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분류 |
세분류 |
세세분류 |
내용 |
A15 |
|
|
세균학적 및 조직학적으로 확인된 호흡기 결핵 주 : 다음 5단위 세분류는 공동의 유무를 표기하기 위해 A15.0 - A15.9에 사용한다. ? 0 공동이 있는 ? 1 공동이 없거나 상세불명의 |
|
A15.0 |
|
배양 유무에 관계없이 가래 현미경 검사로 확인된 폐결핵 |
|
A15.1 |
|
배양만으로 확인된 폐결핵 |
|
A15.2 |
|
조직학적으로 확인된 폐결핵 |
|
A15.3 |
|
상세불명의 수단으로 확인된 폐결핵 |
|
A15.4 |
|
세균학적 및 조직학적으로 확인된 흉곽내 림프절의 결핵 |
|
A15.5 |
|
세균학적 및 조직학적으로 확인된 후두, 기관 및 기관지의 결핵 |
|
A15.6 |
|
세균학적 및 조직학적으로 확인된 결핵성 흉막염 흉막의 결핵 |
|
A15.7 |
|
세균학적 및 조직학적으로 확인된 일차 호흡기 결핵 |
|
A15.8 |
|
세균학적 및 조직학적으로 확인된 기타 호흡기 결핵 |
|
A15.9 |
|
세균학적 및 조직학적으로 확인된 상세불명의 호흡기결핵 |
A16 |
|
|
세균학적으로나 조직학적으로 확인되지 않은 호흡기 결핵 주 : 다음 5단위 세분류는 공동의 유무를 표기하기 위해 A16.0 - A16.9에 사용한다. ? 0 공동이 있는 ? 1 공동이 없거나 상세불명의 |
|
A16.0 |
|
세균학적으로나 조직학적으로 음성인 결핵 |
|
A16.1 |
|
세균학적 및 조직학적 검사를 하지 않은 폐결핵 |
|
A16.2 |
|
세균학적 또는 조직학적 확인에 대한 언급이 없는 폐결핵 |
|
A16.3 |
|
세균학적 또는 조직학적 확인에 대한 언급이 없는 흉곽내 림프절의 결핵 |
|
A16.4 |
|
세균학적 또는 조직학적 확인에 대한 언급이 없는 후두, 기관 및 기관지의 결핵 |
|
A16.5 |
|
세균학적 또는 조직학적 확인에 대한 언급이 없는 결핵성 흉막염 흉막의 결핵 |
|
A16.7 |
|
세균학적 또는 조직학적 확인에 대한 언급이 없는 일차 호흡기 결핵 |
|
A16.8 |
|
세균학적 또는 조직학적 확인에 대한 언급이 없는 기타 호흡기 결핵 |
|
A16.9 |
|
세균학적 또는 조직학적 확인에 대한 언급이 없는 상세불명의 호흡기 결핵 |
A17 |
|
|
신경계통의결핵 |
|
A17.0 |
|
결핵성 수막염 |
|
A17.1 |
|
수막결핵종 |
|
A17.8 |
|
기타 신경계통의 결핵 |
|
|
A17.80 |
뇌 및 척수의 결핵종 |
|
|
A17.81 |
결핵성 수막뇌염 |
|
|
A17.82 |
결핵성 신경염 |
|
|
A17.88 |
기타 신경계통의 결핵 |
|
A17.9 |
|
신경계통의 상세불명 결핵 |
A18 |
|
|
기타 기관의 결핵 |
|
A18.0 |
|
골 및 관절의 결핵 |
|
|
A18.00 |
척추의 결핵 |
|
|
A18.01 |
기타 관절의 결핵성 관절염 |
|
|
A18.02 |
기타 뼈의 결핵 |
|
|
A18.08 |
기타 관절의 결핵 |
|
A18.1 |
|
비뇨생식계통의 결핵 |
|
|
A18.10 |
신장의 결핵 |
|
|
A18.11 |
방광의 결핵 |
|
|
A18.12 |
기타 비뇨기관의 결핵 |
|
|
A18.13 |
전립성의 결핵 |
|
|
A18.14 |
기타 남자 생식기관의 결핵 |
|
|
A18.15 |
자궁경부의 결핵 |
|
|
A18.16 |
결핵성 여성골반염증질환 |
|
|
A18.17 |
기타 여자 생식기관의 결핵 |
|
|
A18.18 |
요관의 결핵 |
|
|
A18.19 |
비뇨생식계통의 상세불명 결핵 |
|
A18.2 |
|
결핵성 말초림프절병증 |
|
A18.3 |
|
장, 복막 및 장간막 림프절의 결핵 |
|
|
A18.30 |
결핵성 복막염 |
|
|
A18.31 |
결핵성 장염 |
|
|
A18.32 |
후복막 결핵 |
|
A18.4 |
|
피부 및 피하조직의 결핵 |
|
A18.5 |
|
눈의 결핵 |
|
A18.6 |
|
귀의 결핵 |
|
A18.7 |
|
부신의 결핵 |
|
A18.8 |
|
기타 명시된 기관의 결핵 |
|
|
A18.80 |
갑상선의 결핵 |
|
|
A18.81 |
기타 내분비선의 결핵 |
|
|
A18.82 |
달리 분류되지 않은 소화기관의 결핵 |
|
|
A18.83 |
심장의 결핵 |
|
|
A18.84 |
비장의 결핵 |
|
|
A18.88 |
기타 부위의 결핵 |
A19 |
|
|
좁쌀 결핵 |
|
A19.0 |
|
하나로 명시된 부위의 급성 좁쌀 결핵 |
|
A19.1 |
|
여러 부위의 급성 좁쌀 결핵 |
|
A19.2 |
|
상세불명의 급성 좁쌀 결핵 |
|
A19.8 |
|
기타 좁쌀 결핵 |
|
A19.9 |
|
상세불명의 좁쌀 결핵 |
U84 |
U84.3 |
|
항결핵제 내성 |
|
|
U84.30 |
다약제내성 결핵 |
|
|
U84.31 |
광범위약제내성 결핵 |
--------------
제7차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개정(`16.1.1시행) 관련 결핵질병코드 안내 | |||||
부서명 | 기획정책국 | 전화번호 | 02-705-9213 | 이메일 | cmh@kha.or.kr |
---|---|---|---|---|---|
작성자 | 최명희 | 등록일 | 2015-12-07 | 조회수 | 369 |
첨 부 |
![]() ![]() ![]() | ||||
내 용 | 1. 관련근거 : 질병관리본부 에이즈결핵관리과 - 4888(2015.12.1) 2. 제7차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개정(통계청 고시 제20150159호, 2015.7.1개정, 2016.1.1 시행)과 관련하여, 3. 상기 개정 고시에 따른 결핵과 관련한 '제7차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코드'를 아래와 같이 안내 하니 관련 지침과 전산시스템 반영 등 업무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동 개정 고시는 2016.1.1부터 '결핵환자 등 신고보고' 등 관련 업무에 일괄 적용됨 4. 아울러, 이번 '제7차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에서 '잠복결핵' 코드가 신설됨에 따라 잠복결핵 관련 사업에는 다음과 같이 적용됨을 안내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가. 잠복결핵감염 검진비 지원사업: (변경없음) Z20.1(결핵에 접촉 및 노출) 나. 잠복결핵감염 치료비 지원사업: (변경전) Z20.1 → (변경 후) R76.80(잠복결핵)* 2016.1.1부터 적용 ※ 이 외「제7차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개정」관련 상세내용은 통계청 홈페이지 참조 - 고시내용: 통계청 홈페이지(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1/4/index.board) - 분류자료: 통계분류포털(http://kssc.kostat.go.kr/ksscNew_web/index.jsp#) / 한국표준질병.사 인분류 / 자료실/최신개정 붙임: 1. 한국표준질병·사인 분류 신구대조표 |
'상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카바이러스(Zika Virus) 감염 관련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부호 적용 변경 안내 (0) | 2016.02.12 |
---|---|
지카바이러스(Zika virus) 감염 관련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부호 적용 안내 (0) | 2016.02.05 |
제7차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KCD-7) 개정·고시 관련 변경내용 알림 (0) | 2015.11.19 |
6차 상병마스터파일 보완안내 [법정감염병 (0) | 2014.11.05 |
예방접종 행정지원 홈페이지 주소 변경 안내 (0) | 2012.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