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심사 절차 및 방법
❍ 심사 대상
- 난치성 다제내성 결핵환자를 진료한 주치의가 동 약제 처방이 필요
하다고 판단하여 심사를 요청하는 경우
※ 난치성 다제내성 결핵 : ‘약제 감수성검사 결과’ 또는 ‘부작용 등 임상
상황’에 의해 기존의 ‘다제내성 결핵치료 표준 약제 구성’이 힘들어
동 약제의 추가가 필요한 경우
❍ 심사 방법
- 결핵전문가로 구성된 심의위원회를 통한 심의(1차) 후, 건강보험심사
평가원에서 최종 심사(2차)하여 급여 청구 대상 결정
· 단, 심의위원회에서 ‘사용불가’로 판정되는 경우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에서 심사청구 없이 바로 요청 요양기관에 결과 통보
※ 심의위원회 구성 :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추천 전문가 5인
❍ 심사 세부 절차
- (사전심사 요청) 신약을 사용하고자 하는 요양기관은 사전심사에 필요한
구비 서류를 준비하여 질병관리본부에 공문으로 심사 요청
◆ 구비 서류 - 사전심사 요청서(별표 1) 1부 - 객담 도말/배양/약제내성 검사 결과지 1부 - 혈액검사 결과지 1부 - 심전도 검사 결과지 1부 - CXR, CT 등 영상의학 관련 자료(이미지) 1부 - 약제 처방 내역 1부1 - 심사 요청에 필요한 의무기록사본 1부 - 약제부작용 및 증상악화 등과 관련된 검사결과지 또는 타과 협의 진료 복사본 1부 |
- (1차 심사 : 심의위원회 심의)
· 심의위원회 서면회의 개최(질병관리본부) → 1차 심의(심의위원회)
→ 심의결과 취합 및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 결과 알림(질병관리본부)
- (2차 심사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심사)
· 2차 심사 → 질병관리본부에 결과 통보
- (사전심사 최종 결과 통보) 질병관리본부는 요청 요양기관 및 건강보험
심사평가원에 ‘사전심사 결과’ 통보
- (사전심사 결과 확인 및 청구) 요청 요양기관은 사전심사 결과를 확인하고
약제 처방 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청구
※ 요양기관은 투약 전 환자에게 관련 내용을 설명하고, 약제사용 동의서
(별표 2)를 작성하여 보관.
[별표 1]
사전심사 요청서
약제 구분 | □ 서튜러(베다퀼린) □ 델티바(델라마니드) | ||||||||
환자 성명 | 병록번호 | ||||||||
생년월일/연령 | / | 성별 | |||||||
요양기관명 (요양기관 번호) |
요양기관 종별 | □상급종합 □종합 □병원 □의원 | |||||||
진료의사 성명 | 면허번호 | ||||||||
환자 신장 | cm | 환자 체중 | kg | ||||||
환자 구분 | □ 신환자 (초치료자) □ 재치료 (□ 재발, □ 실패 후 재치료, □ 중단 후 재치료, □ 치료력 불명) □ 과거 치료여부 불명확 |
||||||||
객담검사 결과 : BAL 검체인 경우 날짜 옆에 ‘B’ 표시. ex) 16.08.01(B) | |||||||||
검체채취일(검사접수일) / 결과보고일 |
/ | / | / | / | / | / | |||
객담 도말 | |||||||||
객담 배양(액체) | |||||||||
객담 배양(고체) | |||||||||
혈액검사 결과 | |||||||||
검사 시행일 | . . | . . | . . | . . | . . | . . | |||
AST(IU/L) | |||||||||
ALT(IU/L) | |||||||||
BUN / Cr(mg/dl) | |||||||||
Albumin(g/dl) | |||||||||
K / Mg(mEq/L) | |||||||||
i-Ca(mg/dl) | |||||||||
부정맥 관련 위험인자 | |||||||||
□ 없음 □ torsades de pointes □ 심실성 부정맥 □ 관상 동맥 질환 □ 저알부민혈증 # 심전도 결과 : 검사일 ( . . ), QTcF 간격(msec) ( ) |
|||||||||
QTcF 간격 연장 가능 약제 사용 여부 (결핵약 외 투여 약제) |
□ 예 (약제명 : ) □ 아니오 |
||||||||
과거 치료력(기술) | |||||||||
현재 치료 경과 |
약제 감수성검사 결과 | ||
Genotype DST (내성약제 체크) |
검체채취일(검사접수일) / 결과보고일 : ( . . ) / ( . . ) | |
검사 결과 | □H □R | |
Xpert MTB/RIF | 검체채취일(검사접수일) / 결과보고일 : ( . . ) / ( . . ) | |
검사 결과 | □TB-PCR 양성 □RFP 내성 | |
최종 Phenotype DST (내성약제 체크) |
검체채취일(검사접수일) / 결과보고일 : ( . . ) / ( . . ) | |
1군 | □H □R □E □Z □Rfb | |
2군 | □Km □Amk □Cm □ S | |
3군 | □Lfx □Mfx □Ofx | |
4군 | □Pto □Cs □PAS | |
5군 | □Bdq □Dlm □Lzd □Cfz □Amx-Clv □Ipm/Cln □Mpm □Hh □(T) □Clr |
|
약물 사용력 (과거 1개월 이상 사용했던 약제 모두 체크) |
1군 | □H □R □E □Z □Rfb |
2군 | □Km □Amk □Cm □ S | |
3군 | □Lfx □Mfx □Ofx | |
4군 | □Pto □Cs □PAS | |
5군 | □Bdq □Dlm □Lzd □Cfz □Amx-Clv □Ipm/Cln □Mpm □Hh □(T) □Clr |
|
현재 사용 약제 | 1군 | □H □R □E □Z □Rfb |
2군 | □Km □Amk □Cm □ S | |
3군 | □Lfx □Mfx □Ofx | |
4군 | □Pto □Cs □PAS | |
5군 | □Bdq □Dlm □Lzd □Cfz □Amx-Clv □Ipm/Cln □Mpm □Hh □(T) □Clr |
|
향후 치료 계획 약제 구성 |
1군 | □H □R □E □Z □Rfb |
2군 | □Km □Amk □Cm □ S | |
3군 | □Lfx □Mfx □Ofx | |
4군 | □Pto □Cs □PAS | |
5군 | □Bdq □Dlm □Lzd □Cfz □Amx-Clv □Ipm/Cln □Mpm □Hh □(T) □Clr |
|
신약 사용 요청 이유 및 타병합약제 치료계획 (기술) |
||
20____년 ______월 ______일 심의 요청 의사 성명: (서명) |
약제 구분 | □ 서튜러(베다퀼린) □ 델티바(델라마니드) | ||||||||
환자 성명 | 병록번호 | ||||||||
생년월일/연령 | / | 성별 | |||||||
요양기관명 (요양기관 번호) |
요양기관 종별 | □상급종합 □종합 □병원 □의원 | |||||||
진료의사 성명 | 면허번호 | ||||||||
환자 신장 | cm | 환자 체중 | kg | ||||||
환자 구분 | □ 신환자 (초치료자) □ 재치료 (□ 재발, □ 실패 후 재치료, □ 중단 후 재치료, □ 치료력 불명) □ 과거 치료여부 불명확 |
||||||||
객담검사 결과 : BAL 검체인 경우 날짜 옆에 ‘B’ 표시. ex) 16.08.01(B) | |||||||||
검체채취일(검사접수일) / 결과보고일 |
/ | / | / | / | / | / | |||
객담 도말 | |||||||||
객담 배양(액체) | |||||||||
객담 배양(고체) | |||||||||
혈액검사 결과 | |||||||||
검사 시행일 | . . | . . | . . | . . | . . | . . | |||
AST(IU/L) | |||||||||
ALT(IU/L) | |||||||||
BUN / Cr(mg/dl) | |||||||||
Albumin(g/dl) | |||||||||
K / Mg(mEq/L) | |||||||||
i-Ca(mg/dl) | |||||||||
부정맥 관련 위험인자 | |||||||||
□ 없음 □ torsades de pointes □ 심실성 부정맥 □ 관상 동맥 질환 □ 저알부민혈증 # 심전도 결과 : 검사일 ( . . ), QTcF 간격(msec) ( ) |
|||||||||
QTcF 간격 연장 가능 약제 사용 여부 (결핵약 외 투여 약제) |
□ 예 (약제명 : ) □ 아니오 |
||||||||
과거 치료력(기술) | |||||||||
현재 치료 경과 |
약제 감수성검사 결과 | ||
Genotype DST (내성약제 체크) |
검체채취일(검사접수일) / 결과보고일 : ( . . ) / ( . . ) | |
검사 결과 | □H □R | |
Xpert MTB/RIF | 검체채취일(검사접수일) / 결과보고일 : ( . . ) / ( . . ) | |
검사 결과 | □TB-PCR 양성 □RFP 내성 | |
최종 Phenotype DST (내성약제 체크) |
검체채취일(검사접수일) / 결과보고일 : ( . . ) / ( . . ) | |
1군 | □H □R □E □Z □Rfb | |
2군 | □Km □Amk □Cm □ S | |
3군 | □Lfx □Mfx □Ofx | |
4군 | □Pto □Cs □PAS | |
5군 | □Bdq □Dlm □Lzd □Cfz □Amx-Clv □Ipm/Cln □Mpm □Hh □(T) □Clr |
|
약물 사용력 (과거 1개월 이상 사용했던 약제 모두 체크) |
1군 | □H □R □E □Z □Rfb |
2군 | □Km □Amk □Cm □ S | |
3군 | □Lfx □Mfx □Ofx | |
4군 | □Pto □Cs □PAS | |
5군 | □Bdq □Dlm □Lzd □Cfz □Amx-Clv □Ipm/Cln □Mpm □Hh □(T) □Clr |
|
현재 사용 약제 | 1군 | □H □R □E □Z □Rfb |
2군 | □Km □Amk □Cm □ S | |
3군 | □Lfx □Mfx □Ofx | |
4군 | □Pto □Cs □PAS | |
5군 | □Bdq □Dlm □Lzd □Cfz □Amx-Clv □Ipm/Cln □Mpm □Hh □(T) □Clr |
|
향후 치료 계획 약제 구성 |
1군 | □H □R □E □Z □Rfb |
2군 | □Km □Amk □Cm □ S | |
3군 | □Lfx □Mfx □Ofx | |
4군 | □Pto □Cs □PAS | |
5군 | □Bdq □Dlm □Lzd □Cfz □Amx-Clv □Ipm/Cln □Mpm □Hh □(T) □Clr |
|
신약 사용 요청 이유 및 타병합약제 치료계획 (기술) |
||
20____년 ______월 ______일 심의 요청 의사 성명: (서명) |
[별표 2]
서튜러(베다퀼린) 투약 설명 및 동의서 | |||||
병록번호 | 성별/나이 | 성 명 | |||
서튜러는 효과있는 결핵약이 부족하여 완치를 기대하기 어려운 다제내성결핵 환자에게 사용하기 위해 개발된 약으로, 서튜러를 복용한 환자는 복용하지 않은 환자에 비해 객담 균음전율이 더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서튜러는 정해진 기간 동안 다른 항결핵제와 함께 빠짐없이 규칙적으로 복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치료의 효과가 떨어지고 내성이 생겨 더욱 치료하기 힘든 결핵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 서튜러를 복용하지 않은 환자군보다 서튜러를 복용한 환자군에서 더 높은 사망률을 보인 임상연구 결과가 발표된 바 있습니다. 그러나 약제와 사망과의 관련성은 확인된 바 없습니다. ○ 심장 맥박 이상, 간손상 등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18세 이하 ○ 임신 ○ 폐외결핵 또는 약제내성이 없는 폐결핵 ○ 심장, 콩팥, 간, 혹은 다른 건강상의 문제가 있을 경우 ○ 후천성면역결핍증후군(에이즈) 감염 ○ 심부정맥을 포함하여 심장질환이 있을 경우 ○ 가족 중에 “선천성 QT 연장 증후군” 환자가 있는 경우 ○ 간질환, 콩팥질환, 혹은 에이즈 감염증을 포함하여 다른 질환을 가지고 있는 경우 ○ 임신 중이거나 임신을 계획하고 있는 경우 ○ 모유수유를 하고 있거나 모유수유를 계획하고 있는 경우 ○ 한약을 포함하여 현재 복용중인 약제가 있는 경우 ○ 서튜러는 의사의 지시에 따라 반드시 다른 항결핵제와 함께 복용하여야 합니다. ○ 물과 함께 알약을 삼켜서 복용하며, 적당한 양의 식사와 함께 복용합니다. (과식, 고지방식은 피하십시오.) ○ 서튜러는 24주(6개월)간 복용하며, 다른 항결핵제는 20 - 24개월간 복용하여야 합니다. ◆ 1주 – 2주까지 : 400mg(4정)을 하루 한번, 매일 복용합니다. ◆ 3주 - 24주까지: 200mg(2정)을 일주일에 세 번 복용합니다.(예, 월, 수, 금요일) ○ 만일 서튜러의 복용이 빠지거나 24주간의 투약기간을 완료하지 못할 경우 치료효과가 떨어지거나 결핵치료가 더 어려워지게 됩니다. 복용하지 못할 상황이 발생하면 담당 의사에게 바로 알려주셔야 합니다. ○ 술은 절대 마시면 안 됩니다. ○ 심각한 부정맥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맥박이 빨라지거나 불규칙해지는 것을 느끼거나, 실신을 하게 되면 즉시 담당의사에게 알려야 합니다. 맥박이 정상적인지 확인하기 위해 심전도검사를 주기적으로 시행합니다. ○ 간독성이 생길 수 있습니다. 오심, 구토, 복통, 발열, 무기력감, 가려움증, 피곤, 식욕저하, 대변이나 소변의 색깔 변화, 피부나 안구의 색깔이 노랗게 변하는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 담당의사에게 말씀해 주십시오. ○ 그 외에 서튜러 복용과 관련된 부작용으로는 메스꺼움, 관절통, 두통, 췌장 이상, 객혈, 흉통, 식욕저하, 발진 등이 있습니다. ○ 이밖에 알려지지 않은, 예상치 못한 부작용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모든 이상 증상이나 부작용은 반드시 담당의사에게 알려야 하며, 심각한 부작용 발생 시 서튜러나 다른 항결핵제를 중단하여야 될 경우도 있습니다. ○ 다제내성결핵 치료를 받는 환자와 같은 검사를 받게 되며 심장 검사, 간기능이나 전해질 수치를 확인하기 위한 혈액검사 등이 추가될 수 있습니다. ○ 위험 : 부작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일부 부작용은 심각하거나 사망을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 이익 : 서튜러를 복용하지 않을 경우와 비교하여 완치될 가능성이 높아지며, 빨리 호전될 수 있습니다. 또한 결핵약에 대한 내성 발생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 서튜러는 임상경험이 적은 신약이므로 투약과 관련된 임상정보들은 수집됩니다. 단,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이름, 주민번호 등)는 수집되지 않습니다. ○ 서튜러 투약을 더 이상 원하지 않을 경우 담당 의사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 이상의 내용은 [주]한국얀센에서 발행하고 식약청이 승인한 약품설명서를 기초로 작성되었습니다. 질문이나 문의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담당의사에게 문의하십시오. _________병원 담당의사 (성명) _________________ (서명) ______________ |
델티바(델라마니드) 투약 설명 및 동의서 | |||||
병록번호 | 성별/나이 | 성 명 | |||
델티바는 효과있는 결핵약이 부족하여 완치를 기대하기 어려운 다제내성결핵 환자에게 사용하기 위해 개발된 약으로, 델티바를 복용한 환자는 복용하지 않은 환자에 비해 객담 균음전율이 더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델티바는 정해진 기간 동안 다른 항결핵제와 함께 빠짐없이 규칙적으로 복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치료의 효과가 떨어지고 내성이 생겨 더욱 치료하기 힘든 결핵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 심장 맥박에 이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18세 이하 ○ 임신 ○ 폐외결핵 또는 약제내성이 없는 폐결핵 ○ 심장, 콩팥, 간, 혹은 다른 건강상의 문제가 있을 경우 ○ 후천성면역결핍증후군(에이즈) 감염 ○ 심부정맥을 포함하여 심장질환이 있을 경우 ○ 가족 중에 “선천성 QT 연장 증후군” 환자가 있는 경우 ○ 간질환, 콩팥질환, 혹은 에이즈 감염증을 포함하여 다른 질환을 가지고 있는 경우 ○ 임신 중이거나 임신을 계획하고 있는 경우 ○ 모유수유를 하고 있거나 모유수유를 계획하고 있는 경우 ○ 현재 복용중인 약제, 비타민, 한약이 있는 경우 ○ 델티바는 의사의 지시에 따라 반드시 다른 항결핵제와 함께 복용하여야 합니다. ○ 물과 함께 알약을 삼켜서 복용하며, 적당한 양의 식사와 함께 복용합니다. (과식, 고지방식은 피하십시오.) ○ 델티바는 24주(6개월)간 복용하며, 다른 항결핵제는 20 - 24개월간 복용하여야 합니다. ◆ 1주 – 24주까지 : 100mg(2정)을 하루 한번 : 아침 / 저녁 복용합니다. ○ 만일 델티바의 복용이 빠지거나 24주간의 투약기간을 완료하지 못할 경우 치료효과가 떨어지거나 결핵치료가 더 어려워지게 됩니다. 복용하지 못할 상황이 발생하면 담당 의사에게 바로 알려주셔야 합니다. ○ 술은 절대 마시면 안 됩니다. ○ 심각한 부정맥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맥박이 빨라지거나 불규칙해지는 것을 느끼거나, 실신을 하게 되면 즉시 담당의사에게 알려야 합니다. 맥박이 정상적인지 확인하기 위해 심전도검사를 주기적으로 시행합니다. ○ 간독성이 생길 수 있습니다. 오심, 구토, 복통, 발열, 무기력감, 가려움증, 피곤, 식욕저하, 대변이나 소변의 색깔 변화, 피부나 안구의 색깔이 노랗게 변하는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 담당의사에게 말씀해 주십시오. ○ 손과 발의 감각이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손발 저림, 감각이상, 시림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 담당의사에게 말씀해 주십시오. ○ 그 외에 델티바 복용과 관련된 부작용으로는 메스꺼움, 관절통, 두통, 췌장 이상, 객혈, 흉통, 식욕저하, 발진 등이 있습니다. ○ 이밖에 알려지지 않은, 예상치 못한 부작용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모든 이상 증상이나 부작용은 반드시 담당의사에게 알려야 하며, 심각한 부작용 발생 시 델티바나 다른 항결핵제를 중단하여야 될 경우도 있습니다. ○ 다제내성결핵 치료를 받는 환자와 같은 검사를 받게 되며 심장 검사, 간기능이나 전해질 수치를 확인하기 위한 혈액검사 등이 추가될 수 있습니다. ○ 위험 : 부작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일부 부작용은 심각하거나 사망을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 이익 : 델티바를 복용하지 않을 경우와 비교하여 완치될 가능성이 높아지며, 빨리 호전될 수 있습니다. 또한 결핵약에 대한 내성 발생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 델티바는 임상경험이 적은 신약이므로 투약과 관련된 임상정보들은 수집됩니다. 단,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이름, 주민번호 등)는 수집되지 않습니다. ○ 델티바 투약을 더 이상 원하지 않을 경우 담당 의사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 질문이나 문의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담당의사에게 문의하십시오. _________병원 담당의사 (성명) _________________ (서명) ______________ |
'질병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 소아 및 영유아 예방접종 실시기준 (1) | 2023.10.17 |
---|---|
코로나19 예방접종 실시기준 개정 안내 (0) | 2023.10.17 |
다제내성 결핵신약(서튜러정, 델티바정) 사전심사제 시행 관련 안내 (0) | 2023.09.22 |
2023-2024절기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 운영 관련 안내 (0) | 2023.09.19 |
2023-2024절기 인플루엔자 유행주의보 발령 안내 (0) | 2023.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