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신고.진단기준 개정 안내

야국화 2013. 7. 1. 21:43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신고.진단기준 개정 안내
2013-06-28    최명희 (기획정책실)     조회: 150

1. 관련근거 : 질병관리본부 감염병감시과-1042(2013.6.27)

2.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진단·신고기준이 2013.7.1일자로 붙임과 같이 개정됨을 안내하며, 제4군감염병 '신종감염병증후군'으로 감염병웹신고시스템을 통해 신고·보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붙임: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진단·신고기준 개정 1부.



  기획정책_제2013-186_1_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진단.신고기준_개정_안내.pdf

  20130701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진단신고기준(개정).hwp


※ 첨부된 파일을 보시려면 파일을 다운로드(저장) 후 보시기 바랍니다.

 

 

시 행 일 : 2013. 7. 1

□ 신고범위 : 환자, 의사환자(probable case)

□ 신고시기 : 지체없이

□ 신고를 위한 진단기준

환자(Confirmed Case) :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에 합당한 임상적 특징을 나타내면서, 다음 검사방법 등에 의해 해당 병원체 감염이 확인된 자

- SFTS 바이러스 분리

- SFTS 바이러스 유전자 검출

- 회복기혈청의 특이 항체가(IgG)가 급성기에 비하여 4배이상 증가

의사환자 (Probable Case) : 임상적 특징 및 역학적 연관성*을 감안하여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이 의심되나 검사방법에 의해 해당 병원체 감염이 확인되지 아니한 자

* 특히, 발열, 혈소판감소 등의 증상이 있으며, 최근 야외활동 또는 직업 등의 진드기 노출력이 의심되는 경우

□ 신고방법 : 별지 제1호 서식을 작성하여 관할 보건소로 팩스 및 웹(http://is.cdc.go.kr) 등의 방법으로 신고

제4군 신종감염병증후군을 선택하고 [증상및징후란]에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입력

 

 

※ 신고시 고려사항

-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로 의심되어 신고된 사례에 한하여 검체의뢰

- 감별진단 : 쯔쯔가무시증, 신증후군출혈열, 렙토스피라증 등

1. 질병명 :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 SFTS)

 

2. 병원체 : SFTS 바이러스 (Family Bunyaviridae, genus Phlebovirus)

 

3. 역학적 특징

중국에서 ‘09년 최초 발견, 11년 최초로 환자에서 바이러스 확인

* 중국 중부 및 동북부 지역 중심 ‘11년-’12년 사이 2,047건 확인, 129명 사망 (치명률 6.3%)

 

일본은 ‘13년 첫 감염(사망) 확인, 3월4일부터 제4군 법정감염병임

* 과거 사례조사(후생성)와 신고결과 23주 현재 25건 (8명 사망) (국립감염증연구소 IDWR)

 

감염경로 : 매개 진드기에 물려 전파(진드기에 물린 자국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가 많음)되는 것으로 추정되며 감염 환자의 혈액・체액에 의한 접촉감염도 보고됨

 

4. 임상적 소견

ㅇ 잠복기 : 6일~2주

ㅇ 임상증상 1)2)

⦁고열(38-40℃)이 3-10일 지속

⦁소화기증상(구역, 구토, 설사, 식욕부진) 12일 정도 지속 (100%)

⦁혈소판감소 (95-100%), 백혈구감소(86-99%)

⦁증상발생 5일후 림프절 종대되며 1-2주 지속(33-75%)

⦁출혈성 소인(49%) : 반상출혈, 점막출혈 또는 결막출혈 등

⦁다발성장기부전

⦁ALT․AST․LDH 상승, 단백뇨, 혈뇨

⦁중증사례 : 신경학적 증상(muscle tremor, confusion), 파종성혈관내응고증후군(DIC), 혼수

1) Xue-Jie Yu et al. Fever with Thrombocytopenia associated with a novel bunyavirus in China. NEJM 2011;364:1523-32

2) Zhong-Tao Gai et al. Clinical Progress and Risk Factors for death in SFTS patients. JID 2012;206:1095-1102

5. 진단검사의학 소견

ㅇ 혈소판 감소(10만/㎣ 미만), 백혈구 감소(4000/㎣ 미만), 혈청효소(AST, ALT, LDH) 상승 등

ㅇ 진단

- 혈청 등의 검체에서 바이러스 분리 동정

- 분자생물학적 방법에 의한 바이러스 유전자 검출

- 회복기 혈청에서 급성기 혈청의 특이 IgG 항체가 4배 이상 상승

 

검사의뢰방법

국립보건연구원 또는 시․도 보건환경연구원에 검사를 의뢰할 때는 반드시 의뢰서*와

검체를 함께 보냄

(담당부서 - 신경계바이러스과 : 전화 043-719-8491~5, 팩스 043-719-8519)

*질병관리본부 시험의뢰규칙 별지 제7호서식(보건복지부령 제185호)의 검체시험의뢰서

 

검체

- 혈청 3 mL 이상

 

운송

- 4℃를 유지하여 운송하고 72시간 이내에 운송할 수 없으면 - 70℃에 보관해야 함

 

 

6. 치료

ㅇ 대증요법

ㅇ 효과적인 항바이러스제나 백신은 없음

 

7. 예방

ㅇ 야외에서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함

ㅇ 감염자의 혈액, 체액, 배설물과 직접 접촉을 피함

<붙임 2>

참고자료 :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발생현황

 

□ 발생현황

ㅇ ‘13.5.21일 우리나라에서 처음 SFTS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가 보고된 이후, ’13.6.28일 현재 확진환자 총 10명(5명 사망)*이 발생

 

역학적 특성

- 여자 환자가 다수 (남:여=3:7)

- 주로 60대 이상 고령의 환자(연령분포 61-84세/중앙값 74세)

- 평균잠복기 : 정확히 확인할 수 없음(중국 자료 참조)

- 진드기 교상 : 있음(30%), 없음(50%), 모름(20%)

- 야외활동(직업력) : 밭농사(60%), 밭농사 + 축사/등산(20%), 등산 + 나물채취(10%), 축사(10%)

 

ㅇ 확진환자의 주요 임상증상

- 고열(38-40℃)이 3-10일 지속 (100%)

- 소화기증상 (100%) : 구토 (40%), 설사 (80%)

- 혈소판감소 (100%), 백혈구감소 (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