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와골절(orbital fracture)
- 정의
눈 주위의 뼈는 안구와 눈 속 근육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데 매우 얇고 섬세하기 때문에 작은 충격에도 쉽게 손상이 됩니다. 안와 골절이란 안구를 감싸고 있는 안와골이 어떠한 원인에 의해 부러지는 것을 말합니다.
- 원인
사고, 폭행, 운동 등으로 눈, 눈 주위, 뺨 등의 얼굴 부위에 충격이 가해져서 발생합니다.
- 증상
눈이 붓고 눈꺼풀 및 결막의 출혈, 코, 빰, 입술 등의 얼굴 감각 이상이 올 수 있으며, 코피가 나기도 합니다. 안구를 움직이는 근육의 손상으로 안구 운동의 장애와 여러개로 보이는 복시가 나타나기도 합니다. 시력감소, 피하기종, 외안근 혹은 시신경의 손상 등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골절의 크기가 크면 많은 양의 눈 조직들이 골절부위로 빠져나가기 때문에 눈이 함몰되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 진단
눈을 검사하고 볼이나 이마를 가볍게 만지거나 눌러서 변형되었는지를 검사합니다. 그 밖에 상하좌우로 쳐다볼 수 있는지, 시력검사와 복시 같은 시력 변화가 있는지 검사를 합니다. 안구돌출계로 안구함몰정도를 측정하며, 일반 영상의학 검사, 전산화단층촬영(CT) 등의 영상검사도 필요합니다.
- 치료
부종을 감소시키기 위해 얼음찜질을 하고 주위로 감염이 파급되는 것을 막기 위해 항생제 투여를 합니다. 필요시 출혈, 부종 회복을 위해 스테로이드제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수술이 필요한 경우 복시와 안구함몰의 합병증을 막기 위해 10-14일 이내에 수술을 하는데 외상으로 인한 부종이 빠지는 것을 기다린 후에 수술을 합니다. 수술시기가 너무 늦어지면 손상된 안와조직에서 흉터가 생기기 시작하여 수술이 어렵고 수술 결과도 나쁠 수 있습니다.
그러나 2주가 지난 환자라도 복시나 안구함몰이 심하면 교정을 해야 하니 안성형 전문의사 진료를 반드시 받아야 합니다. 수술은 골절된 파편을 제거하고 인공보형물로 안와를 재건해주는 것으로 수술시 골절 부위, 크기 등에 따라 들어가는 인공보형물의 종류와 모양이 달라집니다. 눈의 근육이 골절 부위에 끼었다고 의심될 경우에는 근육손상도 예상해야 하므로 가능한 빨리 수술을 시행합니다.
'의학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칼시토닌(procalcitonin, PCT)는 (0) | 2017.08.21 |
---|---|
호흡기약물상담 (Respiratory Service, RS) (0) | 2017.08.02 |
sick sinus syndrome[동기능 부전증후군] (0) | 2017.08.02 |
RCVS[Reversible cerebral vasoconstriction syndrome ] (0) | 2017.06.21 |
과호흡증후군(Hyperventilation syndrome) (0) | 2017.05.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