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안전 주의경보 2019.5.7
조영제 투여 후 과민반응 발생
◆ 환자안전사고 주요내용
조영제과민반응 대처 미흡 및 대응 프로세스 부재로 인해 환자에게 중대한 위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어 주의 필요
사례 1
직장암 진단 하 항암치료 중인 환자로, 항암치료 반응 평가를 위한 CT검사 위해 이오비트리돌(Iobitridol) 성분의 조영제 투여함(3개월 전 동일 성분의 조영제 투여 시 이상반응 없었음) . 검사 종료 후 환자가 검사실 앞 의자에 앉으려다 의식 소실되어 응급처치하며 응급실로 환자 이송함. 이송 도중 심정지 발생하여 심폐소생술 및 응급처치 시행하였으며, 이후 의식 회복되었으나 저산소성 뇌손상 추정 하에 중환자실에서 인공호흡기 치료 중임
사례 2
복부 불편감 호소로 질환 감별 위해 이오버솔(Ioversol) 성분의 조영제 CT검사 처방받음. 검사 전 조영제 피부반응검사 시행하였으며, 음성 결과 확인 후 조영제 투약 및 CT검사 시행함. 조영제 투약 10분 후 환자가 심한 열감, 기침 등 전신 불편감 호소하며, 혈압저하, 산소포화도 저하됨. 심폐소생술 및 응급처치 시행 후 상급병원으로 전원함(입원치료 후 회복됨.)
◆ 주의사항
조영제 과민반응은 사후관리와 재발방지가 중요 |
▼
위험요인 조영제 과민반응 대처 미흡 및 대응 프로세스 부재
위해유형 기침, 두드러기, 안면 부종, 호흡곤란, 경련, 저혈압 쇼크 등 이상 징후 발생
주의대상 조영제를 처방, 투여하는 모든 보건의료기관
▶ 조영제 과민반응 대응 프로세스 예시
◆ 재발방지를 위한 권고사항
※ 아래 권고사항은 모든 의료기관의 조영제 과민반응 대응 프로세스를 대표할 수 없습니다. 환자 특성 및
진료환경, 주치의 의견 등 각 의료기관 상황에 맞는 내부 기준 수립을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검사 전 주의 및 확인사항
1. 응급 약물 및 의료기기 구비
- 에피네프린, 항히스타민제, 스테로이드, 속효성 기관지 확장제(흡입) 등
- 정맥주사 장비, 기도유지 장비 등
2. 환자 조영제 과민반응 과거력 확인
3. 피부시험(skin test)
- 과거 조영제 과민반응을 경험한 환자의 경우 안전한 조영제를 선택하기 위한 피부시험 고려
- 조영제 사용 예정인 모든 환자에게 일괄적으로 선별검사 목적의 피부시험을 시행하는 것은 권고하지 않음
4. 조영제 과민반응 과거력이 있는 환자에서 전 처치(premedication)
※ 아래 내용은 대한 영상의학회 와 대한 천식 알레르지확회에서 배포한 "주사용 요오드화조영제 및 MRI용 가톨리늄 조영제 유해반응에 관한 한국임상진료지침(2016년 제2판)"을 토대로 작성되었으며, 권고사항을 참고 하시어 각 의료기관의 실정에 맞는 전처치 지침을 마련하시기 바랍니다.
▶ 예정된 검사에 대한 전 처치
(방법1)
투여 시간 | 투여약물 |
(조영제 주입) 13시간 전 | 프레드니솔론 50mg(경구) |
(조영제 주입) 7시간 전 | 프레드니솔론 50mg(경구) |
(조영제 주입) 1시간 전 | 프레드니솔론 50mg(경구) and 항히스타민제(경구 또는 주사) |
(방법2)
투여 시간 | 투여약물 |
(조영제 주입) 12시간 전 | 메칠프레드니솔론 32mg(경구) |
(조영제 주입) 2시간 전 | 메칠프레드니솔론 32mg(경구) |
(조영제 주입) 1시간 전 | (선택) 항히스타민제(경구 또는 주사) |
▶ 응급검사에서의 전 처치
투여 시간 | 투여약물 |
(조영제 주입 전) 4시간 마다 | 메칠프레드니솔론 40mg(주사) or 히드로코르티손 200mg(주사) |
(조영제 주입 전) 1시간 전 | 클로르페니라민 4mg(주사) |
▶ 검사 후 관찰
조영제 검사 후에는 일정 시간 동안 과민반응 발생 유무 관찰 필요
▶ 조영제 과민반응 대응 프로세스
1. 검사실 및 의료진 사전 준비사항
- 응급상황 대비를 위한 약제 및 기구 구비, 주1회 물품 점검
- 조영제 부작용 발생 시 즉각적인 응급처치가 이루어 질 수 있는 프로세스 마련 및 정기적인 훈련
- 의료진은 조영제 부작용 증상을 조기에 인지할 수 있어야함
2. 초기 응급조치
- (주입중인 조영제가 있다면) 조영제 주입 즉각 중단
- 혈액순환, 기도, 호흡, 의식, 피부 등 평가
3. 즉각적이고 동시다발적인 조치
- 도움요청
- 에피네프린 근육주사(Epinephrine 1mg/1mL/amp 기준), 허벅지 중간 전외측 투여
* 성인) 1회 투여 시 0.3mg(0.3mL)-0.5mg(0.5mL), 1회 최대 투여 용량 0.5mg(0.5mL)
* 소아) 1회 투여 시 0.01mg/kg, 1회 최대 투여 용량 0.3mg(0.3mL)
☞ 권고용량으로 투여할 경우에도 심계항진, 창백, 떨림, 불안 등 에피네프린 부작용 발생
(대부분 일시적임) 가능
- 자세 조정 : 눕힌 자세로 다리를 올려준다(호흡곤란이나 구토 시 환자가 편한 자세) .
4. 필요시 시행하는 조치
- 생리식염수 1-2L 급속 투여, 산소(6-8L/min) 공급, 심폐소생술 시행
◆ (해외사례) 자가주사용 에피네프린 응급 키트
☞해외에서는 에피네프린의 즉각적인 투여가 아나필락시스 치료의 핵심임을 강조하며, 공공장소에 자가
주사용 에피네프린 근육주사를 비치하고 있음
√ 조영제 관련 의료기관 인증기준
▶ 급성기병원 인증기준 항목
2.3.5 | 안전한 영상검사를 적시에 제공하기 위한 검사 과정을 관리한다. |
조사 항목 | ⑤ 안전하고 정확한 영상검사를 위하여 검사 전 준비사항을 확인한다. 검사결과를 보장하기 위한 확인* 항혈전제, 메포민 등), 이전 검사 시 조영제 사용여부 등 |
2.3.7 | 방사선 안전관리 절차를 확립하고, 이를 준수한다. |
조사 항목 | ① 방사선 안전관리 절차가 있다 복용*, 이전 검사 시 조영제 사용여부 등 * 예시 : 항응고제, 항혈전제, 메포민 등 |
6.5 | 환자 및 보호자에게 동의서를 받는다. |
조사 항목 | ⑥ 조영제 사용 동의서를 받는다. |
참고자료 │- 김태범,(2017). “조영제 유해반응 예방을 위한 알레르기검사 알고리즘 개발”
- 이활,(2017). “조영제 안전사용 관리방안 연구”
- 장광천외(2013). “한국 아나필락시스의 진료”, Allergy Asthma Respir Dis, 1(3):181-196
- 정재원(2014). “아나필락시스의 진단과 응급처치”, 대한의사협회지, 57(11):934-940
- 대한영상의학회(2016). “주사용 요오드화 조영제 및 MRI용 가돌리늄 조영제 유해반응에 관한 한국 임상
진료지침”
-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대한영상의학회(2018). “조영제 과민반응은 사후관리와 재발 방지가 중요”보도자료. http://www.allergy.or.kr/
- 의료기관평가인증원(2018). “3주기 급성기병원 인증기준”
함께 보고하고 함께 보호받는 환자안전 보고학습시스템, KOPS
※ 의료기관에서는 조영제 투여 후 과민반응이 발생한(대처미흡 및 대응프로세스 부재 관련) 환자안전사고를
보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환자안전 보고학습시스템(KOPS)에서는 유사 환자안전사고 보고 사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향후
추가적으로 관련 정보가 제공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환자안전 주의경보에 대한 각 의료기관의 점검사항은 2019년 8월 6일까지 환자안전 보고학습시스템 사이트
(www.kops.or.kr)에 자율적으로 등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식약청.의약 안전성,허가사항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료기기 안전성 정보 안내[혈구계산기] (0) | 2019.05.27 |
---|---|
의료기기 안전성 정보 안내[이식형심장박동기] 2019.5.10 (0) | 2019.05.13 |
자가치료용 마약류 수입 절차(민원인 안내서) 제정 안내 (0) | 2019.05.07 |
발프로산 변경사항 대비표 2019.4.21 (0) | 2019.05.03 |
발프로산 의료전문가용 설명서, 환자용 안내서 및 안전성 정보 확인서 (0) | 2019.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