기)
    ◦ 씻지 않은 손으로 눈, 코, 입 만지지 않기
  3) 유행 시기에 사람이 많이 모이는 장소 가지 않기
  4) 인플루엔자 의심 증상(발열 및 기침, 인후통 등)을 보이는 사람과 접촉을 피하기
  5) 인플루엔자 의심 증상(발열 및 기침, 인후통 등) 발생 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은 후 집에서

      충분한 휴식 및 수분·영양 섭취
  6) 인플루엔자 감염 시 해열제 없이 정상체온 회복 후 24시간까지 어린이집, 유치원, 학교 및 학원 등에

      등원․등교를 하지 않도록 함



        7. 인플루엔자 예방․관리를 위한 요양시설 준수사항 


 [요양시설의 준수사항]

  1) 입소자 및 직원 유행 시기 전까지 예방접종 받기
  2) 개인위생 준수
    ◦ 올바른 손씻기
      -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손씻기
      - 외출 후, 코를 풀거나 기침, 재채기 후, 배변 후, 기저귀 교체 전·후,  식사 전·후 등 실시
    ◦ 기침 예절 지키기
      - 기침할 때는 휴지나 옷소매 위쪽으로 입과 코를 가리고 하기
      - 기침 후 올바른 손씻기 실천
      - 호흡기 증상이 있을 시 마스크 착용
      - 사용한 휴지나 마스크는 바로 쓰레기통에 버리기
        (마스크를 버릴 때 끈 잡고 버리기)
    ◦ 씻지 않은 손으로 눈, 코, 입 만지지 않기
  3) 방문객에서 발열 기침 또는 인후통을 보일 시, 면회 등 출입 관련 제한 권고
  4) 입소자 중 인플루엔자 환자 발생 시 1인실로 이동하거나, 동실 이용자를 다른 방으로 이동시켜 환자가

      거주하는 방을 1인실화
  5) 환자 또는 의심화자 발생하여 요양시설 내 유행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공동식당, 훈련실, 공동 목욕탕

      등의 시설내 집합 장소에서의 활동 제한
  6) 소속 직원이 인플루엔자 감염 시 해열제 없이 정상체온 회복 후 24시간까지 근무 제한



        8. 개인위생수칙 안내
□ 올바른 손씻기
  ○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손씻기
□ 기침예절
  ○ 옷소매 위쪽이나 휴지로 입과 코를 가리고 기침하기
  ○ 기침한 후에는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손씻기


        9. 인플루엔자 질의응답
 1. 인플루엔자란 무엇인가요?
 흔히 독감이라고 하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한 상기도 감염입니다
만 65세 이상, 유아, 임산부, 폐질환/심장질환 환자, 특정 만성질환 환자, 면역저하자 등은 폐렴 등 합병증 및 입원할 위험이 높습니다.


  2. 인플루엔자는 어떻게 전염되나요?
인플루엔자는 기침, 재채기 등을 통해 사람끼리 전염됩니다.
기침/재채기에 의해 다른 사람이나 물체에 묻은 비말을 만진 손을 씻지 않고 눈, 입 또는 코를 만질 경우에도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감염될 수 있습니다.


  3. 인플루엔자는 얼마 동안 다른 사람에게 전염시킬 수 있나요?
    인플루엔자 환자의 나이나 상태에 따라 전염기간에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성인의 경우 대개 증상이 생기기 하루 전부터 증상이 생긴 후 약 5일 동안 감염력이 있으나 소아의 경우에는 증상 발생 후 10일 이상 감염력이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4. 인플루엔자의 증상은 무엇인가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1~4일(평균 2일) 후에 증상이 나타납니다.
인플루엔자는 발열, 두통, 근육통, 콧물, 인후통, 기침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소아는 오심, 구토, 설사 등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발열 및 기타 증상은 일반적으로 7~10일 지속되지만 기침 등은 1~2주 더 오래 지속될 수 있습니다.


  5. A형 인플루엔자와 B형 인플루엔자는 어떤 차이가 있나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핵산 유형에 따라 크게 A형과 B형으로 나뉘는데 A형과 B형 모두 중등도 내지 중증 경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모든 연령에게 감염을 야기합니다. A형 바이러스는 표면 항원에 따라 다양한 아형이 유행합니다. 사람에서는 A/H1N1과 A/H3N2가 주로 감염됩니다. B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주로 소아에서 감염을 일으키며 항원형에 따라서 B/Victoria와 B/Yamagata 두 가지 계통으로 나누어집니다.


  6. 인플루엔자의 합병증은 무엇인가요?
합병증은 노인, 소아, 만성질환자 등에서 잘 발생하며 이로 인해 입원하거나 사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인플루엔자의 가장 흔한 합병증은 중이염과 세균성 폐렴이며 이외에도 심근염, 심낭염, 기흉, 기종격동, 뇌염, 뇌증, 횡단성 척수염, 횡문근융해증, 라이 증후군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만성기관지염이나 만성호흡기질환, 만성심혈관계 질환의 경우 인플루엔자 감염으로 질환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7. 인플루엔자 예방은 어떻게 하나요?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을 받고, 인플루엔자 환자와 접촉을 피하고, 올바른 손씻기와 씻지 않은 손으로 눈, 코 또는 입을 만지지 않기 등 개인위생수칙을 준수해야 합니다.


  8.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은 얼마나 효과가 있나요?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의 효과는 예방접종을 받은 사람의 연령, 기저질환, 이전 감염과 접종여부에 따른 면역 상태, 백신 바이러스 주와 유행바이러스의 일치정도에 따라 매년 A, B형의 효과가 19~52%로 나라별, 균주별로 다양하나, 백신주와 유행주가 일치할 경우 건강한 성인에서 70~90% 예방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9. 2019-2020절기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을 했는데 인플루엔자에 걸릴 수 있나요?  
걸릴 수 있습니다.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후 약 2주 가량 경과되면 방어항체가 형성되므로 그 이전에는 인플루엔자에 감염될 수 있습니다.
건강한 성인의 경우 백신 바이러스주와 유행 바이러스가 일치할 때 약 70~90%의 예방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일치하지 않을 경우 백신의 효과가 떨어지고, 개인별 면역에도 차이가 있어 인플루엔자에 걸릴 수 있습니다.
또한 어르신이나 만성질환이 있는 사람이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효과가 상대적으로 떨어질 수 있으나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은 인플루엔자로 인한 입원과 사망을 줄이는데 매우 효과적이므로 예방접종을 적극 권장합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서도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이 인플루엔자 감염을 완벽하게 예방할 수는 없지만 최선의 예방 수단으로 권고하고 있습니다.


10. 항바이러스제 요양급여의 적용기준 및 방법에 관한 세부기준

□ 항바이러스제 요양급여의 적용기준 및 방법에 관한 세부기준(보건복지부 고시 제2017-193호)


[629] Oseltamivir 경구제(품명: 타미플루캡슐 등)

허가사항 범위 내에서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투여 시 요양급여를 인정하며, 동 인정기준 이외에는 약값 전액을 환자가 부담토록 함.

                                                              - 아     래 -
  가. 생후 2주 이상 신생아를 포함한 소아 및 성인 중 다음과 같은 환자에게 인플루엔자 초기증상(기침, 두통,

       인후통 등 2개 이상의 증상 및 고열)이 발생한지 48시간 이내에 투여 시 요양급여를 인정함. 다만, 입원

       환자는 증상 발생 48시간 이후라도 의사가 투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요양급여를 인정함.
                                                                      - 다     음 -
    1. 인플루엔자 감염이 확인된 환자
     - 신속항원검사 또는 중합효소연쇄반응법으로 인플루엔자 양성이 확인된 경우.
    2. 인플루엔자주의보 발표 시에는 다음과 같은 환자.
     - 만  9세 이하 
     - 임신 또는 출산 2주 이내 산모
     - 만  65세 이상
     - 면역저하자
     - 대사장애(Metabolic disorders)
     - 심장질환(Cardiac disease)
     - 폐질환(Pulmonary disease)
     - 신장기능장애(Renal dysfunction)
     - 간질환
     - 혈액질환
     - 신경계질환 및 신경발달 장애
     - 장기간 아스피린 치료를 받고 있는 만  19세 이하 환자 등
  나. 조류인플루엔자의 경우조류인플루엔자주의보가 발표된 이후나 검사상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이

       확인된 경우에는 허가사항 범위 내(치료 및 예방) 투여 시 요양급여를 인정함


[629] Zanamivir 외용제(품명: 리렌자로타디스크)

허가사항 범위 내에서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투여 시 요양급여를 인정하며, 동 인정기준 이외에는 약값 전액을 환자가 부담토록 함.

                                                             - 아     래 -
   가. 만 7세 이상 소아 및 성인 중 다음과 같은 환자에게 인플루엔자 초기증상(기침, 두통, 인후통 등 2개

        이상의 증상 및 고열)이 발생한지 48시간 이내에 투여 시 요양급여를 인정함. 다만, 입원환자는 증상

        발생 48시간 이후라도 의사가 투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여 투여한 경우 요양급여를 인정함.

                                                                           - 다    음-
   1. 인플루엔자 감염이 확인된 환자
    - 신속항원검사 또는 중합효소연쇄반응법으로 인플루엔자 양성이 확인된 경우.
   2. 인플루엔자주의보 발표 시에는 다음과 같은 환자
    - 만  7세 이상 12세 이하 소아
    - 임신 3개월 이상 임신부 또는 출산 2주 이내 산모
    - 만  65세 이상
    - 면역저하자
    - 대사장애(Metabolic disorders)
    - 심장질환(Cardiac disease)
    - 폐질환(Pulmonary disease)
    - 신기능장애(Renal dysfunction)
    - 간질환
    - 혈액질환
    - 신경계질환 및 신경발달 장애
    - 장기간 아스피린 치료를 받고 있는 만 19세 이하 환자 등
  나. 조류인플루엔자의 경우조류인플루엔자주의보가 발표된 이후나 검사상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이

       확인된 경우에는 허가사항 범위 내(치료 및 예방) 투여 시 요양급여를 인정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