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

고용의무제도 2019

야국화 2019. 5. 17. 13:54

고용의무제도
근로자를 고용하는 사업주는 그 근로자 총수의 100분의 5 범위 안에서 대통령으로 정하는 비율 이상에
 해당하는 장애인 근로자를 의무적으로 고용하여야 합니다.


장애인 고용의무제도 개요

◈ 국가·지방자치단체와 50명 이상 공공기관·민간기업 사업주에게 장애인을 일정비율 이상 고용하도록

    의무를 부과하고, 미 준수시 부담금(100명 이상) 부과


 - 의무고용률 이상 고용한 사업주에 대해서는 규모에 상관없이 초과인원에 대해 장려금 지급
 * 국가·자치단체는 비공무원의 경우 부담금은 적용, 장려금은 미적용


 ☞ 공단은 고용의무사업주의 장애인 근로자의 고용확대를 위해 적합인력 추천 및 고용모델마련, 지원

     고용, 맞춤훈련 등 고용지원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채용문의 1588-1519)



○ (고용의무대상) 국가·지방자치단체, 상시근로자 50명 이상을 고용하고 있는 사업주

○ (장애인 의무고용률) ☞ 장애유형 및 등급 등 안내장애분류 및 등급표

등급

유형

장애분류 및 등급(중증장애인의 범위)

1

2

3

4

5

6

7

 

 

지체장애

 

 

 

 

 

 

 

음영 표시된 부분은

     중증장애인을 나타냄

지체장애인 3급 중

     음영 표시된 부분은

     팔에 장애가 있는

     경우를 나타냄

사선은 해당 장애유형의

     장애 등급이 없음을 나타냄

뇌병변장애

 

 

 

 

 

 

시각장애

 

 

 

 

 

 

청각장애

  /

 

 

 

 

 

언어장애

  /

  /

 

 

  /

  /

지적장애

 

 

 

  /

  /

  /

자폐성장애

 

 

 

  /

  /

  /

정신장애

 

 

 

  /

  /

  /

신장장애

  /

 

  /

  /

 

  /

심장장애

 

 

 

  /

 

  /

호흡기장애

 

 

 

  /

 

  /

간장애

 

 

 

 /

 

  /

안면장애

  /

 

 

 

 

  /

장루요루장애

  /

 

 

 

 

  /

뇌전증장애

  /

 

 

 

 

  /

국가유공자

 

 

 

 

 

 

 

  /



연도별 장애인 의무고용률

기준년도

2016

2017

2018

2019

국가 및 지자체(공무원)
공기업 및 준정부기관
기타공공기관 및 지방공기업

3%

3.2%

3.2%

3.4%

민간사업주

2.7%

2.9%

2.9%

3.1%

국가 및 지자체(공무원이 아닌 근로자)

 3.4%


■ 부담금 제도 개요


○ (장애인 고용부담금) 월별 의무고용률에 미달하는 인원에 대해 해당 부담기초액을 부과


장애인 고용부담금 산정기준

○ 월 부담금 = 해당 월 고용의무 미달인원 × 장애인 고용률에 따른 부담기초액
○ 부담금 납부총액 = 매월 부담금의 연간 합계액


2019년 부담기초액

○ 부담기초액 : 1,048,000원

 - 장애인 고용의무인원 대비 고용하고 있는 장애인 근로자 비율이 3/4이상인 경우에 적용한다.

○ 장애인 고용률에 따라 가산한 부담기초액


장애인 고용률에 따라 가산한 부담기초액

장애인 고용의무인원 대비 고용하고 있는 장애인 근로자 비율

1/2이상 3/4미만

1/4이상 1/2미만

1/4미만

장애인을 한명도
고용하지 않은 경우

1,110,880원

1,257,600원

1,467,200원

1,745,150원


부담기초액 적용기간 : 2019. 1. 1. ~ 2019. 12. 31.


■ 장려금 제도 개요


○ (장애인 고용장려금) 월별 상시근로자에서 의무 고용률을 초과(소수점 이하 올림)하여 장애인을 고용한 사업주

<의무고용률>

기준년도

2016

2017

2018

2019

공공기관 및 준정부기관 

3%

3.2%

3.2%

3.4%

민간사업주

2.7%

2.9%

2.9%

3.1%



- 고용장려금 지원 단가


구분

경증 장애인

중증 장애인

비고

남성

여성

남성

여성

지급단가

30만원

40만원

50만원

60만원

지급단가 30만원 40만원 50만원 60만원 지급단가와 월 임금액의 60%를 비교하여 낮은 단가 적용


※ 중증남성 지급단가는 ’18년 발생분부터 50만원 적용(그 이전연도 발생분은 40만원 적용)

※ ’17년 발생분까지 경증장애인 연차별 감액(근속 3년 30%, 5년이상 50% 감액)

※ ’18년 발생분부터 경증장애인 감액 폐지 및 6급 장애인 만4년 한시지원 폐지(계속 지급)
※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 영문법령 안내(법제처 국가법령센터 클릭)


문의처
관할 공단 지사 기업지원부 또는 취업지원부로 문의 하시면 편리합니다.


문의처 및 공단지사

서울지역본부           전화 :02)6320-7000          팩스 :050-3470-0101~2 
부산지역본부           전화 :051-640-9800          팩스 :051-646-3552
대구지역본부           전화 :053-288-1500          팩스 :053-288-1555
광주지역본부           전화 :062-448-1199          팩스 :062-448-1144   
대전지역본부           전화 :042-620-6200          팩스 :042-635-3705   
경기지역본부           전화 :031-300-0900          팩스 :050-3470-0221   
서울남부지사           전화 :02-6004-1042          팩스 :050-3470-0111   
서울동부지사           전화 :02-2146-3500          팩스 :0503-470-0114   
인천지사                 전화 :032-242-1004          팩스 :032-242-1030   
울산지사                 전화 :052-226-1004          팩스 :052-226-1090   
경기북부지사           전화 :031-850-4519          팩스 :031-836-4172   
경기동부지사           전화 :031-600-0200          팩스 :050-3470-0205   
강원지사                 전화 :033-737-6618          팩스 :033-744-4976  
충북지사                 전화 :043-230-6400          팩스 :043-234-6030   
충남지사                 전화 :041-629-6000          팩스 :041-622-7656   
전북지사                 전화 :063-240-2400          팩스 :063-246-4658   
전남지사                 전화 :061-240-0700          팩스 :061-247-9880   
경북지사                 전화 :054-450-3000          팩스 :054-458-8825   
경남지사                 전화 :055-225-8000          팩스 :055-285-1729   
제주지사                 전화 :064-710-5010          팩스 :064-759-7907


담당자 : 기업지원부 김성희  |   전화번호 : 031-728-7058 FAX : 050-3470-00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