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아두면 좋은 삶의지혜

스마트폰(아이폰)을 이용한 응급의료 정보 실시간 제공

야국화 2010. 9. 2. 11:34

내 손안에 펼쳐지는 응급의료!!! - 스마트폰(아이폰)을 이용한 응급의료 정보 실시간 제공 -
등록일 2010-08-31 조회 260
담당자 박재성 담당부서 응급의료과

보건복지부(장관 진수희)는 2010년 9월 1일(수)부터 아이폰 사용자를 대상으로

『1339 응급의료』무료 앱*을 제공한다.또한 보건복지부는 이를 단계적으로 갤럭시S 등 다른 기종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 앱: Application의 준말로 스마트폰 등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제공되는 정보는 24시간 365일 응급의료상담을 받을 수 있는 응급의료정보센터(1339) 연결과 응급의료기관의 응급실 이용가능 병상정보로 응급의료기관의 응급실 이용가능 병상수, 병의원· 약국찾기, 응급의료기관 종류별정보(권역, 지역센터, 지역기관 등, '09년 평가결과 포함), 응급처치요령 등의 정보를 동영상․지도, 이미지 및 문자 형태로 제공한다.
   ※ 붙임 항목구조 참고

  또한, 심정지 환자가 발생했을 때 사용하는 자동심장충격기(AED*) 위치 안내, 심폐소생술요령, 자동심장충격기 사용법  등 총 8만여 종의 응급의료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무료 제공한다.
   * 자동심장충격기 = 자동제세동기 = AE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아이콘 색을 꽃양귀비 꽃잎 색으로 정한 이유
 - 예로부터 민간에서 양귀비를 응급질환에 사용
 - 꽃잎의 색깔이 붉은색 계열로 아이콘 식별성이 우수


 ‘1339 응급의료’로 실시간* 제공되는 응급의료정보는 현재 응급의료정보센터에서 응급의료 상담 시 전화 또는 인터넷으로 제공되는 응급의료기관의 병상정보 등 데이터베이스를 스마트 폰으로도 제공되도록 서비스 형태를 개선한 것이다.
   * 응급의료기관(전국460개 제공) → 응급의료정보센터(유지·관리) → 스마트폰(이용)460개 응급의료기관중 92%가 15분 주기로 병상 정보 등을 제공하며 나머지는 수동으로 제공

 앱은 두 가지 방법으로 앱스토어에서 검색 및 설치할 수 있다.

  첫 번째 방법은 아이폰 앱스토어 카테고리 중 메디컬 분류에서 현재 다운횟수 1위를 기록하고 있는 ‘1339 응급의료’(아이콘)를 찾는 방법이고 두 번째 방법은 아이폰의 앱스토어 검색 기능에서 검색어를    ‘응급’ 또는 ‘응급의료’로 검색하여 찾는 방법이다.

   * ‘1339 응급의료’(앱)는 시범사용 및 문제점 개선을 위하여 '10.8.9. 등록 후 현재('10.8.29.)까지 15,200여회(760건/1일) 다운 횟수를 기록하고 있음

 스마트폰을 이용한 응급의료 정보는 누구에게나 무료로 제공되며, 메인 메뉴는 병원검색, 응급의료서비스, 개인정보 등 크게 3가지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병원검색은 5개 항목  ① 1339 연결  ②내 주변 응급실 찾기③ 병의원ㆍ약국 찾기 ④ 응급의료기관 찾기 ⑤ 자동심장충격기 찾기로 구성되었다.
     ‘병원검색’항목은 응급의료기관 및 일반의료기관(약국 등 포함) 이용가능 여부, 자동심장 충격기 등 응급의료 인프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어서 가족 또는 주변에서 응급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인근 응급  의료기관의 응급실 병상정보 등을 검색하여 활용할 수 있고, 평상시 가족 중 심혈관 질환이 있는 경우는 자동심장충격기 위치 정보를 사전에 파악하고 있으면 유용할 것이다.

    응급의료서비스는 4개 항목 ① 심폐소생술 요령, ② 자동심장충격기 사용법 ③ 여름철 등 응급처치 요령 ④독극물 정보로  응급상황이 발생했을 때 각종 조치 요령 및 평상시 응급상황에 대비할 수 있는 정보로 구성되어 있어 언제 어디서나 발생할 수 있는 응급상황에 대비하여 알아두면 생활에 많은 도움이 되는 정보로 구성되어 있다.

  개인정보는 3개 항목 ①기본정보 ②건강정보 ③보호자에게 SMS 전송항목으로 구성되어 있고,  스마트폰 소유자가 의사능력이 없을 때 의료인과 보호자에게 지병 등 본인의 건강정보 및 현 상황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으로 구성되어 있다.
    - 또한, 혹시라도 발생할 수 있는 응급상황에 대비하여 스마트폰 이용자가 본인의 고혈압, 당뇨 등 평상시 건강정보와 보호자   연락처를 기록하면 응급상황 시 환자 주변인이 등록된 보호자에게 SMS를 전송할 수 있다.

 보건복지부는 향후 응급의료 수요를 감안하여 정보내용을 지속적으로 보강하고, 글로벌시대에 걸맞게 영문버전 제공 및 다양한 스마트폰 기종으로 응급의료 정보제공영역을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제공되는 정보 중 추가로 필요한 응급의료정보 또는 자동심장충격기 위치 오류 정보 등 오류 사항 등을 mweh@korea.kr로 알려줄 것을 요청했다.
 

첨부

[9.1.수.조간]스마트폰을_이용한_응급의료_정보_제공.hwp (5 MB / 다운로드 : 161

'알아두면 좋은 삶의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지외반증  (0) 2010.10.11
당뇨병 식이요법  (0) 2010.10.11
개미,초파리..집 벌레 안전하게 없애는 법  (0) 2010.09.02
예방하면 안전한 해외여행   (0) 2010.07.05
벽지바르기  (0) 2010.0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