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상식

교차시험(Cross matching)

야국화 2013. 1. 11. 16:49

 내용

 

  1. 검사배경 및 적응증

       교차시험이란 환자에게 혈액을 불출하기 전에 수혈자 혈청과 공혈자 혈구(주시험), 공혈자 혈청과 수혈자 혈구(부시험)를 반응시켜 응집 또는 용혈유무를 판정하는 것이다. 임상적 의의는 수혈혈액이 수혈자에게 적합한지를 판정하는 술식으로써 불규칙항체의 존재 유무와 ABO 혈액형을 재확인함으로써 적합한 혈액을 공급하기 위한 검사이다.
     
  2. 검체 준비
    • 수혈전에 채혈된 보통시험관(plain tube)에 들어있는 혈액 4-5ml
    • 용혈된 검체는 피한다
    • 채혈후 24 시간 이상 경과되었으나 분리되지 않은 검체는 피한다.
       
  3. 시약 및 장비
    • 식염수
    • Bovine albumin(22%)
    • 항글로불린혈청(AHG)
    • 수혈자 검체
    • 공혈자 검체(수혈용 혈액의 segment)
    • 시험관
    • Disposable dispenser
    • Water bath
    • 원심분리기
       
  4. 정도관리
      이미 알고 있는 불규칙 항체를 Screening I, II와 반응시켜 spin→warm→Coombs를 확인하여 매일 grade를 기록한다.
     
  5. 검사방법
    • Major crossmatching
      • Immediate albumin(22%) spin phase(major crossmatching만 실시)
        • 시험관에 공혈자의 2-5% 혈구부유액과 환자의 혈청 2방울 그리고 albumin(22%) 을 1방울 넣어 혼합한다.
        • 3400rpm에서 15 초간 원심분리 한다.
        • 응집 및 용혈유무를 판독한다.
        • 결과기록
      • Heating phase(37℃)
        • 위 시험관을 37℃에서 15-30 분간 항온 시킨다.
        • 3400rpm에서 15 초간 원심분리 한다.
        • 응집 또는 용혈유무를 관찰한다.
      • Antihumanglobulin phase(간접 Coombs,법)
        • 위의 시험관을 가온 한 식염수로 3 회 세척한다. (마지막 세척 후 식염수를 완전히 제거한다.)
        • AHG을 1-2방울 가한 후 잘 섞는다.
        • 3400rpm에서 15 초간 원심분리 한다.
        • 응집유무 관찰
    • Minor crossmatching
      • Immediate albumin(22%)  spin phase
        • 시험관에 공혈자의 plasma 2방울과 환자의 2-5% 혈구부유액 2방울 그리고 albumin(22%) 1방울을 넣어 혼합한다.
        • 3400 rpm에서 15 초간 원침한다.
        • 응집 및 용혈유무를 판독한다.
        • 결과기록
      • Heating phase(37℃)
        • 위 시험관을 37℃에서 15-30 분간 항온 시킨다.
        • 3400 rpm에서 15 초간 원침한다.
        • 응집 또는 용혈유무를 관찰한다.
      • Antiglobulin phase(간접 Coombs,법)
        • 위의 시험관을 가온한 식염수로 3 회 세척한다. (마지막 세척후 식염수를 완전히 제거한다.)
        • AHG을 1-2방울 가한 후 잘 섞는다.
        • 3400 rpm에서 15 초간 원심분리한다.
        • 응집유무 관찰
           
      • 결과판정
        • 결과판정
          튜브를 기울여가면서 응집상태를 관찰한다(애매할 경우 현미경으로 관찰한다).
          • (-)       육안 및 현미경상 응집이 없는 것
          • (±)       현미경상 가끔 작은 응집이 있는 것
          • (+)       현미경상 작은 응집들이 있는 것
          • (++)      육안상 작은 응집들이 있는 것
          • (+++)     육안상 몇개의 큰 응집들이 있고 back ground가 깨끗한 것
          • (++++)    육안상 하나의 큰 응집이 있고 back ground가 깨끗한 것
        • 보고
          • 응  집 : 부적합
          • 비응집 : 적합(혈액을 출고해도 된다)
             
      • 즉시 보고해야 하는 검사결과의 한계
        • 부적합 혈액이 불출된 경우
        • 응급수혈 요청시, 교차시험 부적합시
        • 교차시험 결과 판정이 애매할 때
           
      • 유의사항
        • 검체의 기록사항을 일일이 확인한다(성명, 병동, 등록번호 등).
        • 혈장은 섬유소로 인하여 응집으로 오인할 수도 있고 보체 활성화와 연관된 항체검출에 문제가 있으므로 이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 수혈을 반복하는 동안 항체가 생성될 수 있으므로 수혈자 검체는 채혈후 72 시간이내의 것을 이용한다.
        • 주시험, 부시험이 부적합할 경우 원인을 찾기 위해 항체동정을 하고 항체의 성질, 형특이성의 관찰을 한다.
        • 한냉 응집소, 연전현상으로 인한 응집이 있을 경우 가온한 식염수로 혈구를 세척한 후 검사한다.
        • 주시험에 응집이 보이면 대개 부적합 판정을 한다. 그러나 가온에 의해 소실되는 경우 대개 저온성 항체에 의한 것으로 무해한 것이 많다.
        • 용혈되거나 오염된 혈액은 검체로서 부적당하다.
        • 교차시험전에 수혈자혈구에 대해 ABO및  Rh typing을 반드시 확인한다.
        • Fresh frozen plasma나 platelet concentrate, raw plasma등 적혈구가 포함되지 않은 제제는 통상적으로 교차시험을 실시하지 않으나(신생아 제외) 적혈구 제제의 혼입이 많을 경우는 주교차 시험을 실시한다.
        • 시험관법을 눈으로 익혀 실수없이 검사를 진행한다.
        • 응급수혈 요청시는 (응급수혈요청서) 혈액불출후 검사를 계속 진행한다.
        • 자가응집반응(autoagglutination)을 일으키는 환자는 혈액형을 확인하고 주시험만으로 수 혈한다.
           
      • 참고문헌
        • Walker RH, ed. Technical manual. 11th ed, Bethesda, American Association of Blood Banks, 1993 : 639-643
        • Huestis DW, Bove JR, Case J. Practical Blood Transfusion. 4th ed. Little, Brown Company, 1988 : 197-199
        • 김상인, 조한익, 한규섭 수혈의학 1판, 고려의학, 1993 : 332-333
        • 이삼열, 정윤섭. 임상병리검사법 5판,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4: 485-4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