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건강보험공단

2015년 건강보험 보장률 63.4%으로 전년보다 0.2%p 상승

야국화 2017. 4. 24. 08:28


2015년 건강보험 보장률 63.4%으로 전년보다 0.2%p 상승
등록일2017-04-20[최종수정일 : 2017-04-21]조회수908
담당자서남규담당부서국민연금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

2015년 건강보험 보장률 63.4%로 전년대비 0.2%p 상승

4대 중증질환 건강보험 보장률 79.9%로 전년대비 2.2%p 상승

비급여 부담률은 16.5%로 전년대비 0.6%p 감소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성상철)은 「2015년 건강보험환자 진료비 실태조사」연구결과를 발표하였다.

‘15년 건강보험 보장률은 지난해 상승세에 이어 0.2%p 상승하여63.4%로 나타났다.

‘15년 건강보험 보장률, 부담률
연도건강보험 보장률법정 본인 부담률비급여 부담률
2015년63.4%20.1%16.5%
2014년63.2%19.7%17.1%

요양기관 종별로는, 종합병원급 이상 요양기관에서 보장률이 61.8%로 나타나 전년보다 1.3%p 상승하였다.

요양기관 종별 보장률, 부담률
연도종합병원급 이상병원급 이상
건강보험보장률법정본인부담률비급여부담률건강보험보장률법정본인부담률비급여부담률
2015년61.8%20.1%18.1%61.3%19.9%18.8%
2014년60.5%19.9%19.6%60.8%19.6%19.6%

‘14년 하반기부터 집중되었던 중증질환 보장 효과가 ’15년에 본격적으로 나타나 4대 중증질환의 보장률은 79.9%로 큰 폭 상승하였다.

4대 중증질환 보장률, 부담률
(4대 중증질환)건강보험 보장률법정 본인 부담률비급여 부담률
2015년79.9%8.6%11.5%
2014년77.7%7.6%14.7%

4대 중증질환 13개 항목의 선별급여 적용 등을 통해, ‘15년 4대 중증질환 보장률은 전년 77.7% 보다 2.2%p 상승하였고,이와 함께, 4대 중증질환의 비급여 부담률은 11.5%로 전년(14.7%) 대비 3.2%p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액의료비 발생으로 개인 및 가계부담이 클 것으로 추정되는 1인당 고액진료비 상위 30위(50위)내 질환의 건강보험 보장률은 전년 대비 각각 0.5%p(1.0%p) 상승하였다.

1인당 고액진료비 상위 30위(50위)내 보장률, 부담률
연도30위50위
건강보험보장률법정본인부담률비급여부담률건강보험보장률법정본인부담률비급여부담률
2015년77.9%12.4%9.7%76.6%13.5%9.9%
2014년77.4%11.3%11.3%75.6%12.4%12.0%

* 고액진료비 상위질환은 2015년도 건강보험통계연보의 298상병을 기준으로 1인당 진료비(공단부담금+법정본인부담금)가 높은 질환을 순서대로 정렬하여 상위 30위(50위)내에 포함되는 질환의 보장률을 산출함

중증질환 및 비급여 개선 등 보장성 강화정책으로 비급여 부담률*은 대폭 감소하였다.

* 건강보험 비급여 부담률(%) : 18.0(’13년) → 17.1(’14년) → 16.5(’15년)

다만, 선별급여 등 본인부담률(본인부담 50~80%)이 높은 항목의 보장성 확대로 법정본인부담률이 상승하여 전체 보장률의 상승폭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환자 진료비 실태조사」는 전체 진료비(비급여 포함) 중에서 건강보험이 차지하는 비중인 건강보험 보장률을 파악할 목적으로 ‘04년 이후 매년 요양기관을 대상으로 환자의 진료비 내역을 조사․분석하고 있다.

’15년도 건강보험 보장률은 상급종합병원 15개 기관 등 총 1,825개 요양기관을 대상으로 조사‧분석한 결과이다.

‘14-18 건강보험 중기보장성 강화 계획’에 따라 안정적이고 신뢰성 높은 보장성 지표 산출 및 정책평가를 위해 표본수 확대 등의 단계적인 개선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향후, 건보공단은 체계적인 보장성 강화정책의 효과평가 및 전략수립 등을 위해 진료비 실태조사 및 비급여 세부내역 조사자료 등을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개선해 나갈 예정이다.

==================

참고 1

 

연도별 건강보험환자 건강보험 보장률

 

(단위 : %)

구분

2011

2012

2013

2014

2015

건강보험 보장률

63.0

62.5

62.0

63.2

63.4

법정본인 부담률

20.0

20.3

20.0

19.7

20.1

비급여 부담률

17.0

17.2

18.0

17.1

16.5

 

건강보험 보장률은 전체 의료비1)중 건강보험공단에서 부담하는 급여비2)가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냄.

 

* 1) 일반 매약비, 성형, 미용목적의 보철비, 건강증진 목적의 첩약비 등 제외

** 2) 의료급여, 산업재해, 자동차보험 등 건강보험 외 제외

 

    

참고 2

 

1인당 고액진료비 상위 30(50)내 질환(15년 기준)

순위

298상병

상병명

상병기호

순위

298상병

상병명

상병기호

1

087

백혈병

C91-C95

26

121

파킨슨병

G20

2

088

기타 림프, 조혈 및 관련조직의 악성신생물

C88-C90,

C96

27

061

결장의 악성신생물

C18

3

039

인체 면역결핍 바이러스 질환

B20-B24

28

273

대퇴골의 골절

S72

4

064

췌장의 악성신생물

C25

29

066

후두의 악성신생물

C32

5

086

비호지킨 림프종

C82-C86

30

112

치매

F00-F03

6

082

뇌의 악성신생물

C71

31

070

피부의 악성흑색종

C43

7

214

신부전증

N17-N19

32

080

기타 요도의 악성신생물

C64-C66,C68

8

128

뇌성마비 및 기타 마비성 증후군

G80-G83

33

147

급성 심근경색증

I21-I22

9

067

기관, 기관지 및 폐의 악성신생물

C33-C34

34

074

자궁경의 악성신생물

C53

10

063

간 및 간내담관의 악성신생물

C22

35

060

위의 악성신생물

C16

11

059

식도의 악성신생물

C15

36

115

정신분열증, 분열형 및 망상성 장애

F20-F29

12

246

태아 발육지연, 태아 영양실조와 단기임신 및 저체중 출산과 관련된 장애

P05-P07

37

113

알콜 사용에 의한 정신 및 행동장애

F10

13

065

기타 소화기관의 악성신생물

C17,

C23-C24,C26

38

077

전립선의 악성신생물

C61

14

153

뇌내출혈

I60-I62

39

075

기타 및 상세불명의 자궁부위의 악성신생물

C54-C55

15

072

중피성 및 연조직의 악성신생물

C45-C49

40

079

방광의 악성신생물

C67

16

058

입술, 구강 및 인두의악성신생물

C00-C14

41

017

패혈증

A40-A41

17

076

기타 여성생식기관의 악성신생물

C51-C52,

C56-C58

42

099

출혈성 병태와 혈액 및 조혈기관의 기타 질환

D65-D77

18

123

다발성 경화증

G35

43

154

뇌경색증

I63

19

249

주산기에 기원한 기타 호흡기 장애

P22-P28

44

279

기타 내부장기의 손상

S26-S27,S36-S37

20

068

기타 호흡기와 흉곽 내 기관의 악성신생물

C30-C31,

C37-C39

45

081

눈 및 눈부속기의 악성신생물

C69

21

069

뼈와 관절연골의 악성신생물

C40-C41

46

160

기타 동맥, 소동맥 및 모세혈관의 질환

I71-I72,

I77-I79

22

062

직장S상결장 접합부, 직장, 항문과 항문관의 악성신생물

C19-C21

47

149

폐색전증

I26

23

085

호지킨병

C81

48

209

골수염

M86

24

083

기타 중추신경계의 악성신생물

C70,C72

49

186

충수의 질환

K35-K38

25

073

유방의 악성신생물

C50

50

189

크론병 및 궤양성 대장염

K50-K51

 

 

참고 3

 

2015년 건강보험환자 진료비 실태조사 개요

 

(조사 목적) 건강보험 환자의 진료비 중 건강보험 보장률 파악

 

(조사 기간) 20165~12

 

(조사 대상) 20156~12월 중 외래방문 및 입원(퇴원)한 환자의 진료비

 

(분석 기관)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병원, 의원 등 1,825개 기관

구분

모집단 기관수

분석기관수

(모집단기관수 대비%)

분석 건수

상급종합

43

15

(34.9%)

1,990,092

(19.4%)

종합병원

296

88

(29.7%)

2,739,072

(26.7%)

병원

일반

1,574

242

(15.4%)

1,876,102

(18.3%)

요양

1,480

101

(6.8%)

33,334

(0.3%)

의원

28,889

654

(2.3%)

2,226,097

(21.7%)

치과병원

225

50

(22.2%)

139,309

(1.4%)

치과의원

16,906

291

(1.7%)

179,948

(1.8%)

한방병원

300

50

(16.7%)

158,950

(1.6%)

한의원

14,053

159

(1.1%)

286,466

(2.8%)

약국

21,786

175

(0.8%)

625,339

(6.1%)

85,552

1,825

(2.1%)

10,254,709

(100.0%)

14년 조사부터 건강보험 보장성 지표 대표성 신뢰성 제고를 위해,

- 요양기관 종별 특성(진료비 등)을 고려하여 표본크기 점차 확대

(’14년 약 1,413기관 ’151,825기관 ’18년 약 2,000기관(목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