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상식

한관종 과 비립종

야국화 2010. 7. 28. 11:25

한관종이란 ?
흔히 물 사마귀라 불리는 한관종은 크기가 2-3mm의 노란색 또는 살색의 작은 물방울
모양으로 작은 깨를 뿌린 것처럼 오돌도돌 솟아나보여 미관상의 문제를 유발합니다.
발생원인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고 30세 이후의 여성들에게 주로 발생합니다. 또한 가족 중 한관종을 가진 사람이 있는 경우 상당수에서 한관종이 생기는 유전성이 있습니다주로 타인의 눈길이 가장 먼저 닿는 눈가에 잘 나타나며 가슴, 배 또는 성기 부위와 같이 몸 전체에 나타나기도 합니다. 가렵거나 아픈 자각증상이 없으며 생명에도 전혀 지장을 주지 않으나 피부가 지저분해 보이거나 화장이 잘 받지 않는 등의 미용상의 문제로 인해 치료가 필요합니다. 한관종 치료에는 여러 방법이 쓰여왔으나 요즘은 레이저 치료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레이저 치료라 해서 완벽한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렵습니다. 왜냐하면 한관종은 피부 속 깊이 있어 치료 후 흉터가 남을 수 있고 재발 가능성도 있습니다. 따라서 한 차례 시술로 만족하지 말고, 두세 번에 나누어 치료 받는다는 마음가짐으로 치료에 임해야 합니다.
 
한관종 치료법
일반적으로 지금까지 한관종 치료는 화학박피술, 외과적절제, 어븀레이저, 탄산가스레이저 등을 이용하여 피부를 깍아내는 방식으로 이루어졌습니다. 그러나 쉽게 재발하고 너무 깊게 제거하게 되면 홍반이나 흉터가 생기는 문제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어 치료 만족도가 10%정도에 불과했습니다. 최근 이러한 문제를 보완할 수 있는 치료법 드릴링법이 국제적 학술지인 미국피부외과 학회지에 소개되어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드릴링법은 피부를 깍아내는 것이 아니라 탄산가스레이저를 이용하여 시술부위에 구멍을 내는 방식으로 한관종의 깊은 부위까지 열손상을 주게 됩니다. 기존 치료법에 비해 빨리 상처가 아무는 등 일상생활의 불편이 최소화되었으며 수술을 하고 하루나 이틀 뒤부터 세안이 가능하고 탈색, 흉터와 같은 부작용이 크게 줄어들었습니다.
일반치료법
치료방법 외과적절제. 전기소작. 화학박피.어븀레이저. 탄산가스레이저 등을 이용 피부를 깍아내는
치료방법 이용
문제점 쉽게 재발하고 너무 깊게 제거되면 홍반이나 흉터 발생
만족도 치료 만족도가 10% 정도의 낮은 만족도 (대한피부과 학회지 발표)
핀홀법 / 드릴링법
치료방법 탄산가스레이저를 이용하여 시술부위에 구멍을 내서 한관종의 깊은 부위까지 열손상을 주는 치료법
특 징

피부를 깍지않고 부위에 구멍을 내는 방식으로 상처가 빨리 회복
시술 후 1-2일후부터 세안이 가능하며 일상생활 불편을 최소화함
시술 후 탈색. 흉터와 같은 부작용 감소
본원에서 자체 개발한 핀홀법을 이용하여 효과 상승

만족도

치료 만족도가 60% 이상의 높은 만족도 (미국 Dermatologic Surgery 잡지발표)

정의
비립종(milium)은 한관종, 편평사마귀와 함께 흔히 물사마귀라고 불리지만 실재로는 다른 질병입니다. 비립종은 직경1~4mm의 흰색 또는 노란색의 피부 병변이 눈 아래에서 잘 발생합니다.
일반적으로 한관종이 살색에 가깝다면 비립종은 노란색이나 흰색의 알갱이가 들어있는 모양입니다.
조직 사진에서와 같이 노란색 또는 흰색의 알갱이는 각질이 뭉쳐서 생긴 것입니다.
 
원인
비립종의 원인은 아직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대개의 경우 별다른 원인이 없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지만 레이저박피나 상처 후에도 종종 발생합니다.
증상
피지 또는 각질 덩어리가 피부속에 쌓여 작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통 초기 여드름과 비슷한 모양으로 나타납니다. 눈밑에 아주 흔하게 발생하는 질환으로 오돌도돌하게 솟아나 보이는 것이 특징이며 그 숫자는 수개에서 수십개까지 다양하며 희거나 노란빛을 띄게 됩니다. 신생아의 경우 50% 정도에서 발견되며 자연이 없어지지만, 성인의 경우는 치료하시지 않으면 잘 없어지지 않는 낭종(주머니 모양의 종양)입니다.
치료법
비립종은 자연히 없어지는 경우가 드물기 때문에 생길 때마다 치료를 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치료는 레이저로 비립종을 태워서 없앨 수도 있지만 최근에는 비립종에 탄산가스레이저를 이용하여 핀홀 정도 크기의 구멍을 뚫은 후에 피부 속의 하얀 알갱이를 제거하는 방법을 많이 사용합니다. 이 방법은 시술후 부작용이 적고 회복이 빠른 장점이 있습니다. 그 외 면포압출기나 바늘을 이용하여 제거하기도 합니다.

'의학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요 전염병별 예방요령  (0) 2010.07.28
DPCP 면역 치료에 대하여  (0) 2010.07.28
오타모반이란?  (0) 2010.07.28
유방암 유전자, 남성에서도 유방암 위험 높여   (0) 2010.07.08
혈액제제의 종류   (0) 2010.0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