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
K-Verson of NIH STROKE SCALE(K-NIHSS)
1a.의식의 수준 0 = 명료한 상태 1 = 명료하지 않으나 작은 자극에 반응을 보임 2 = 명료하지 않고 깨우기 위해 반복된 자극을 줘야 함 3 = 반응수준이 운동반사, 자율신경증상 수준 또는 전혀 반응없음
1b.질문에 의한 의식 수준 평가 * 지금이 몇월달이며 나이가 얼마인지 물어봄. 실어증, 혼수 환자로 질문을 이해못하는 경우는 2점 기관삽관, 구강내 손상, 심한 구음장애 등 기타 이유로 대답 불가 시 1점 0 = 두개 모두 정확히 맞춘 경우 1 = 한개만 맞춘 경우 2 = 모두 못 맞춘 경우 1c.명령에 의한 의식 수준 평가 * 눈을 뜨고 감는 것, 마비되지 않은 손을 주먹 쥐고 펴보라고 요청함. 0 = 두개 모두다 수행 1 = 한 가지만 수행 2 = 모두 수행 못함
2. 안구운동 손가락을 눈과 수평으로 좌우로 이동하며 안구운동을 확인. 자발적, 혹은 안구두부 반사에 의한 안구운동 여부를 측정 0 = 정상 1 = 부분적 안구운동 마비 2 = 완전 안구운동 마미
3. 시야 0 = 정상 1 = 부분 편측 시력소실 2 = 완전 편측 시력소실 3 = 양측 시력소실
4. 안면 마비 * 이을 보여주도록, 눈썹을 위로 올리도록, 눈을 감도록 요청함. 0 = 정상 1 = 미세 마비(nasolabial fold flattening, 웃을때 비대칭) 2 = 부분 마비(안면 하부의 완전, 거의 완전 수준의 마비) 3 = 한쪽 혹은 양쪽 안면 마비(안면 상,하부의 움직임이 없는 상태)
5,6 팔, 다리 운동기능 앉아서 90도, 누어서 45도로 팔을 들고 있도록 하고 다리는 30도 들고 있도록 함. 팔은 10초, 다리는 5초 이상 유지해야 됨. 0 = 팔, 다리 모두 10, 5초 이상 유지 1 = 10초, 5초전에 팔, 다리 내려옴. 2 = 중력은 이겨내나 자세 유지가 안 됨. 3 = 중력을 이기지 못함. 4 = 움직임이 없음 9 = 사지 절단, 관절 기능 불능, 사유기록요망
7 사지 실조증 finger-nose-finger, heel-shin test 0 = 정상 1 = 사지 중 한 곳에 증상 있음 2 = 사지 중 두 곳에 증상 있음 9 = 사지절단이나 관절 협착 시, 상황을 기술
8 감각 팔, 다리, 몸통, 얼굴에 자극 0 = 정상 1 = 경도, 중등도 감각 소실 2 = 심한, 완전한 감각 소실
9 언어기능 0 = 정상 1 = 경도, 중등도 실어증 2 = 심한 실어증 3 = 언어적 표현 없는 상태
10 구음장애 0 = 정상 1 = 경도, 중등도 구음장애 2 = 심한 구음장애 9 = 기관삽관 등 발음 불가능한 상황, 상황을 기술
11 extinction and inattention 0 = 정상 1 = 시각, 촉각, 청각, 공감각 자극 중 한가지 자극에 대해 inattention 2 = 심각한 편측 inattention, 또는 한가지 이상의 자극에 대해 편측 inatten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