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협

코로나19 예방접종 QnA(코로나19 환자 치료병원 종사자)21.3.1

야국화 2021. 3. 2. 17:50

코로나19 예방접종 QnA(코로나19 환자 치료병원 종사자)

화이자 백신 접종대상자 관련 사례별 조치방향

 

사례

방안

실행방법

1

시간변경요청

(사전고지)

예진 결과에
따른
접종연기 포함

센터에서 우선
조정하되
,

어려운 경우
보건소 접종
으로 안내

센터
접종

(접종센터) 일정 조정하여 접종 시행

보건소
접종

(추진단) 공문 발송, (보건소) 명단 확인·접종

 

보건소 접종일정은 추후 별도 안내(1차 접종기간 종료 이후)

2

노쇼 후 접종요청

(사후고지)

11월 이후 후순위 접종

3

미동의자

미동의 유지

11월 이후 후순위 접종

동의로 변경

(접종기간 내)

접종기간
종료
최소
3일 전
의사표명
시 센터
접종
,

그 외
보건소
접종으로
안내

센터
접종

(당사자) 보건소에 동의 의사 표명

 

(보건소) 추진단에 연락, 시스템 내 동의 여부 변경

 

(추진단) 잔여물량 및 센터 일정 확인하여 접종 가능 센터 배정

 

보건소 접종일정은 추후 별도 안내(1차 접종기간 종료 이후)

보건소
접종

(추진단) 공문 발송

 

(보건소) 명단 확인·접종

4

신규·교체

인력

보건소
접종

(추진단) 공문 발송, (보건소) 명단 확인·접종

 

보건소 접종일정은 추후 별도 안내(1차 접종기간 종료 이후)

5

거점감염병 전담병원의
보건의료인을 제외한 종사자

(간병인, 행정인력 등)

자체
접종

(추진단) 공문 발송, 고위험의료기관 종사자 배송물량에 포함하여 일괄 배송

 

 

코로나19 예방접종 Q&A (코로나19 환자 치료병원 종사자) 2021.2.26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추진단

[예방접종센터 내원 관련 사례별 FAQ]

Q1. 접종 당일 예진 상 고열로 접종하지 못했습니다. 이후 언제 접종 가능한가요?

 

센터와 일정 조정 후 접종하되, 센터 접종이 어려운 경우 보건소에서 접종 받을 수 있도록 할 예정입니다.

 

백신별 잔여 물량, 도입시기를 고려하여 보건소 접종 일정은 추후 별도 안내(1차 접종기간 종료 이후)

 

Q2. 접종 날짜(시간)을 변경하고 싶습니다. 사전에 변경이 가능한가요?

 

센터와 일정 조정 후 접종하되, 센터 접종이 어려운 경우 보건소에서 접종 받을 수 있도록 할 예정입니다.

 

백신별 잔여 물량, 도입시기를 고려하여 보건소 접종 일정은 추후 별도 안내(1차 접종기간 종료 이후)

 

Q3. 어제가 예약일이었는데 깜박하고 방문하지 못했습니다.

 

당일 접종 예정 물량은 당일 소진하는 것이 원칙이므로, 접종대상자가 미방문하는 경우 예비 명단에 따라 접종이 이루어집니다.

 

사전 연락 없이 방문하지 않은 대상자는 모든 국민의 접종이 끝난 후에 접종 가능합니다. (11월 이후)

 

Q4. 예방접종센터 방문 접종 의료기관은 언제 접종하나요?

 

중앙예방접종센터의 접종 기간은 2.27~3.12, 해당기간 중 의료기관이 시스템으로 사전 등록한 시간에 따라 접종합니다.

 

중부·영남·호남권역 및 대구지역 예방접종센터의 접종 기간은 3.3~3.9, 해당기간 중 의료기관이 시스템으로 사전 등록한 시간에 따라 접종합니다.

 

Q5. 예약한 시간대가 지나서 방문해도 되나요?

 

당일 접종 예정 물량은 당일 소진하는 것이 원칙이므로, 접종대상자가 미방문하는 경우 예비 명단에 따라 접종이 이루어집니다.

 

예약한 날에 접종을 받고자 한다면 센터에 사전에 일정 변경을 요청하여야 하며,

 

- 사전 연락 없이 당일 센터 접수 마감 이전까지 방문하지 않은 대상자는 모든 국민의 접종이 끝난 후에 접종 가능합니다. (11월 이후)

 

방문일정 변경은 센터에서 우선 조정토록 하되 센터 접종이 어려운 경우 보건소에서 접종 받을 수 있도록 할 예정입니다.

 

백신별 잔여 물량, 도입시기를 고려하여 일정 별도 안내(1차 접종기간 종료 이후), 센터에서는 사전에 일정 변경 요청한 사실을 기록하고 접종기간 종료 후 제출

 

[접종대상자 관련 사례별 FAQ]

Q1. 1분기 접종 대상이었는데 미동의 하였습니다. 이후 언제 접종 가능한가요?

 

접종 받을 차례에 미동의 의사표시를 하고 접종 기간이 지난 경우, 모든 국민의 접종이 끝난 후에 접종 가능합니다. (11월 이후)

 

Q2. 접종 미동의에서 동의로 바꾸고 싶습니다. 접종을 받을 수 있을까요?

 

접종 받을 차례의 접종 기간이 종료되기 최소 3일 전 소속기관 관할 보건소에 동의의사로 변경을 요청하면, 보건소에서는 추진단에 보고하고,

 

- 추진단에서는 백신 잔여물량과 센터 일정을 확인하여 접종 가능 여부를 통보합니다.

 

동의로 변경하였으나 센터 접종이 어려운 경우 보건소에서 접종 받을 수 있도록 할 예정입니다.

 

백신별 잔여 물량, 도입시기를 고려하여 보건소 접종 일정은 추후 별도 안내(1차 접종기간 종료 이후)

 

Q3. 3월에 입사하여 접종을 하지 못했습니다. 언제 접종 가능한가요?

 

이번 접종대상자 등록 기간 이후 발생한 신규·교체인력 등은 추후 별도 조사를 실시하여 접종을 받으실 수 있도록 할 계획입니다.

 

백신별 잔여 물량, 도입시기를 고려하여 보건소 접종 일정은 추후 별도 안내(1차 접종기간 종료 이후)

 

Q4. 1차 접종 후 퇴사(이직)하였습니다. 2차 접종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

 

코로나19 환자 치료병원 종사자로 1차 접종을 받으신 경우 21일 후에도 동일한 곳에서 접종을 받도록 하고 있습니다.

 

다만, 자체접종을 실시한 과거 소속기관에서 2차 접종을 받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 인근 예방접종센터와 일정을 조율하여 접종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우선 1차 접종 당시 소속기관과의 협의하고, 불가한 경우 추진단에 연락하여 조정

 

[자체접종 기관 접종시행 관련]

Q1. 자체 접종 의료기관들은 언제 접종하나요?

 

수도권(강원 포함) 의료기관은 3.8~3.16, 기타 권역 의료기관은 3.10~3.16 중에서 추진단이 배정한 일자에 백신을 배송 받게 됩니다.

 

자체 접종 의료기관은 백신을 받은 후 4일 이내 기관 내 접종대상자 전원에 대해 접종을 시행합니다.

 

Q2. 총 접종자 수가 410명입니다. 6단위로 맞춰지지 않는데 2명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

 

자체접종 의료기관은 사전에 접종대상자들을 6의 배수로 맞추어 일별 접종계획을 수립하고, 당일 건강상태 등으로 미접종자가 발생할 경우 예비명단 대상자들에게 잔여분을 접종하도록 합니다.

 

예방접종센터는 당일 예약자 접종을 완료했는데 잔여분이 발생한 경우, 준비한 예비명단 대상자들에게 잔여분을 접종하도록 합니다.

 

Q3. 지침에 백신 유효기간이 120시간이라고 되어있는데, 백신 수령 후 5일 내 접종을 완료하면 되나요?

 

백신의 유효기간이 해동 이후 120시간이므로, 운송시간을 고려할 때 안전한 접종을 위하여 4일 이내로 접종을 완료해주시기 바랍니다.

[ 기타 ]

Q1. 코로나19 예방접종을 거부한 경우 구상권을 청구할 수 있나요?

 

아니요. 접종 여부는 본인이 선택할 수 있으며, 본인의 자발적인 동의하에서만 실시됩니다.

 

다만, 코로나19 유행의 효과적인 관리 및 피해 최소화를 위해 공중보건학적 목적에서 전 국민 접종을 추진하고 있으므로, 감염병 예방을 위해 접종을 독려해 주시기 바랍니다.

 

Q2. 예방접종을 완료한 경우 증명서는 어떻게 발급 받을 수 있나요?

국가예방접종사업과 마찬가지로, 접종 후 증명서의 발급은 예방접종도우미 누리집(https://nip.kdca.go.kr) 또는 정부24(https://www.gov.kr)를 통해 온라인으로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