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상식

[스크랩] 이학검사(척추)

야국화 2013. 3. 26. 17:15

(CERVICAL SPECIAL TEST)

1) Distraction Test

견인검사는 병력에서 방사통을 호소하는 환자에게 사용되며, 검사 중 방사통 증세를 볼 수 있다. 경추에 견인을 적용함으로써 나타나는 효과를 이용하는데, 견인검사를 하기 위해서는 검사자의 한손으로 환자의 턱을 잡고 다른 손은 후두를 잡고 환자의 머리를 천천히 들어올린다. 머리를 들어 올리므로 환자의 통증이 사라지거나 감소하면 양성으로 신경근의 압박이 풀린 것을 의미한다. 이검사로 견관절도 점검해 볼 수 있는데 견인이 적용되는 동안 환자가 팔을 외전 하였을 때 견관절에서의 증상이 더 좋아지면 경추 신경근의 압박을 의미하는 것이며 견부의 병리학적 요소는 아니다

Distraction은 좁혀진 신경 추간공(그리고 신경근 압박의 결과로 생기는)을 넓힘으로써 통증을 감소시킨다. Distraction은 또한 facet 관절주위의 죠인트 캡슐들(ligament등)의 압력이 감소됨에 의해 경추부의 통증이 감소된다. 부가적으로, 연결된 근육군들의 근 경련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추 Distraction test를 하는 방법은 환자의 턱밑에 손바닥을 펴놓고, 또 다른 손은 후두부를 잡는 것이다. 그 후 두부를 점차적으로 들어 올려 경추에 가해지는 무게를 제거한다.

견인검사: 경추견인으로 동통이 경감되는 결과를 입증하는 것이다. 신경근 압박을 초래하는 좁아진 추간공을 넓히므로 동통을 감소시킨다. 또한 견인은 추간 관절 주위의 관절낭의 압력을 견인에 의해 감소하는 것으로 경부의 동통을 경감시킨다. 그리고 긴장된 근육을 이완시켜서 근육의 경축을 경감시킨다. 검사자의 한쪽 손바닥은 환자의 턱 밑에 받치고 다른 한 손은 후두부를 받친다. 그 다음 서서히 머리를 잡아 당겨 올리면 경추에서 머리의 중량이 감소된다.

ㄱ) 목적 : Cervical Traction으로 인한 Pain 감소의 효과 입증

ㄴ) 방법 : 검사자의 손으로 환자의 턱과 후두부를 받치고 머리를 상방으로 당긴다.

ㄷ) Positive Sign : Pain Decrease.

 

2) Compression test

좁아진 신경공은 facet 관절을 압박하고, 또한 압박됨에 따라 근 경련이 통증을 증가시킬 수 있다. 부가적으로, 이러한 compression test는 확실하게 연관된 상지 통을 재발시키며, 또한 병리적 현상이 존재하는 신경학적 부위를 찾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테스트방법은 환자가 앉아있거나 누워있는 동안 환자의 머리 위를 밑으로 누르는 것이다. 만약 경추나 상지에 통증이 증가한다면, 통증의 정확한 부위나 또는 표현되는 근절이 있는지 주의 하여야 한다. 이 검사는 환자가 측방굴곡하고 나서 동측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반대쪽으로도 반복한다. 통증이 팔로 내려가면 양성이다. 만일 머리를 신전한 상태(굴곡뿐 아니라 회전)에서 압박을 가하면 추간공이 최대로 접근하여 증상이 두드러진다. 오목한 쪽의 통증은 신경근이나 추간관절의 병변인 반면 볼록면의 통증은 근육의 좌상(strain)을 의미한다. 이 두 번째 자세는 추골동맥을 또한 압박하는데 추골동맥을 검사할 때 증상(현기증, 실신 등)이 나타나기 위해서는 그 자세를 20~30초간 유지해야 한다. 증상이 나타나면 추골동맥의 압박을 의미한다.

압박검사: 추간공의 협착, 추간 관절의 압력 증가, 근육 경축의 원인으로 압박에 의한 동통이 증가 될 수 있다. 또한 압박 검사에 의하여 경추로부터 상지에 방산통이 일어나므로 병변이 어디에 있는지에 대한 신경학적 레벨의 위치를 밝힐 수 있다. 환자에게 앉은 자세와 누운 자세를 취하게 하고 환자의 머리 꼭대기에서 아래쪽으로 누른다. 경추나 상지에 동통이 증가하면 상세히 그 범위를 조사하여 전술한 감각분포에 맞는가 검토

ㄱ) 목적 : 경추부로부터 상지에 관련통 재현. 통증이 있는 부위의 신경학적 Level 위치 파악

ㄴ) 방법 : 환자의 머리꼭대기에서 하방으로 압력을 가한다.

ㄷ) Positive Sign : Increase Pain Around Cervical or Upper Ext.



3) Valsalva Test

이것은 척수경막의(intra-thecal) 압력을 증가시키는 테스트이다. 만약 공간점유 질환이 있다면(추간판 탈출이나 종양 같은 것), 경추 추간공 내에 있음을 증명하는 것이며,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경추부에 통증이 증가할 것이다. 통증은 또한 근절 분포를 따라 나타날 수 있으며, 이는 경추의 병리생태의 신경학적 부위를 나타내는 것이다. Valsalva test를 시행하는 방법은, 환자의 호흡을 참고 그 숨을 환자의 장 쪽으로 내려누르는 것처럼 아래로 밀도록 한다. 환자에게 어떠한 통증의 증가를 느꼈는지 물어보고 통증이 증가하면 양성반응이고 만약 그렇다면 그 부위를 표현할 수 있는지 물어 보아야 한다. 이것은 내부압력의 증가로 인한다. 척수에서 압력이 증가하는 것은 보통 추간판탈출, 종양, 골증식체와 같은 공간점유병변에 의해서 나타난다. 이 검사로 뇌에 혈액공급이 차단되면 검사를 하는 동안 또는 검사직후에 현기증을 느끼거나 의식을 잃을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주의해야 한다. Valsalva test는 주관적인 테스트이므로 환자에게 정확한 반응을 요구함에 주의하여야한다.

Valsalva 검사: 척수내압을 증가시킨다. 만일 추간판 탈추증이나 종양 같은 공간 점유 질병이 경추관 내에 있다면 압력이 증가하여 2차적으로 경추에 동통이 발생된다. 이 동통은 경추병변의 신경학적 레벨에 일치하는 피절 분포에 따라 방사될 것이다. 환자에게 화장실에서 애쓸 때처럼 숨을 들이쉬고 아랫배에 힘을 주도록 한다.

ㄱ) 목적 : 척수 내압의 증가

ㄴ) 방법 : 환자에게 숨을 들이쉬고 아랫배에 힘을 주라고 지시한다.

ㄷ) Positive Sign : Increase Pain 환자에게 통증의 위치를 정확히 말하도록 한다.



4) swallowing test(연하검사)

삼키기가 어렵거나 삼킬 때의 동통은 뼈의 돌출, 뼈의 골 돌기체와 같은 경추자체의 병변이나 경추 전방부의 혈종이나 감염, 종양으로 연부조직의 종창 등이 원인이 된다.

ㄱ) 목적 : 연하곤란의 원인 규명

ㄴ) 뼈의 탈출, 뼈의 골증식체, 경추 전방부의 혈종, Inframation, 종양으로 인한 Soft Tissue의 종창 등이 원인이 된다.

 



5) Adson Test

이 검사는 쇄골 하동맥의 상태를 관찰하기 위해 이용된다. 동맥이 중사각근과 전사간근 사이를 통과하는 부위에서 동맥이 압박되는 일이 있다. 환자의 손목에서 요골동맥의 맥을 잡아가며 환자의 견관절을 외전, 신전, 외선시킨다. 환자에게 검사하는 팔 쪽으로 머리를 돌리고 깊은 숨을 들이쉬게 지시한다. 만일 쇄골하동맥이 압박되어 있다면 요골동맥의 맥박이 현저하게 감소되었거나 전혀 맥이 뛰지 않는 것을 느끼게 될 것이다.

ㄱ) 목적 : Subscapurais Artery의 상태 결정

ㄴ) 방법 : 환자는 Shoulder Ext, Exter Rot, Elbow Ext. 하고 검사자는 Radial Artey 의 맥을 잡고 환자에게 머리를 신전한 팔 쪽으로 돌리게 한 후 숨을 깊게 쉬고 멈추게 한다.

ㄷ) Positive Sign : 맥박이 감소되거나 뛰지 않음을 느낄 수 있다.



(TM JOINT SPECIAL TEST)


1) Chvostek Test

제 7뇌신경인 안면신경을 검사하기 위한 것으로 교근이 덮여있는 이하선을 두드릴 때 혈액 내 칼슘치가 저하되면 안면근은 연축이 일어나며 수축하게 된다.

ㄱ) 목적 : Facial Nerve Test

ㄴ) 방법 : 교근 위의 이하선 부분을 두드린다.

ㄷ) Positive Sign : 혈액 내 칼슘치가 저하되면서 안면근에 연축이 일어난다.

 



(LUMBAR SPECIAL TEST)


1) SLR Test

허리와 하지의 통증의 대한 원인을 결정하기 위한 검사. Lasegue 검사로 알려진 하지직거상 검사는 환자가 완전히 긴장을 푼 상태에서 수행한다. 하지에 대한 신경학적 검사의 가장 대표적인 검사로서, 각각의 다리를 따로 검사하되 정상 측을 먼저 실시하도록 한다. 고관절은 내회전시키고 슬관절은 신전된 상태의 바로 누운 자세에서 환자가 통증이나 근 긴장을 호소할 때 까지 다리를 위로 들어올린다. 만일 허리에 통증을 주로 호소한다면 중심부를 압박하고 있는 디스크 탈출증이나 병적 상태일 가능성이 크다. 허리보다 다리에 통증이 주로 나타난다면 신경조직을 측방에서 압박하는 병적 상태일 것이다. 환자의 다리를 통증이나 긴장이 느껴지지 않을 때까지 서서히 내린다. 다음으로 환자로 하여금 턱이 가슴에 닿도록 구부리게 하거나, 발목을 배측굴곡 혹은 두 동작을 함께 수행하게 한다.

ㄱ) 목적 : Lumbar 와 L/E의 Pain에 대한 원인을 결정하기 위한 Pain 재현검사.

ㄴ) 방법 : Supine . Knee Extension 상태로 환자의 Calcaneus를 잡고 검사자를 들어올린다. 이때 검사자는 Patellar가 상방을 향하도록 약간 Inter Rot 시킴. 1) 환자를 검사대위에 바로 눕히고 슬관절 신전상태에서 환자의 발목을 잡고 들어올린다. 2) 정상은 80°정도이다. 3) 이 검사의 양성이 좌골 신경의 문제인지 Hamstring의 단축 문제인지를 구별해야 한다.

ㄷ) Positive Sign : Hamstring Shorting -- Thigh 후면에만 Pain 호소

Pain 발생 지점에서 Leg를 약간 내리고 Dorsiflexion하면 Pain 감소

좌골신경병변 ---------- Thigh 후면 , L/E , Lumbar의 Pain 호소.

Pain 발생 지점에서 Leg를 약간 내리고 Dorsiflexion해도 Pain은 여전함.

 

2) 건측 하지의 거상검사

ㄱ) 목적 : Lumbar 와 L/E의 Pain에 대한 원인을 결정하기 위한 Pain 재현검사.

ㄴ) 방법 : 환자를 진찰대 위에 똑바로 눕히고 건측 다리를 들어 올린다.

ㄷ) Positive Sign : 환측에 요통, 좌골통 호소. 요추부의 추간판 탈출증과 같은 공간 점유 질병 발생을 의미.



3) Hoover Test

환자가 다리를 들 수 없다고 할 때 꾀병으로 그러는 것인지 아닌지를 알기 위한 검사

ㄱ) 목적 : Pt. 가 Leg를 들어 올릴 수가 없다할 때 , 그것이 꾀병인지 아닌가를 평가한다.

ㄴ) 방법 : Pt. 에게 한쪽 다리를 들게 하고 검사자는 반대편 다리의 Calcaneus를 감싸 쥠. Pt. 는 Leg를 올릴 때 Lever작용을 얻기 위해 반대편 Leg를 하방으로 누르게 된다. 1) 바로 누운 자세에서 환자에게 환측다리를 들라고 한다. 2) 이 때 검사자는 반대쪽 하지의 종골을 감싸 쥔다. 3) 만약 환자가 정말로 환측다리를 들려고 하면 지렛대 원리에 의하여 반대쪽 다리에 압력이 가해지나 환자가 꾀병이라면 아무런 느낌이 없을 것이다.

ㄷ) Positive Sign : 꾀병일 경우에는 하방으로 누르려는 압력을 느낄 수 없다.



4) Kernig Test

척수를 신장시키고 통증을 재현하기 위한 검사

ㄱ) 목적 : Spinal Cord를 Stretching 시켜서 Pain을 재현.

ㄴ) 방법 : Supine . 양손을 머리 뒤에서 깍지 끼고 Chest쪽으로 Flexion한다. 1) 환자를 바로 눕힌 후 양손을 머리 뒤로 깍지를 끼게 한다. 2) 깍지 낀 상태에서 머리를 가슴 쪽으로 힘차게 구부리게 한다. 3) 환자가 경추나 허리, 하퇴에 통증을 호소하면 뇌막자극증상, 신경근의 손상, 신경근을 감싸는 경막자극증상을 나타낸다.

ㄷ) Positive Sign : Cervical 혹은 Lumbar , L/E에 Pain 호소.

 



5) 척수 내압 상승 검사

가) Milgram Test

척수내압상승검사. 이 검사를 실시할 경우 장요근과 전복부근을 긴장시키고 척수내압을 상승시켜 척수내압 상승 유무를 검사한다. 환자는 바로 누운 자세에서 양쪽 다리를 5~10cm 가량 능동적으로 들어 올린 후 약 30초간 유지하게 한다. 30초 이상 다리를 들고 있을 수 없거나 하지 증상이 재현되면 양성이다. 30초 이상 다리를 들고 있을 수 있다. 경막 내의 병변(질병)은 제외시킬 수 있다. 통증이 있어 들기 힘들거나 30초 이상 들고 있을 수 없다 - 경막 내, 경막 외의 병변(추간판탈출증)이 있거나 척수를 싸고 있는 수막 자체에 압박을 받고 있는 상태이다. 이때 검사를 조심스럽게 해야 하는데, 이 동작 자체가 요추에 큰 스트레스를 주기 때문이다.

ㄱ) 목적 : 척수 내압 상승 검사

ㄴ) 방법 : Supine . Both L/E를 Extension한 체로 바닥에서 5Cm 정도 들어 30초유지. 1) 환자의 얼굴이 붉어질 때까지 약 10초 동안 경정맥을 가볍게 누른다. 2) 그런 다음 환자에게 기침을 하게 한다. 3) 환자가 기침을 할 때 통증을 일으킨다면 수막에 병적인 압력이 있음을 의미한다.

ㄷ) Positive Sign : 자세를 유지할 수 없다. 혹은 Pain 발생 . Inter or Exter Durametar 의 병변의미. 수막 자체 압박.


나) Naffziger Test

ㄱ) 목적 : 척수내압상승 검사

ㄴ) 방법 : 환자의 얼굴이 붉어질 때까지 (약 10초) 양쪽의 경정맥을 압박한다.

ㄷ) Positive Sign : Pain 발생 .


다) Valsalva Test

척수내압상승검사 

ㄱ) 목적 : 척수내압상승검사 1) 환자에게 대변을 볼 때처럼 아랫배에 힘을 주게 한다. 2) 허리나 다리 아래쪽으로 방사통(radiation pain)이 있을 때는 수막에 병적이 압력이 있음을 의미한다.

ㄴ) 방법 : 아랫배에 힘을 준다.

ㄷ) Positive Sign : 허리나 하퇴에 방사통 발생. 척수강 내압 상승의 원인과 수막 자체의 병변 의미.

 



6) Sacroiliac Joint의 불안정 검사

 

가) Pelvic rock test(Pelvis의 불안정 검사)

천장관절(Sacro iliac joint)의 불안정 여부를 알기 위한 검사

ㄱ) 방법 : Supine. 검사자는 양손을 Iliac Crest에 Thumb를 ASIS에 Palm을 Iliac Tubercle에 놓고 신체의 정중선 쪽으로 Pelvis를 강하게 Internal Pressure. 1) 환자를 바로 눕게 하고 검사자는 양손을 환자의 장골능 위에 놓는다. 2) 엄지손가락은 전상장골극(ASIS) 위에 손바닥은 환자의 장골결절(Iliac tubercle) 위에 놓는다. 3) 그 다음 신체의 정중선 쪽을 향하여 골반을 강하게 내측으로 압박한다. 4) 환자가 천장관절 주위에서 통증을 호소하면 천장관절의 병변을 의미한다.

ㄴ) Positive Sign : Increase Pain Around SI Joint. 관절 자체의 병변 or 외상으로 인한 2차적 병변이 있음을 의미.


나) Gaenslen Test

천장관절(Sacroiliac joint)의 불안정 여부를 알기 위한 검사

ㄱ) 방법 : 진찰대 위에 한쪽 엉덩이를 반쯤 걸치도록 하고 다른 쪽은 진찰대 위에 그대로 있도록 한다. 그리고 양 다리를 가슴까지 끌어올렸다가 반쯤 걸쳐놓은 다리를 펴서 진찰대 아래로 늘어뜨린다. 반대편 다리는 그대로 유지. 1) 환자를 바로 눕게 하고 양쪽 다리를 잡아당겨 가슴까지 닿게 한다. 2) 진찰대 가장자리에 검사 쪽 엉덩이를 반쯤 걸치게 하고 반대쪽은 진찰대 위에 그대로 있게 한다. 3) 검사 쪽의 반쯤 걸친 다리를 진찰대 아래로 늘어뜨리게 하고 반대쪽 다리는 그대로 유지한다. 4) 환자가 천장관절 쪽에 통증을 호소하면 천장관절의 병변을 의미한다.

ㄴ) Positive Sign : Increase Pain Around SI Joint .

 


다) Patrick's Test or Fabere Test

천장관절(Sacro iliac joint)의 불안정 여부와 고관절에 대한 병변을 알기 위한 검사

ㄱ) 목적 : SI Joint와 Hip Joint의 병변 검사.

ㄴ) 방법 : 환측 발을 Knee Flexion 시켜 건측 Knee 위에 올려놓고 Hip Flex. Exter Rot. Abd. 시킨다. 환자가 의 자세로 완료되었다면 검사자는 반대편 ASIS와 굴곡된 Knee 위에 놓고 동시에 하방압력을 가한다. 1) 환자를 바로 눕게 한 다음 환측 발을 반대편 건측 무릎 위에 올려놓는다. 2) 환측 고관절을 굴곡, 외전, 외회전 시켜서 발목이 건측 무릎위까지 가게 한다. 3) 검사자는 한 손으로는 건측 전상장골극을 고정하고 다른 한 손으로는 검사쪽 굴곡된 무릎을 잡는다. 4) 두 지점의 양쪽을 하방으로 벌리는 힘을 가한다. 5) 환자가 천장관절 쪽에 통증을 호소하면 천장관절의 병변을 의미한다.

ㄷ) Positive Sign : 의 경우 Pain이 서혜부분에 나타난다면 Hip jt부의 근육 병변. 의 경우 SI jt 부분에 Pain이 증가한다면 SI Problem.

 



7) 신경학적 수절 지배검사

가) Beevor's Test

복직근(Abdominal muscles)과 부척추근(Paraspinal muscles)의 신경분절 지배를 조사하기 위한 검사

ㄱ) 목적 : Rectus Abdo. 과 부척주근의 수절지배 조사.

ㄴ) 방법 : 1) 환자를 바로 눕힌 후 팔짱을 끼게 하고 상채를 1/4 정도 일으켜 세운다. 2) 환자가 이 자세를 유지하는 동안 환자의 배꼽을 관찰한다. 3) 배꼽은 근력이 강한 쪽으로 움직이거나 근력이 약한 쪽과 반대방향으로 움직인다. 4) 소아마비나 척수수막류(Menigomyelocele)가 있는 환자에게 주로 양성으로 나타난다.

ㄷ) Positive sign : 배꼽이 근력이 강하거나 손상받지 않은 쪽으로 당겨진다.

배꼽이 위로 움직일 때 : T10~12 신경근 장애

배꼽이 아래로 움직일 때 : T7~10 신경근 장애


 

8) Walking on toe, walking on heel test

의의 : walking on toe는 gastrocnemius & soleus(S1, S2) 검사

      walking on heel은 tibialis anterior(L4, L5)검사

방법 : walking on toe는 한쪽 발씩 up-down 시킨다.

      walking on heel은 뒷꿈치로 걷게 한다.

양성반응 : 제대로 서거나 걷지 못함.



9) Laségue's sign

의의 : SLR이 양성일 때 슬괵근에 문제인지 디스크병변인지 구분하는 검사

방법 : 환자를 앙와위로 자세를 취하게 하고, 슬관절과 고관절을 90°로 하게 한 뒤 증상이 나타날 때까지 슬관절을 신전시킨다.

양성반응 : 하지방산통이 재현되면 디스크일 가능성이 높다.

 

 

10) SchӦber test

의의 : 요추만의 순수한 굴곡의 정도를 판단. 강직성척추염시 진단.

방법 : 후상장골극(PSIP)의 움푹들어간 곳(dimple)의 이은 선과 척추가 수직으로 만나는 점을 줄자의 10cm부위에 대고 0cm부위를 손으로 잡는다. 환자를 전방으로 굴곡시킨 후 dimple의 위치의 수치를 읽는다.

양성반응 : 정상은 15cm이상. 15cm미만은 비정상

 

 

출처 : 메드짐(MedGym)
글쓴이 : 바람개비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