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건강보험공단

혈관 좁아지는 죽상경화증 9.2% 증가

야국화 2014. 10. 21. 15:21

혈관 좁아지는 죽상경화증 9.2% 증가
등록일 2014-10-19 조회수 362
담당자 이호영 담당부서 국민건강보험공단

혈관 좁아지는 『죽상경화증』9.2% 증가(2008∼2013년) 콜레스테롤 낮추는 식습관과 금연이 예방법

전체 진료인원 중 60대 이상이 68% 차지(특히, 70대 이상은 연평균 13.6% 급증)

수술환자 1인당 1,000만원 고액 지출…예방이 최선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종대)이 2008∼2013년 ‘ 죽상경화증’ 으로 인한 건강보험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하여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진료인원은 2008년 10만 2천명에서 2013년 15만 9천명으로 연평균 9.2% 급증하였다.

총진료비는 2008년 1,128억원에서 2013년 1,442억원으로 연평균 5% 늘었다.

<죽상경화증 연도별 건강보험 진료현황>

(단위 : 명, 백만원)

<죽상경화증 연도별 건강보험 진료현황>
구 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연평균 증가율
총진료비 112,795 130,989 146,451 152,038 169,229 144,199 5.0%
진료인원 102,240 117,841 129,516 141,603 155,947 158,538 9.2%

연령대별 진료현황을 살펴보면, 2013년 기준 전체 진료환자 중 60대 이상은 68%를 차지하였다.

특히, 70대 이상은 2009년부터 60대를 추월하여, 연령대별 환자 비중이 37.5%로 가장 컸다.

70대 이상의 연평균 증가율은 13.6%로 가장 급증하는 추세이며, 50대 9.1%, 60대 7.7% 순(順)으로 고령 환자의 증가율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죽상경화증 연령대별 진료현황(단위 : 명)]

2013년 기준 적용인구 1만명당 진료인원을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70대 이상 154.3명> 60대 111.5명 > 50대 47.5명> 40대 12.8명> 30대 이하 1.1명 순(順)으로 나타났다.

남성이 여성보다 평균 약 1.7배 많았으며 특히, 적용인구 1만명 대비 70대 이상 남성은 203.6명로 가장 많은 분포를 차지하였다.

죽상경화증 연령대별 진료현황
구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30대 이하 전체 1.3 1.4 1.3 1.2 1.2 1.1
남성 1.4 1.5 1.4 1.4 1.4 1.4
여성 1.1 1.2 1.2 1.0 1.0 0.9
40대 전체 12.2 13.4 13.2 12.8 13.4 12.8
남성 14.8 15.6 16.6 17.0 18.0 17.1
여성 9.4 11.1 9.6 8.5 8.6 8.3
50대 전체 40.0 43.5 44.6 47.0 49.4 47.5
남성 46.8 50.3 54.0 58.7 62.5 60.4
여성 33.1 36.7 35.2 35.4 36.3 34.5
60대 전체 87.7 95.0 102.4 108.7 115.2 111.5
남성 105.6 113.9 125.3 134.1 142.5 139.0
여성 71.3 77.6 81.1 85.0 89.5 85.6
70대 이상 전체 112.6 126.6 137.5 145.9 153.1 154.3
남성 151.4 166.1 183.3 193.0 201.3 203.6
여성 88.5 101.6 108.2 115.4 121.3 121.6

죽상경화증으로 입원해 수술한 환자는 2013년 전체 진료인원의 5.9%(9,348명)지만, 지출한 수술비는 1,000억원으로 총진료비의 76%를 차지하였다.

<죽상경화증 전체 환자 대비 입원환자 현황>

(단위 : 명, 백만원, %)

<죽상경화증 전체 환자 대비 입원환자 현황>
구 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수술한 입원환자 8,537 9,400 10,155 10,484 10,679 9,348
수술비 91,499 106,128 118,648 123,968 136,992 109,434
총 진료비 대비 수술비 비중(%) 81.1 81.0 81.0 81.5 81.0 75.9
전체 환자 대비 수술환자 비중(%) 8.3 8.0 7.8 7.4 6.8 5.9

또, 죽상경화증으로 입원한 환자들을 살펴보면, 수술여부에 따른 진료비가 현저히 차이를 보였다.

2013년에 수술을 받은 입원환자의 1인당 총진료비는 1,171만원인 반면, 수술을 받지 않은 입원환자의 1인당 총진료비는 149만원으로 수술환자의 12.8% 수준으로 나타났다.

죽상경화증으로 입원한 환자 현황
구분 수술 비수술
진료인원 1인당 진료비 진료인원 1인당 진료비
2008년 8,537 10,712 10,349 1,166
2009년 9,400 11,290 12,279 1,160
2010년 10,155 11,684 13,333 1,203
2011년 10,484 11,825 14,157 1,138
2012년 10,679 12,828 14,152 1,269
2013년 9,348 11,707 13,426 1,494

서울대학병원 순환기내과 이상언 교수는 ‘ 죽상경화증’ 의 원인 및 예방·치료법 등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 ‘ 죽상경화증’ 란 무엇인가?
    • 죽상경화증(atherosclerosis)이란 동맥혈관 벽 안에 콜레스테롤이 침착하고 염증세포를 비롯한 다양한 세포들이 침투하여 죽상경화반(atherosclerotic plaque)이라고 하는 비정상적인 병변을 만드는 질환이다. 죽상경화반이 커져 혈관의 내경이 좁아지고 피의 흐름에 문제가 생기면 심장이나 뇌에 산소와 영양분 공급이 줄어들게 되고 협심증, 심근경색, 뇌졸중 등이 발생한다.

      이미지 출처 :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health.mw.go.kr - 첨부파일 참조

    • ‘ 죽상경화증’ 의 위험 요인과 증상
      • 죽상경화증의 주요 위험 요인으로는 나이, 남성, 흡연, 고혈압, 이상지질혈증(고콜레스테롤혈증), 당뇨, 비만, 운동부족, 유전적 요인 등이 알려져 있다.
      • 죽상경화증 자체는 증상이 없다. 그러나 죽상경화증에 의해 발생하는 협심증은 운동 시 가슴통증이나 호흡곤란을 유발하며, 심근경색은 갑작스러운 가슴통증과 호흡곤란, 쇽(shock)을, 뇌졸중은 상하지 마비와 같은 증상을 일으킨다.
  • 죽상경화증 방치시 위험성
    • 죽상경화증이 진행하면 협심증, 심근경색, 그리고 뇌졸중과 같은 생명을 위협하는 심각한 질환을 유발하며 이들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사망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죽상경화증의 주요 위험 요인을 교정하여 죽상경화증의 발생과 진행을 예방해야 한다.
  • 죽상경화증 예방을 위한 관리법
    • 교정 가능한 위험 요인으로 흡연,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비만, 운동부족 등이 있다.
    • 흡연은 죽상경화증에 의한 심뇌혈관질환의 위험을 2-3배 정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금연을 할 경우 3년 내에 그 위험이 60% 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 이상지질혈증의 경우 특히 LDL-콜레스테롤의 혈중 농도가 가장 중요한 위험 요인을 알려져 있다. 이상지질혈증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반드시 생활습관을 개선하고 의사의 진료를 받아 약물치료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 비만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칼로리를 제한하고 신체 운동을 해야 한다.
    • 매주 4∼5일 고르게, 총 2.5-5시간(/주)의 중등도의 신체 활동이나 유산소 운동, 혹은 총 1-2.5시간(/주)의 고강도 운동을 추천한다.
    • 과일과 야채가 많은 식이와 미정제 곡물이 추천된다. 포화 지방산이나 불포화 지방산 중에서도 트랜스 지방산의 섭취는 줄이는 것이 좋다.
  • 작성 기준
    • 수진기준(진료실인원은 약국제외, 진료실적은 약국포함)
    • 적용인구현황은 연도말 기준
    • 주상병(죽상경화증: I70(동맥), I25.0∼1(심장동맥), 수진기준

      질병코드는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통계청)에 의함

    • 2013년은 2014년 8월 지급분까지 반영
    • 건강보험 급여실적(의료급여 제외), 비급여 제외
    • 본 자료는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에 근거한 자료이므로 실제 유병자료와는 차이가 있음

<참고자료>연령대별 성별 죽상경화증 진료현황

연령대별 성별 죽상경화증 진료현황
구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연평균 증가율 (%)
30대이하 전체 3,392 3,675 3,380 3,094 3,127 2,901 -3.1
남성 2,010 2,074 1,917 1,880 1,912 1,797 -2.2
여성 1,382 1,601 1,463 1,214 1,215 1,104 -4.4
40대 전체 10,312 11,461 11,310 11,064 11,574 11,170 1.6
남성 6,397 6,823 7,284 7,479 7,932 7,625 3.6
여성 3,915 4,638 4,026 3,585 3,642 3,545 -2.0
50대 전체 23,962 27,679 30,348 34,213 37,360 37,077 9.1
남성 14,056 16,013 18,358 21,326 23,647 23,629 10.9
여성 9,906 11,666 11,990 12,887 13,713 13,448 6.3
60대 전체 33,128 36,873 40,703 43,645 47,690 47,895 7.7
남성 19,064 21,190 23,989 25,982 28,566 28,964 8.7
여성 14,064 15,683 16,714 17,663 19,124 18,931 6.1
70대이상 전체 31,446 38,153 43,775 49,587 56,196 59,495 13.6
남성 16,240 19,396 22,781 25,790 29,343 31,309 14.0
여성 15,206 18,757 20,994 23,797 26,853 28,186 13.1
첨부

hwp [10.20.월.조간_]_혈관_좁아지는_죽상경화증_9.2%_증가.hwp (948 KB / 다운로드 : 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