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폐기능 검사(Spirometry)
보통 “폐기능검사” 라고 하면 이 검사를 의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천식을 포함한 여러 가지 폐질환을 진단하고 중증도를 평가하는 가장 기본적인 검사입니다. 치료를 할 때에도 치료방향을 결정하는데 유용한 정보들을 제공합니다. 이 검사는 노력성 호기법을 이용하므로 협조가 필요하며 만 5~6세 이상이면 검사가 가능합니다.
- 검사 방법 : 환자의 코를 막고 입으로 2~3번의 평상시 호흡을 한 후, 숨을 있는 힘껏 들이 마셨다가 최대한 강하고 빠르게 내쉬어 멈추지 않고 최대 노력으로 5~6초(적어도 3초 이상) 동안 내쉬어야 합니다.
- 검사 전 준비 : 특별한 준비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 소요 시간 : 약 5분 (1회당 40초, 총 3번 이상 반복 검사)
![기본 폐기능 검사](http://storage.iseverance.com/contentsobj_2007/ato_1.jpg?oid=32449)
기도 가역성 검사(Reversibility Test)
기관지확장제 사용 전후의 폐기능 수치를 비교함으로써 기도 수축의 가역성을 평가하는 검사입니다. 만약 기관지확장제 흡입 후에 흡입 전보다 폐기능이 증가한다면 기관지과민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기관지과민성은 천식의 중요한 특징이므로 비교적 간단한 검사로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 검사 방법 : 폐기능 검사 후 기관지확장제(벤톨린 등)를 충분히 흡입시키고 10~15분 후 폐기능 검사를 다시 시행하여 검사의 변화를 관찰합니다.
- 검사 전 준비 : 특별한 준비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 소요 시간 : 약 20분
![기도 가역성 검사](http://storage.iseverance.com/contentsobj_2007/ato_2.jpg?oid=32450)
기도 저항 및 가역성 측정 검사(Impulse Oscillometry, IOS and Reversibility)
기도의 저항력을 측정합니다. 기관지확장제 흡입 후 기도 저항력의 변화를 측정하여 천식의 특징 중의 하나인 기도과민성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특별한 협조가 필요하지 않고 평상호흡 만으로 측정하기 때문에 만4세 이상의 어린이들은 검사가 가능합니다.
- 검사 방법 : 환자의 코를 막고 마우스피스를 입에 물게 한 후, 30~40초 동안 평상시의 호흡을 합니다. 기관지확장제 흡입 10-15분 후에 한번 더 측정합니다.
- 검사 전 준비 : 특별한 준비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 소요 시간 : 20분
![기도 저항 및 가역성 측정 검사](http://storage.iseverance.com/contentsobj_2007/ato_3.jpg?oid=32451)
천식유발검사(Methacholine Challenge Test, MCT)
기도과민성 유무를 확인하고 그 중증도를 알아보는 검사입니다. 인체에 해가 되지 않는 약물로 천식의 중요한 특징인 기도수축을 유도해서 반응이 있는 시점의 약물의 농도로 기도과민성의 정도를 확인합니다. 노력성 호기법이 가능하면 검사가 가능합니다. 보통 만 5세 이상에서 시행합니다.
- 검사 방법 : 기본적인 폐기능을 측정하여 정상범위 내에 있는지 확인합니다. 저농도의 약물을 흡입하고 약 2분 정도 후 폐기능 검사를 시행합니다. 이후 약물의 농도를 높여가며 폐기능 검사를 반복합니다. 검사 중에 폐기능이 기저치의 20% 이상 떨어지면 이후 약물 흡입은 중단하며, 기관지확장제를 흡입하고 10분 후 폐기능이 회복되는지 확인합니다.
- 검사 전 준비 : 검사하러 오시기 3일전부터 천식약, 알레르기약, 감기약, 한약, 흡입약 등의 항히스타민이 포함된 약물을 중지하셔야 합니다. (단, 영양제, 비타민제, 당뇨약, 혈얍약, 진통제는 복용하셔도 됩니다.) 검사 시작 4시간 전부터 탄산음료, 차가운 음식, 커피 등의 기관지를 자극하는 음식은 먹지 않도록 합니다.
- 소요 시간 : 약 1시간~ 1시간 30분
![기도 저항 및 가역성 측정 검사](http://storage.iseverance.com/contentsobj_2007/ato_4.jpg?oid=32452)
'의학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킬레이션 (chelation therapy) (0) | 2010.08.26 |
---|---|
천식 진단 (0) | 2010.08.23 |
오목가슴 수술 (0) | 2010.08.23 |
만성 신부전증 (0) | 2010.08.17 |
주요 전염병별 예방요령 (0) | 2010.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