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레스 많은 중년 남성, “당뇨병” 적신호
- 30~50대 당뇨병 환자 62%가 남성, 여성의 2배 -
□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강윤구)이 세계 당뇨병의 날(11월 14일)을 맞아, 2005~2009년 ‘당뇨병(E10~E14)’에 대한 심사결정자료를 분석한 결과,
• 진료인원은 2005년 185만8천명에서 2009년 214만6천명으로 4년간 약 28만8천명, 연평균 3.7% 증가하였으며,
• 총진료비는 2005년 3,030억원에서 2009년 4,463억원으로 4년간 약 1,433억원, 연평균 10.2%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1. 당뇨병 성별 진료인원 및 총진료비 현황(2005~2009)
구 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진료인원 (명) |
계 |
1,857,540 |
1,869,138 |
1,975,216 |
2,046,365 |
2,145,892 |
남 |
956,993 |
972,888 |
1,033,027 |
1,072,701 |
1,129,218 | |
여 |
900,547 |
896,250 |
942,189 |
973,664 |
1,016,674 | |
총진료비 (천원) |
계 |
302,984,190 |
339,495,537 |
382,791,117 |
406,870,162 |
446,339,416 |
남 |
154,180,398 |
172,433,485 |
192,048,056 |
204,046,304 |
223,544,137 | |
여 |
148,803,792 |
167,062,052 |
190,743,061 |
202,823,858 |
222,795,279 |
□ 각 년도의 성별 점유율은 남성이 약 52%, 여성이 약 48%로, 남성환자가 다소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2. 당뇨병 성별 점유율 및 구성비(2005~2009)
구 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성비(여성대비남성) |
1.1 |
1.1 |
1.1 |
1.1 |
1.1 | |
점유율 |
남 |
51.5% |
52.1% |
52.3% |
52.4% |
52.6% |
여 |
48.5% |
47.9% |
47.7% |
47.6% |
47.4% |
• 연도별 평균증가율도 남성이 4.2%, 여성이 3.1%를 보여 5년동안 남성환자가 더 많이 증가하였다.
□ 연령별로 분석한 결과 당뇨병은 남성의 경우 50대에, 여성은 60대에 가장 높았다. 특히 남성환자는 30~50대에서 동 연령대의 여성보다 약 2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3. 당뇨병 연령별 성비(2009)
구 분 |
20세미만 |
20~29세 |
30~39세 |
40~49세 |
50~59세 |
60~69세 |
70세이상 |
성비(여성대비남성) |
1.2 |
1.0 |
1.8 |
2.0 |
1.5 |
1.0 |
0.6 |
• 30~50대의 남성은 직장생활 및 가장으로서의 책임감 등으로 인해 많은 스트레스를 받게 되는데 이를 적절히 해소하지 못하는 것이 위와 같은 현상의 원인인 것으로 보인다.
- 스트레스는 당뇨병의 직접적인 원인은 아니나, 심리적 스트레스로 인해 호르몬 분비를 조절하는 뇌의 기능에 영향을 미치고, 식․생활습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 여성은 일반적으로 걱정근심이나 우울한 마음을 서로 털어놓거나 다양한 방법으로 스트레스를 해소하려고 노력하는데 반해, 남성은 자신의 기분을 감추고 술, 흡연, 약물 등에 의존하는 경향이 강하므로 당뇨병의 위험에 쉽게 노출될 수 있다.
표4. 당뇨병 연령별 진료인원 및 점유율(2005~2009)
구분 |
진 료 인 원 (명) |
연령별 점유율 |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20세 미만 |
소계 |
13,535 |
11,862 |
11,244 |
10,885 |
11,527 |
0.7% |
0.6% |
0.5% |
0.5% |
0.5% |
남 |
7,633 |
6,562 |
6,239 |
5,931 |
6,246 | ||||||
여 |
5,902 |
5,300 |
5,005 |
4,954 |
5,281 | ||||||
20~ 29세 |
소계 |
29,087 |
26,202 |
24,968 |
24,180 |
24,605 |
1.4% |
1.3% |
1.1% |
1.1% |
1.0% |
남 |
13,892 |
12,824 |
12,253 |
12,118 |
12,317 | ||||||
여 |
15,195 |
13,378 |
12,715 |
12,062 |
12,288 | ||||||
30~ 39세 |
소계 |
117,656 |
108,840 |
105,828 |
104,704 |
104,735 |
5.8% |
5.3% |
4.9% |
4.7% |
4.4% |
남 |
71,806 |
67,824 |
66,897 |
66,901 |
67,256 | ||||||
여 |
45,850 |
41,016 |
38,931 |
37,803 |
37,479 | ||||||
40~ 49세 |
소계 |
348,969 |
337,395 |
340,348 |
341,496 |
351,443 |
17.2% |
16.5% |
15.6% |
15.2% |
14.9% |
남 |
225,470 |
221,809 |
225,536 |
227,037 |
233,876 | ||||||
여 |
123,499 |
115,586 |
114,812 |
114,459 |
117,567 | ||||||
50~ 59세 |
소계 |
519,882 |
527,898 |
565,603 |
580,445 |
616,324 |
25.6% |
25.8% |
25.9% |
25.8% |
26.1% |
남 |
294,002 |
304,626 |
330,308 |
342,725 |
367,340 | ||||||
여 |
225,880 |
223,272 |
235,295 |
237,720 |
248,984 | ||||||
60~ 69세 |
소계 |
619,882 |
616,927 |
656,657 |
667,074 |
686,279 |
30.5% |
30.2% |
30.1% |
29.7% |
29.0% |
남 |
291,410 |
294,606 |
318,002 |
325,059 |
338,497 | ||||||
여 |
328,472 |
322,321 |
338,655 |
342,015 |
347,782 | ||||||
70세 이상 |
소계 |
381,519 |
415,412 |
477,000 |
519,197 |
567,896 |
18.8% |
20.3% |
21.9% |
23.1% |
24.0% |
남 |
142,597 |
156,778 |
182,721 |
199,570 |
219,614 | ||||||
여 |
238,922 |
258,634 |
294,279 |
319,627 |
348,282 |
□ 당뇨병은 췌장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이 부족하거나 몸에서 포도당의 이용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대사 질환이다.
✱인슐린 : 체내의 포도당을 각 세포에서 이용할 수 있는 에너지로 만들어 주는 호르몬
□ 당뇨병은 비만, 노화, 임신, 감염, 수술, 스트레스, 약물남용 등의 여러 가지 환경인자가 작용할 때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당뇨병의 3대 증상은 다음, 다뇨, 다식이며 이외에 시력장애, 성장장애, 여러 감염증 등이 생길 수 있다.
□ 당뇨병은 크게 제1형 당뇨병과 제2형 당뇨병으로 구분된다.
․제1형 당뇨병(인슐린의존 당뇨병) : 인슐린을 분비하는 췌장의 베타세포의 파괴로 인슐린의 분비가 절대적으로 부족하여 발생
․제2형 당뇨병(인슐린비의존 당뇨병) : 인슐린 저항성과 함께 상대적인 인슐린 분비장애가 주된 기전이 되어 발생하며, 일반적으로 40세 이후에 발생하고 비만인 경우가 많음
✱인슐린 저항성 : 혈당을 낮추는 인슐린의 기능이 떨어져 세포가 포도당을 효과적으로 연소하지 못하는 것을 말함
□ 당뇨병의 합병증으로는 미세혈관 합병증(신경병증, 망막병증, 만성신부전)과 대혈관 합병증(심혈관계질환, 뇌졸중, 말초혈관질환)이 있다.
당뇨병에서는 질환 자체보다는 만성적인 합병증으로 인해 건강을 해치고 생명을 단축하게 된다. 따라서 혈당 조절 외에 동반되는 고혈압과 고지혈증 등의 조절이 중요하다.
✱ 신경병증 : 말초신경계의 기능적 장애로, 감각저하 및 근력저하 등의 증상이 나타남
✱ 망막병증 : 망막에 분포하는 혈관의 이상으로 혈관내의 지방 성분을 망막내로 유출시켜 시력저하 및 실명의 원인
※ 작성 기준 ○ 건강보험 심사결정기준(비급여 제외) ○ 주상병 : 당뇨병(E10~E14), 한방 및 약국 제외 ※ 상병기호 :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2007), 통계청. |
'의학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갑상선 수술 논란 종지부 '5mm'가 기준 (0) | 2010.11.16 |
---|---|
제목 LHON(Leber`s Hereditary Optic Neuropathy, 레버씨 시신경위축증) (0) | 2010.11.16 |
소아표준예방접종표 (0) | 2010.11.15 |
NIHSS:미국립보건원뇌졸중척도(National Institute of Health Stroke Scale (0) | 2010.11.11 |
K-NIHSS(한국판뇌졸증위험도평가표) (0) | 2010.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