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서울아산병원 등 대형병원들을 중심으로 의료인력 격리기간 단축, 일반병상을
이용한 확진자 치료 등이 시행 중이지만 명확한 기준과 방식은 없는 실정이다.
정부는 의료진 감염 확산에 따른 의료체계 붕괴를 막기 위해 의료기관 업무연속성계획,
일명 ‘BCP(Business Continuity Plan) 지침안’을 마련해 각 유관단체에 전달했는데,
오미크론 확산으로 의료인 감염 증가가 예상되는 만큼 의료기관들이 최대한 진료기능을
유지토록 하는 게 핵심이다.
보건복지부는 ‘의료분야 격리기간 단축 시행 관련 주요 Q&A’를 안내했는데,
1) BCP 대상: 의료법상 모든 의료기관
2)격리기간 단축 대상: 병원장이 판단하는 필수인력이 대상이며, 의사와 간호사는 물론 행정직도
모두 가능. 다만 격리기간 단축 적용 시 대상자의 동의가 필요하다.
해당 지침은 권고사항인 만큼 병원장 판단 하에 해당 의료기관에서 필요 없을 경우 시행하시지 않아도 무방.
격리기간 단축을 적용하고자 하는 병원의 경우
1) 우선 사전에 BCP 계획을 수립하고 그 계획에 따라 대상자를 선정해 전자문서로 결재 및 보관 후 시행.
2) BCP 시행 시에는 보건소 통보 등 특별한 절차가 필요하지 않고, 의료기관 자체 판단에 따라 적용.
3) 격리기간 단축은 예방접종을 모두 완료한 인력에 대해서만 적용.
코로나19 감염 후 회복자 또는 재감염자도 예방접종 완료를 하지 않았다면 대상이 될 수 없다.
4)사전에 BCP 계획서 수립 등을 준수하지 않고 격리기간 단축을 바로 시행하는 경우 보건소 점검을 통해
사실을 확인한 후 격리기간 미준수 등으로 관계법령에 따라 처벌 받을 수 있다.
<의료분야 격리기간 단축 시행 Q&A>
Q. ‘병원 내 의료진 감염 대비 의료기관 업무연속성 계획 지침’인데, 해당 범위는?
해당 지침의 대상 범위는 의료법상 포함되는 모든 의료기관
(의원, 요양병원, 정신병원, 치과, 한의원 등 포함)
Q. 정확한 격리기간 단축 대상의 범위가 어떻게 되나
격리기간 단축 대상 범위는 기관장의 판단 하에 해당 인력을 대체 할 수 없는(예: 업무 대행자 투입,
업무 우선순위 조정 등) 필수 의료인력 등을 포괄적으로 지칭한다.
따라서 대체가 불가능한 인력의 경우 의료인 및 행정지원 인력 등 모두 격리기간 단축지정이 가능하다.
Q. 격리기간 단축 실행, 반드시 따라야 하나
그렇지 않다. 해당 지침은 권고사항으로, 기관장 판단 하에 해당 의료기관에서 필요 없을 경우
시행하지 않아도 된다.
Q. 격리기간 단축 원하면 바로 시행하면 되나
격리기간 단축 시행을 위해서는 1)사전에 BCP 수립, 2)BCP에 따라 격리기간 단축 대상자를 선정해
전자문서로 결재 및 보관 후 시행해야 한다. 또한 시행 시에는 보건소 통보 등 특별한 절차가 필요
하지 않고, 의료기관의 자체 판단 하에 따라 시행하면 된다.
Q. 예방접종 완료자만 격리기간 단축 시행을 적용할 수 있나
그렇다. 미접종자는 허용하지 않는다. 아울러 코로나19 감염 후 회복자(재감염자)도 예방접종 완료를
하지 않았다면 격리기간 단축 시행 적용 대상이 아니다.
Q. 계획서 수립 등을 준수하지 않을 경우 어떻게 되나
격리기간 단축을 시행하려는 의료기관에서는 반드시 사전에 BCP 수립 및 격리기간 단축 적용 명단
서류를 구비해 놓아야 한다. 사전에 계획수립 및 명단 결재 없이 시행한 경우 격리기간 미준수 및
무단 이탈에 해당되므로 관계법령에 따라 처벌 가능하다.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부는 2033년까지 정년 65세로 늘린다는... 연내 가이드라인 마련. (0) | 2024.08.27 |
---|---|
배우자 출산휴가 급여 지급조건 (0) | 2023.02.07 |
2021년 11월 19일부터 사용자는 임금명세서를 교부해야 (0) | 2021.11.17 |
수도권 등 지역의 사회적 거리 두기를 1.5단계로 격상하기로 20.11.19. (0) | 2020.11.20 |
공공의대 학생 선발 관련 논란 (0) | 2020.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