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LHON(Leber`s Hereditary Optic Neuropathy, 레버씨 시신경위축증) LOA(Leber`s Optic Atrphy) | ||
---|---|---|---|
개요 LHON은 젊은 시기에 특징적인 시신경의 손상으로 인해 통증이 동반되지 않으면서 갑자기 양쪽 시력을 잃게 되는 사립체성 유전질환으로, 1871년 독일의 안과의사 Theodore Leber에 의해 처음으로 기술되었습니다. 여자보다 주로 남자에게(약 80%) 발현되며, 여자의 경우는 좀 더 늦게 발현되고 더 심하게 영향을 받습니다. 발현되는 시기는 보통 18세에서 30세 사이이지만, 모든 연령에서 예고없이 나타나며, 급성이나 아급성으로 양쪽 눈의 시력을 동시에, 또는 연속적으로 잃게 됩니다. 발생빈도는 아직까지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LHON은 사립체 유전자(미토콘드리아 DNA, mtDNA)의 돌연변이에 의해 유전되는 유전질환 중 가장 먼저 발견된 질환으로, 모계로만 유전되는 질환입니다. 대부분의 환자가 모계로부터 가족력을 가지지만 40%가 자연발생적입니다. 사립체는 생체활동에 사용되는 에너지(ATP)를 생산하는 중요한 세포내 소체로서, 핵 유전자와는 달리 독립적인 유전자를 가지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유전질환은 핵 내의 유전자에 생긴 결함으로 발생하지만 일부는 사립체 유전자의 이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세포핵 안에 있는 한 쌍의 유전자는 부모에서 각각 물려받지만, 사립체 유전자는 수정 시 정자의 꼬리 안에 있는 부계의 유전자를 포함한 사립체가 떨어져 나가면서 난자 내로 들어가지 못하기 때문에 단지 모계에서만 유전됩니다. LHON은 양쪽 눈에서 발생되는 원인 불명의 시신경병증의 30~50%을 차지합니다. LHON의 90% 정도가 G11778A(전 세계적으로 70% 정도), G3460A, T14484C(프랑스와 캐나다인의 혼혈에게 가장 많음)의 세 가지 점돌연변이 중 한 가지를 보유하고 있으며, 그 밖에도 많은 점돌연변이 유전자가 밝혀져 있습니다. 대부분은 한 개의 돌연변이유전자(homoplasic)를 가지지만 두 개 이상의 돌연변이 유전자(heteroplasic)를 가진 경우도 있습니다. 질환의 확실한 발생기전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정상적인 세포의 분열과 세포의 성장과정에 결함이 있는 사립체 유전자가 관여되어, 시신경 세포에서의 에너지 생산과정에 문제가 발생하게 되고, 그로 인해 세포가 파괴된다고 여겨집니다.
LHON은 어떤 연령에서도 발현될 수 있으며, 평균 발병연령은 25~35세 입니다. 주요증상은 한쪽 또는 양쪽 눈의 중심시력의 소실입니다. 대부분의 환자가 발병 후 몇 개월이 지난 후 시력을 상실하게 되는데, 1~2개월의 간격을 두고 한쪽 눈과 또 다른 쪽 눈이 영향을 받습니다. 어떤 환자의 경우는 2년 이상 정도로 느리게 진행되고, 어떤 경우에서는 갑자기, 그리고 급격하게 시력을 상실합니다. 급성기
위축기
기타
임상 검사
분자유전학적 검사
아직까지 확실한 치료방법 및 예방법은 없지만, 담배와 음주를 경험한 환자에서 발현될 확률이 훨씬 더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비타민 B12의 투약과 비타민A, C, E가 많이 함유된 식이요법 등의 비타민 보조요법이 처음 몇 개월은 도움이 되지만, 비타민 B12의 경우 LHON의 증상을 더 악화시키므로 피해야하며, 어떤 비타민의 경우는 LHON 환자에게 해가 되므로 많은 양의 비타민을 섭취하지 않아야 합니다. 또한 다량의 칼슘 섭취가 미토콘드리아 질환에 도움이 된다는 보고도 있으며, 알츠하이머 질환의 치료에 사용되고 있는 'idbenone'을 써서 효과를 거둔 보고들이 있고, 연구가 진행 중입니다.
|
'의학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 조숙증, 진단 및 치료시기가 최종 신장을 결정한다 (0) | 2010.12.09 |
---|---|
갑상선 수술 논란 종지부 '5mm'가 기준 (0) | 2010.11.16 |
스트레스 많은 중년 남성, “당뇨병” 적신호 (0) | 2010.11.15 |
소아표준예방접종표 (0) | 2010.11.15 |
NIHSS:미국립보건원뇌졸중척도(National Institute of Health Stroke Scale (0) | 2010.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