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

해외여행 출국 전 예방접종하시고 감염병 주의하세요!

야국화 2014. 5. 22. 13:49

제목 해외여행 출국 전 예방접종하시고 감염병 주의하세요!
등록일 2014-05-22 조회수 35
담당자 권형원 담당부서 질병관리본부 검역지원과

해외여행 출국 전 예방접종하시고 감염병 주의하세요!

- 출국 24주전 황열홍역 예방접종, 말라리아 예방약 복용 후 출-

- 철저한 손 씻기 등 해외여행 예방수칙 준수 당부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양병국)는 기온상승에 따른 감염병유행을 예방하기 위하여 해외로 출국하는 해외여행객들을 대상으로 감염병 예방접종 및 해외여행안전수칙을 준수할 것을 당부하였다.

 

최근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에볼라바이러스, 폴리오(소아마비) 염병으로 많은 사망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각국 해외여행자간 접촉으로 인해 환자 발생이 우려되고 있는 상황이다.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환자614(사망 181) (WHO.'14.5.16), 에볼라바이러스 환자260(182사망)(WHO.'14.5.15), 폴리오(소아마비)환자68(WHO.'14.4.29)

 

브라질은 황열, 말라리아, 뎅기열 위험지역으로 열대지방에 서식하는 모기 등에 의한 매개체 감염병에 주의해야 하며,

- 오염된 식수나 비위생적 음식물 섭취 등으로 인한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세균성이질, 장티푸스 등)도 조심해야 한다.

 

해외 여행 중 감염병 예방 및 국내 유입 방지를 위해 출국 2~4주전에는 황열과 홍역은 예방접종을 받고 말라리아는 예방약을 복용하여야 한다.

 

황열 예방접종항체형성 기간을 감안하여 늦어도 출국 10일 전에는 지정된 국제공인예방접종기관에서 접종을 받아야 하고,

국제공인예방접종기관 : 전국 13개 국립검역소, 국립중앙의료원, 분당서울대병원, 충남대병원

- 홍역은 예방접종력이 불명확한 ‘68년 이후 출생자는 적어도 1회 예방접종을 완료한 후 출국하여야 안전하다.

 

말라리아 예방약최소 출국 2주 전까지는 가까운 보건소 또는 의료기관에 방문하여 약을 처방받은 후 복용해야 하며,

- 뎅기열방접종.예방약이 없으므로 감염예방을 위해서는 외출 시 긴 소매, 긴 바지착용하여 최대한 모기에게 물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안전한 해외여행을 위하여 여행 전에해외여행질병정보센터 홈페이지(http://travelinfo.cdc.go.kr)정보를 검색하거나 또는 스마트폰에서 질병관리본부 mini’ (App)을 설치하여 실시간 질병 발생정보 예방요령 등을 확인, 대비하여야 한다.

또한 외출 시 손 씻기 개인위생 관리 철저히 하고, 안전한 음료수 마시기, 충분히 익힌 음식 섭취 등 해외여행안전수칙 준수하여야 한다.

 

아울러, 해외방문 후 설사 및 발열 등의 증상이 있을 경우, 입국 시 공항만 국립검역소 검역관에게 신고하고 귀가 후에는 가까운 보건소 또는 인근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의사에게 해외여행 후 증상을 알린 후 치료받아야 한다.

 

 

첨부

hwp [보도참고자료]_해외여행_출국_전_예방접종하시고_감염병_주의하세요!.hwp (2 MB / 다운로드 : 12)

--------------

4. 해외 감염병 정보 제공 서비스 활용 안내

붙임 1

 

주요 해외 감염병 질병정보

 

1. 황열

 

감염경로

- 바이러스에 감염된 모기에 물려 생기며, 사람간 전파 없음

- (잠복기) 36

 

증상 및 증후

- 발열, 근육통, 두통, 오한, 식욕부진, 오심과 구토 등

환자의 약 15% 정도 중증 황열 증상(황달, 출혈, 쇼크, 출혈성 징후 동반)

 

예방

- 황열 위험국가 여행객 황열 예방접종 실시

예방접종기관 : 전국 13개 국립검역소 및 국립중앙의료원, 분당서울대병원, 충남대학교병원

최소 출국 10일 전 예방접종 받아야 하며, 1회 접종으로 10년 유효

-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중요함(모기장, 곤충기피제 사용)

모기장, 곤충기피제, 보호복(긴 소매, 긴 바지, 모자 등) 착용

 

황열 위험지역

 

 

자료원 : CDC

 

2. 말라리아

 

감염경로

- 바이러스에 감염된 모기에 물려 생기며, 사람간 전파 없음

- (잠복기) 열대열 말라리아 714, 삼일열 말라리아(7~10개월)

 

증상 및 증후

- , 두통, 오한, 오심과 구토 등

 

예방

- 말라리아 위험국가 여행객은 출국 최소 2주전 예방약 복용

예방약 처방기관 : 가까운 보건소, 종합병원(감염내과)

-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중요함

모기장, 곤충기피제, 보호복(긴 소매, 긴 바지, 모자 등) 착용

 

말라리아 위험지역

자료원 : WHO

 

3. 뎅기열

 

감염경로

- 바이러스에 감염된 모기에 물려 생기며, 사람간 전파 없음

- (잠복기) 3~8

 

증상 및 증후

- 갑작스런 고, 두통, 근육통, 관절통 등

 

예방

- 예방할 수 있는 백신 또는 약이 없음

-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중요함

모기장, 곤충기피제, 보호복(긴 소매, 긴 바지, 모자 등) 착용

 

뎅기열 위험지역

 

자료원 : WHO

 

붙임 2

 

해외여행 안전수칙

 

여행 전 준비사항

- 해외여행질병정보센터 홈페이지(http://travelinfo.cdc.go.kr) 질병관리본부 mini App에서 각종 질병정보 확인하기

- 설사약과 해열제 등 구급약과 모기기피제 준비

- 필요할 경우, 예방접종(황열, 장티푸스, A형간염 등)을 받거나 적정한 예방약(말라리아) 복용하기

황열 : 최소 출국 10일전 예방접종

황열 예방접종기관: 국립검역소(13개소), 국립중앙의료원, 분당서울대병원,

충남대학교병원

A형간염 : 예방접종 권고 (2회 접종)

말라리아 : 최소 출국 2주 전 예방목적의 항말라리아제를 복용하되

특히 클로로퀸 내성지역여부를 반드시 확인하기

말라리아 예방약은 전문의약품으로 의사와 상담 후 복용

- 여행하는 지역에서 이용할 수 있는 의료기관을 파악하여 위급시 방문

 

여행 중

- 수인성 전염병 예방요령(콜레라, 장티푸스, 세균성이질, A형간염 등)

수시로 깨끗이 손 씻기

끓인 음료수 혹은 병, 캔에 든 안전한 음료수 마시기

익힌 음식물을 섭취하고, 과일 등도 껍질 벗기고 먹기

위생처리가 불결하거나 의심되는 길거리 음식 등은 절대로 먹지 않기

- 모기 매개질병 예방요령(황열, 말라리아, 뎅기열 등)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모기장, 곤충 기피제를 사용하고 긴 소매, 긴 바지 착용

 

여행 후

- 입국 시 설사 및 발열 증상 등이 있을 경우 공항만 국립검역소에 신고하고 귀국 후 가까운 보건소 또는 의료기관(감염내과) 방문할 것

- 말라리아 예방약은 위험지역을 벗어난 후에도 반드시 적절한 복용법과 복용기간을 준수할 것

 

붙임 3

 

해외여행 전 예방접종 상담 및 황열 예방접종 기관 안내

 

국립검역소 문의처(예방접종 상담 및 황열 예방접종)

국립인천공항검역소

032) 740-2700, 2703

국립부산검역소

051) 602-0683

국립인천검역소

032) 883-7503

국립군산검역소

063) 445-4239

국립목포검역소

061) 244-0941

국립여수검역소

061) 665-2367

국립마산검역소

055) 981-5322

국립김해검역소

051) 973-6525

국립통영검역소

055) 645-3579

국립울산검역소

052) 255-4503

국립포항검역소

054) 246-8545

국립동해검역소

033) 535-6023

국립제주검역소

064) 746-7530

국제공인 예방접종기관 문의처(예방접종 상담 및 황열 예방접종)

국립중앙의료원(해외여행클리닉)

02) 2262-4741

분당서울대병원

1588-3369

충남대병원

042) 280-7114

질병관리본부(예방접종 상담)

검역지원과(황열 등 예방접종)

043) 719-7142

예방접종관리과(홍역 예방접종)

043) 719-6828

 

붙임 4

 

해외 감염병 정보 제공 서비스 활용 안내

 

 

 

○「해외여행질병정보센터 홈페이지(http://travelinfo.cdc.go.kr)

 

1. 포털사이트에 접속하여 상단 검색창에 해외여행질병정보센터를 입력하여 검색

 

 

2. 해외여행질병정보센터를 클릭하여 홈페이지 접속

 

3. 필요한 메뉴 선택하여 정보 확인

 

 

 

○「질병관리본부 mini앱 다운로드 및 활용

 

안드로이드폰(Android) 다운로드 방법

1. 스마트 폰의 ‘Play 스토어아이콘을 선택하여 실행

 

2. 상단 검색창에 질병관리본부를 입력하여 검색

3. 질병관리본부mini를 선택한 후, 설치버튼을 클릭하여 다운로드

 

아이폰(iOS) 다운로드 방법

1. 스마트 폰의 ‘App Store’ 아이콘을 선택하여 실행

 

 

2. 상단 검색창에 질병관리본부를 입력하여 검색

 

3. ‘질병관리본부mini’ 선택한 후, 무료버튼을 클릭하여 다운로드

 

QR코드를 활용한 다운로드

1. QR코드 앱을 사용하여 해당 폰의 QR 코드를 스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