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건강보험공단

괴로운 소변「신경인성 방광」, 지속적인 예방과 함께 꾸준한 수분섭취 필요

야국화 2017. 12. 15. 09:13

괴로운 소변「신경인성 방광」, 지속적인 예방과 함께 꾸준한 수분섭취 필요
- 2016년 총 진료환자 … 41만 5000명(남성 15만 명, 여성 27만 명)
 ·70대 이상(14만 명, 34.1%), 60대(8만 명, 19.4%), 50대(7만 명, 17.4%) 순

신경인성 방광 이란 ☞ 신경이나 근골격계 손상, 혹은 기능이상으로 배뇨와 관계된 방광이나 요도 기능에 이상이 발생하는 일종의 배뇨증상군임,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2011년~2016년 ‘신경인성 방광’ 질환으로 진료받은 진료 인원은 2011년 30만 1000 명에서 2016년 41만 5000명으로 연평균 6.6% 증가하였다.

 ❍ 남성은 2011년 11만 명에서 2016년 14만 8000명으로 연평균 6.1% 증가하였고, 여성은 2011년 19만 명에서 2016년 26만 6000명으로 연평균 6.9% 증가하였다.
❍ 2016년 기준 연령대별 진료현황을 살펴보면,
   - 70대 이상(14만 2천 명, 34.1%)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 60대(8만 명, 19.4%), 50대(7만 2000명, 17.4%) 순으로 나타났다.

   - 남성은 70대 이상(3만 9000명, 26.0%)이 가장 많았고, 60대(2만 6000명, 17.7%), 50대(2만 3000명, 15.2%) 순이며, 여성은 70대 이상(10만 3000명, 38.7%)이 가장 많았고, 60대(5만 4000명, 20.3%), 50대(4만 9000명, 18.6%) 순으로 나타났다. 
❍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비뇨기과 이석영 교수는 노인 70대 이상의 ‘신경인성 방광’ 환자가 가장 많은 이유에 대해 “비외상성 신경인성 방광은 주로 노인층에서 많이 발병하며 특히 고령층으로 갈수록 남성들은 전립선비대증이외에도 방광수축력 저하로 인한 과도한 잔뇨량 증가 등으로 이에 대한 환자증가가 원인이고 여성일 경우에도 고령층으로 갈수록 말초신경 혹은 중추신경 장애 등으로 배뇨증상을 호소하는 환자군의 증가로 인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하였다.  

 - ’신경인성 방광‘ 질환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시 문제점에 대해 “요폐나 배뇨후 다량의 잔뇨 등이 남는 저수축성 방광 형태일 경우는 지속적, 재발성 요로감염으로 인한 상부요로감염, 이로 인한 신부전이나 요로계 결석 질환이 빈번할 수 있으며 배뇨근과반사나 요도괄약근비협조 형태의 신경인성 방광일 경우는 고충전기 방광내압(방광의 유순도가 저하된 환자에게서 소변이 채워질 때 압력이 완충이 안되고 지속적으로 상승함으로써 상부요로(신장)에 손상을 주는 경우, high filling intravesical pressure)으로 인한 고배뇨근요실금(일류성요실금), 방광요관역류증, 신부전 등으로 인한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외에도 지속적인 삶의 질 저하로 인한 대인기피증, 우울증 등의 정신의학적 합병증도 빈번히 발생할 수 있다”고 밝혔다.
   
 ❍ 2016년 인구 10만 명당 진료인원을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 남성은 70대 이상이 2,205명으로 가장 많고, 60대 1,044명, 50대 543명
    순이며, 여성은 70대 이상이 4,014명으로 가장 많고, 60대 2,029명,
    50대 1,206명 순으로 나타났다.

❍ 2011년부터  2016년까지 ‘신경인성 방광’ 질환의 진료비 추이를 살펴
   보면, 2011년 511억 원에서 2016년 844억 원으로 334억 원이 증가
   하여, 연평균 10.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동일 기간에 입원의 진료비는 48억 원에서 99억 원으로 연평균 15.7% 증가하였고, 외래의 진료비는 463억 원에서 746억 원으로 연평균 10.0%증가하였다.


□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비뇨기과 이석영 교수는 '신경인성 방광‘ 질환의 증상 및 원인, 치료법 및 치료시 주의사항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 하였다.
 ❍ ‘신경인성 방광’ 질환의 증상
  - 다양한 배뇨증상을 유발할 수 있는데 요폐, 요의소실, 진성요실금, 빈뇨, 야간뇨, 불수의적 배뇨근 수축으로 인한 절박뇨 및 절박성 요실금등이 있을 수 있고 다량의 잔뇨나 요폐로 인해 상부요로 기능 저하  혹은 신부전, 요로감염증으로 인한 패혈증까지 유발 할 수 있다.

 ❍ ‘신경인성 방광 ‘질환의 원인과 치료
  - (원인) 척수손상, 파킨스병, 뇌졸중, 허혈성 혹은 출혈성 뇌병변, 치매, 뇌성마비, 다발성경화증, 다계통위축증, 오래 지속된 당뇨병 등 여러 원인으로 유발될 수 있다.

 - (치료) 치료목적으로는 증상호전, 기능적 능력회복, 삶의 질 향상, 이차적인 부작용 발생방지, 상부요로악화 예방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치료방법으로는 청결 간헐적도뇨법이나 치골상부 요도카테타삽입술, 약물치료, 전기자극이나 신경조정요법, 방광내 약물주입이나 보톡스 주입술, 인공요도삽입술 등이 있다. 그렇지만 무엇보다 신경인성 방광으로 인한 합병증을 예방하고 이에 대한 치료도 반드시 병행해야 한다.

 ❍ ‘신경인성 방광’ 질환의 진단 ․ 검사
  - 자세한 병력청취와 신체검진, 특히 신경학적검사 등이 중요하다. 이외에도 배뇨일지, 요검사, 혈액검사, 신장초음파 등의 영상의학 검사 등도 선행되어야 하고 요류검사와 배뇨 후 잔뇨측정검사, 요역동학적 검사

 혹은 비디오 요역동학적 검사 등이 필요하다. 이외에도 상부요로 손상여부에 대한 핵의학검사나 방광요관역류검사, 방광경 검사 등도 필요할 수 있다. 
❍ ‘신경인성 방광’ 질환의 조기치료 필요성 및 예방법
  - 신경인성 방광의 증상은 워낙 다양하기 때문에 요폐 등으로 인한 하부요로폐색증상이 오래 방치될 경우는 신장 등의 상부요로 기능 저하로 인한 신부전으로 혈액투석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고 진성요실금 등은 지속적인 요로감염증이나 방광용적 저하로 인한 방광요관역류 등이 발생할 수 있다.

  - 이외에도 요로계 결석질환이나 발기부전증 등도 유발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런 증상이 있을 경우는 요로감염에 대한 조기치료를 병행하면서 지속적인 잔뇨량 증가가 있을 경우 효과적으로 줄여야하며 주기적인 상부요로기능검사를 진행해야 한다. 

  - 비외상성 신경인성 방광일 경우는 원질환에 대한 꾸준한 치료가 병행되어야 하고 특히 뇌병변으로 인한 경우는 재활치료도 중요하다.
    배뇨근과반사 형태가 많은 경우는 자극적인 식습관이나 과도한 카페인 섭취는 반드시 제한하여야하고 지속적인 약물치료로 배뇨근의 과압을 저하시켜야 한다.

  - 저수축성 방광이나 배뇨근무반사 형태인 경우에는 청결간헐적도뇨법이나 카테터의 청결을 유지해야하고 요로감염에 대한 지속적인 예방과 함께 꾸준한 수분섭취도 중요하다.

 
◈ 작성기준 ◈
  ○ 건강보험 급여실적(의료급여, 비급여, 한의분류 제외), 주상병 기준(부상병 제외)
  ○ 수진기준(진료인원은 약국진료건 제외), 2016년은 2017년 10월 청구분까지 반영,
     미청구분 자료 있을 수 있음.
  ○ 진단명이 확정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호소, 증세 등에 따라 1차진단명을 부여하고 청구한 내역중 주진단명 기준으로 발췌한 것이므로 최종 확정 된 질병과는 다를 수 있음 본 자료는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에 근거한 자료이므로 실제 유병자료와는 차이가 있음
  ○ 대상 질병코드 : 신경인성 방광(소분류 N31, 세분류 N32.8, N32.9, G83.4)
   ※ 질병코드는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통계청)에 의함


1. '신경인성 방광' 건강보험 성별 / 연령대별 진료실인원 현황

구 분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전체

301,195

325,137

335,032

349,803

371,508

414,647

남성

110,361

106,275

114,920

122,634

130,133

148,327

여성

190,834

218,862

220,112

227,169

241,375

266,320

9세 이하

10,031

10,476

10,119

10,032

9,977

9,941

남성

6,228

6,406

6,149

6,138

6,015

5,998

여성

3,803

4,070

3,970

3,894

3,962

3,943

10

7,352

7,496

7,344

7,115

6,848

7,050

남성

4,530

4,573

4,474

4,373

4,302

4,476

여성

2,822

2,923

2,870

2,742

2,546

2,574

20

15,342

16,074

16,588

17,728

18,903

21,024

남성

7,447

7,597

8,366

9,524

10,495

11,716

여성

7,895

8,477

8,222

8,204

8,408

9,308

30

27,517

28,600

29,019

29,241

30,199

32,900

남성

13,119

13,227

14,496

15,630

16,311

18,230

여성

14,398

15,373

14,523

13,611

13,888

14,670

40

42,179

45,135

44,693

45,303

45,983

49,804

남성

15,531

15,472

16,782

17,721

18,443

20,487

여성

26,648

29,663

27,911

27,582

27,540

29,317

50

56,746

62,857

62,476

63,522

65,426

71,992

남성

17,431

16,919

18,191

18,927

19,524

22,540

여성

39,315

45,938

44,285

44,595

45,902

49,452

60

56,861

59,365

60,121

62,992

69,297

80,359

남성

20,645

17,795

19,218

20,434

22,181

26,321

여성

36,216

41,570

40,903

42,558

47,116

54,038

70

이상

85,167

95,134

104,672

113,870

124,875

141,577

남성

25,430

24,286

27,244

29,887

32,862

38,559

여성

59,737

70,848

77,428

83,983

92,013

103,018


2. '신경인성 방광' 건강보험 성별 / 연령대별 인구 10만 명 당 진료인원 현황

구 분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전체

611

655

670

695

736

817

남성

444

425

457

485

513

582

여성

780

887

886

908

961

1054

9세 이하

218

228

222

221

220

220

남성

262

270

262

263

257

258

여성

172

183

180

177

180

179

10

115

121

123

123

125

134

남성

135

141

142

145

150

163

여성

94

100

101

100

97

102

20

227

240

249

263

279

307

남성

211

217

239

268

292

323

여성

244

266

260

258

264

289

30

333

349

359

370

388

429

남성

309

315

350

384

407

461

여성

358

385

370

354

368

395

40

490

522

511

515

527

573

남성

352

350

376

395

414

463

여성

634

703

651

640

644

686

50

780

832

800

792

804

873

남성

480

447

465

471

479

543

여성

1,080

1,217

1,137

1,114

1,131

1,206

60

1,673

1,617

1,559

1,563

1,673

1,550

남성

1,065

887

922

926

935

1,044

여성

1,744

1,946

1,850

1,830

1,880

2,029

70

이상

2,506

2,591

2,715

2,826

3,014

3,281

남성

1,903

1,666

1,772

1,852

1,971

2,205

여성

2,896

3,200

3,340

3,477

3,718

4,014


3. '신경인성 방광' 건강보험 성별 / 연령대별 진료비 현황

구 분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전체

51,065

54,536

57,550

62,880

69,886

84,442

남성

21,506

20,507

22,081

24,567

26,898

32,854

여성

29,559

34,030

35,469

38,313

42,988

51,587

9세 이하

605

603

601

584

647

709

남성

351

339

337

323

358

391

여성

254

264

264

261

290

318

10

645

695

705

673

653

762

남성

376

414

430

410

404

474

여성

269

280

275

263

248

288

20

1,687

1,767

1,795

1,989

2,270

2,717

남성

886

919

994

1,178

1,334

1,585

여성

801

847

801

811

936

1,132

30

3,210

3,223

3,429

3,614

3,835

4,695

남성

1,785

1,660

1,860

2,047

2,256

2,703

여성

1,425

1,564

1,568

1,567

1,580

1,992

40

5,268

5,615

5,790

5,986

6,384

7,411

남성

2,255

2,206

2,534

2,717

2,828

3,298

여성

3,013

3,409

3,256

3,269

3,556

4,114

50

8,655

9,290

9,436

9,849

10,585

12,414

남성

3,410

3,258

3,456

3,628

3,889

4,696

여성

5,244

6,032

5,980

6,220

6,697

7,718

60

11,052

11,368

11,653

12,548

14,087

17,903

남성

4,970

4,469

4,671

5,214

5,749

7,379

여성

6,083

6,899

6,982

7,334

8,338

10,524

70

이상

19,944

21,975

24,142

27,638

31,423

37,831

남성

7,473

7,241

7,800

9,051

10,080

12,328

여성

12,471

14,735

16,342

18,587

21,343

25,502


4. '신경인성 방광' 건강보험 성별 / 연령대별 진료 1인당 진료비 현황

구 분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전체

169,541

167,733

171,775

179,758

188,115

203,647

남성

194,869

192,959

192,147

200,329

206,700

221,500

여성

154,893

155,484

161,140

168,653

178,095

193,704

9세 이하

60,322

57,570

59,349

58,214

64,878

71,314

남성

56,422

52,991

54,773

52,577

59,454

65,209

여성

66,708

64,778

66,437

67,099

73,114

80,600

10

87,695

92,656

96,009

94,554

95,301

108,070

남성

82,940

90,626

96,106

93,647

93,952

105,943

여성

95,329

95,833

95,857

96,000

97,580

111,770

20

109,929

109,921

108,185

112,179

120,103

129,244

남성

118,962

121,025

118,793

123,698

127,119

135,318

여성

101,408

99,970

97,392

98,806

111,345

121,599

30

116,647

112,704

118,152

123,590

127,005

142,691

남성

136,083

125,486

128,335

130,962

138,300

148,261

여성

98,938

101,706

107,988

115,125

113,740

135,770

40

124,886

124,416

129,550

132,126

138,839

148,813

남성

145,183

142,590

150,976

153,297

153,344

160,968

여성

113,057

114,936

116,667

118,524

129,126

140,319

50

152,515

147,792

151,040

155,047

161,791

172,435

남성

195,636

192,577

190,004

191,704

199,177

208,335

여성

133,396

131,297

135,034

139,488

145,890

156,073

60

194,377

191,492

193,824

199,201

203,291

222,787

남성

240,716

251,120

243,029

255,158

259,205

280,339

여성

167,961

165,967

170,706

172,333

176,969

194,754

70

이상

234,175

230,992

230,645

242,715

251,639

267,209

남성

293,869

298,135

286,301

302,842

306,752

319,730

여성

208,764

207,976

211,062

221,317

231,956

247,551

주 1) 수진기준(실제 진료 받은 일자기준), 주상병 기준(부상병 제외), 한의분류 제외, 진료 1인당 진료비는 약국포함이며,   2016년은 2017년 10월 청구분까지 반영하며, 미청구분 자료 있을 수 있음.
2) 건강보험 급여실적(의료급여 제외)이며, 비급여는 제외)
3) 진단명이 확정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호소, 증세 등에 따라 1차진단명을 부여하고 청구한 내역중 주진단명  기준으로 발췌한 것이므로 최종 확정 된 질병과는 다를 수 있음
  ※ 산출공식 : 진료 1인당 진료비 = 진료비 / 진료실인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