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상식

폐구균 단백결합 백신 접종 스케줄 안내

야국화 2010. 12. 22. 18:05
폐구균 단백결합 백신 접종 스케줄 안내
2010-12-21    정홍기 (사업국(전산정보팀))     조회: 142

          1. 관련근거 : 질병관리본부 예방접종관리과-2988(2010.12.16)

          2. 상기대호와 관련하여 질병관리본부 예방접종관리과 에서는 2010년 Hib/

폐구균 분과위원회 및 2010년 제5차 예방접종심의위원회에서 논의 된 '폐구균 단백

결합 백신 접종 스케줄'을 다음과 같이 본회에 알려온 바, 안내드리오니 관련 업무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다      음 -

□ 이전에 폐구균 단백결합 백신을 한 번도 접종하지 않은 경우

○ 폐구균 백신 중 하나를 선택하여 스케줄대로 접종을 완료함

□ 폐구균 단백결합 백신간의 교차접종

○ PCV7과 PCV10

  - PCV7으로 3회 기초접종을 완료한 후 생후12-15개월 추가접종은 PCV10으

      로 교차접종 가능

○ PCV7 혹은 PCV13으로 불완전 접종한 경우

  - PCV7을 1회이상 투여받은 영아 및 소아는 PCV13으로 전환하여 접종 가능

○ PCV7로 완전 접종한 경우

  - PCV7으로만 폐구균 접종을 완료한 소아는 생후 14-59개월에 PCV13 1회

      보충 접종, 고위험군 소아는 71개월까지 보충접종을 권장, 이때 PCV7과의

      최소 접종간격은 8주임

○ PCV10과 PCV13

  - PCV10과 PCV간의 교차접종은 권장하지 않음

※ 각 항목에 대한 세부사항은 붙임자료 참조




  기획정책_제2010-340_1_폐구균_단백결합_백신_접종_스케줄_안내_01.pdf

  1012_폐구균_단백결합_백신_접종_스케줄.hwp

폐구균 단백결합 백신 접종 스케줄 안내

질병관리본부 예방접종관리과(2010.12)

 

□ 배경

우리나라에서는 영아 및 소아의 페구균 질환 예방을 위하여 2003년부터 7가 폐구균 단백결합 백신 (프리베나, 한국와이어스, 이하 PCV7)이 기타예방접종으로 사용되어 옴

◦ 2010년 3월 프리베나13주 (한국와이어스, 이하 PCV13) 및 신플로릭스 (GSK, 이하 PCV10)가 식품의약품안전청 허가를 받아 의료기관에서 사용 중

◦ 기존에 사용되던 PCV7과 최근에 허가받은 PCV13, PCV10의 예방접종 실시기준 및 교차접종에 대한 문의가 많음

이에 폐구균 단백결합 백신 접종 스케줄에 관해 안내하고자 함

 

□ 이전에 폐구균 단백결합 백신을 한 번도 접종하지 않은 경우

폐구균 백신 중 하나를 선택하여 스케줄대로 접종을 완료함

PCV10을 선택하는 경우

- 생후 6주-6개월의 영아의 경우 : 기초접종은 생후 2, 4, 6개월에 3회, 추가접종은 생후 12-15개월에 1회

- 기초접종을 하지 않은 생후 7-11개월 영아 : 최소 1개월 간격으로 2회 접종, 3차 접종은 생후 12개월 이후에 2차 접종과 최소 2개월의 간격을 두고 접종

- 기초접종을 하지 않은 생후 12-23개월 영아 : 최소 2개월 간격으로 2회 접종

첫번째 접종시 연령(개월)

PCV10 기초접종1)

PCV10 추가접종2)

2-6

3회

생후 12-15개월에 1회

7-11

2회

생후 12-15개월에 1회

12-23

2회

-

1) 1세 미만 접종시 최소접종간격은 1개월, 그 이후의 최소접종간격은 2개월, 최소접종연령은 생후 6주

2) 이전 접종으로부터 최소 2개월의 간격을 두고 접종하며, 추가접종 최소접종연령은 생후12개월

<PCV10의 접종당시 월령에 따른 접종스케줄>

 

 

 

PCV13을 선택하는 경우(기존 PCV7 접종스케줄과 동일)

<PCV13의 접종당시 월령에 따른 접종스케줄>

첫번째 접종시 연령(개월)

PCV13 기초접종1)

PCV13 추가접종2)

2-6

3회

생후 12-15개월에 1회

7-11

2회

생후 12-15개월에 1회

12-23

2회

-

24-59(건강한 소아)

1회

-

24-71(고위험군)

2회

-

1) 1세 미만에 접종시 최소접종간격은 4주, 그 이후의 최소접종간격은 8주, 최소접종연령은 생후 6주

2) 이전 접종으로부터 최소 8주의 간격을 두고 접종

 

<표. 폐구균 질환 고위험군>

분류

질환

정상면역 소아

만성심장질환1)

 

만성폐질환2)

 

당뇨

 

뇌척수액 누출

 

인공 와우 이식 상태

 

 

기능적 혹은 해부학적

겸상구 빈혈증 혹은 헤모글로빈증

무비증 소아

선천성/후천성 무비증 혹은 비장 기능장애

 

 

면역저하 소아

HIV 감염증

 

만성 신부전 및 신증후군

 

면역억제제나 방사선 치료를 하는 질환(악성 종양, 백혈병, 림프종, 호치킨병) 혹은 고형장기 이식

 

선천성 면역결핍질환3)

1) 특히 선천성 청색 심질환과 심부전

2) 고용량의 스테로이드를 경구 복용하는 천식환자 포함

3) B세포 혹은 T세포 결핍증, 보체 결핍증(특히 C1, C2, C3, 및 C4 결핍증), 탐식구 질환(만성 육아종 질환 제외)

PCV10과 PCV13을 구할 수 없는 경우 등에는 PCV7을 기존 스케줄대로 접종함

 

PCV7과 PCV10 혹은 PCV13과의 교차접종

PCV7과 PCV10

- PCV7으로 3회 기초접종을 완료한 후 생후12-15개월 추가접종은 PCV10으로 교차접종 가능

PCV7 혹은 PCV13으로 불완전 접종한 경우

- PCV7을 1회 이상 투여받은 영아 및 소아는 PCV13으로 전환하여 접종 가능

- 생후 24개월 미만의 영아 중 생후 12개월 미만에 PCV7 기초접종을 완료하고 추가접종을 하지 않은 경우는 마지막 PCV7로부터 최소 8주 간격을 두고 PCV13 1회 접종하고, PCV7 기초접종 완료 후 생후 12개월 이후에 PCV13으로 추가접종한 경우는 더 이상의 접종 불필요

- 건강한 생후 24-59개월 소아 중 폐구균 백신을 불완전 접종한 경우는 PCV13 1회 접종

- 생후 24-71개월 고위험군 소아가 생후 24개월 전에 폐구균 접종을 3회 미만 받은 경우 최소 8주 간격으로 PCV13 2회 접종을 권장, 24개월 전에 폐구균 접종을 3회 받은 경우는 71개월까지 PCV13 1회 접종을 권장

영아기 기초접종

추가접종

보충접종

2개월

4개월

6개월

12개월 이상1)

14-59개월2)

PCV7

PCV13

PCV13

PCV13

-

PCV7

PCV7

PCV13

PCV13

-

PCV7

PCV7

PCV7

PCV13

-

PCV7

PCV7

PCV7

PCV7

PCV13

1) 생후 12개월 미만에 PCV7을 2-3회 접종받고, 생후 12개월 이후에 PCV13을 최소 1회 접종받은 생후 12-23개월 소아에게는 더 이상 접종이 필요없음

2) 고위험군 소아의 경우는 생후 71개월까지 1회의 보충접종을 권장함

<이전 PCV7의 접종횟수에 따른 PCV7과 PCV13의 이행 접종 스케줄>

PCV7로 완전 접종한 경우

- PCV7으로만 폐구균 접종을 완료한 소아는 생후 14-59개월에 PCV13 1회 보충접종, 고위험군 소아는 71개월까지 보충접종을 권장, 이 때 PCV7과의 최소접종간격은 8주임

 

PCV10과 PCV13

- PCV10과 PCV13간의 교차접종은 권장하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