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기기 안전성 정보 추가 안내[체내용스태플]2019.4.29
1. 관련 근거: 가. 대한병원협회 기획정책 2019-157호(2019.3.21.)
나. 식품의약품안전처 의료기기안전평가과-3060(2019.4.25.)
2. 미국 FDA에서 체내용스태플과 관련하여 추가 안전성 정보를 붙임과 발표하였음을 안내하니 업무에 참고
하여 주기시 바라며, 의료기기 부작용 등 이상사례를 인지하는 경우에는 식품의약품안전처 홈페이지
(https://emed.mfds.go.kr → 보고마당 → 이상사례보고) 또는 유선(의료기기안전평가과: 043-719-5007,
5015)으로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붙임 1. 체내용스태플 해외 안전성 정보 및 권고사항
체내용스태플 해외 안전성 정보 및 권고사항
□ 해외 안전성 정보 요약
❍ 미국 식품의약품청(FDA)에서 ‘체내용스태플’ 사용과 관련된 부작용 발생 위험을 낮추기 위한 의료인 대상
권고(‘19.3.8)이후 추가 조치사항 발표(‘19.4.23)
- 체내용스태플러(stapler)의 의료기기 등급을 상향(1→2등급) 조정
- 기기 사용 관련 등 금기 및 경고사항을 제조사가 사용자에게 충분히 제공하도록 표시사항(Labeling)에
대한 권고
* 정보 출처 : https://www.fda.gov/NewsEvents/Newsroom/PressAnnouncements/ucm636469.htm
□ 의료인 대상 권고사항
• 괴사성(necrotic)이거나, 부서지기 쉽거나, 온전성(integrity)을 변경시킬 수 있는 조직
(예, 국소빈혈성/부종성 조직)에 사용하지 마시기 바람
• 제조사 라벨에 명시된 조직 두께의 최대‧최소 범위를 넘어선 조직에 사용하지 마시기 바람
• 스태플 라인에 의도하지 않는 신체 구조가 들어있는지를 시각적으로 확인하시기 바람
• 스태플을 적용 부위에 배치할 때, 기기의 조이는 부분(jaw)에 클립과 같은 방해물이 없도록 하시기 바람
• 대동맥과 같은 큰 혈관에 사용하지 마시기 바람
• 정맥구조 및 쓸개관과 같은 연약한 조직에 스태플을 클램핑(clamping)할 경우, 발사와 상관없이 조직에
손상을 초래할 수 있음을 인지하시기 바람
• 혈관에 스태플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오작동이 발생할 경우, 스태플이 조직에 접해 있는 상황에서 스태플
을 놓기 전에 혈관을 클램핑하거나 결찰하시기 바람
• 스태플과 스태플러의 호환성을 확인하시기 바람
'식약청.의약 안전성,허가사항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자용 안내서 발프로산 함유제제 (0) | 2019.05.03 |
---|---|
삭센다펜주 안전 투약 안내문 2019.5.2 (0) | 2019.05.03 |
의료기기 안전성 정보 안내[뇌혈관용스텐트]2019.4.29 (0) | 2019.04.30 |
의약품 적정사용을 위한 주의 정보의 공고 안내2019.4.19 (0) | 2019.04.29 |
의약품 안전성 서한 안내 (디옥타헤드랄스멕타이트 성분 제제)2019.4.26 (0) | 2019.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