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urscape Q&A에 올려주신 질문 중 간호사들이 알아야 할 내용을 정리하였습니다.
Q : 중환자실에서 환자를 모니터 할 때 overdamping, underdamping이라는 말을 사용하는데 무엇인가요?
중환자실에서 말초동맥, 폐동맥, 중심정맥에 침습적인 카테터를 삽입하여 혈역동 상태를 측정하는 것을 침습적 혈역학 감시(Invasive hemodynamic monitoring)라고 한다. 따라서 동맥압, 중심정맥압, 폐동맥압등의 압력파형에 적용되는 용어이다.
Square wave test 압력체계에 부착되어 있는 pig tail등의 장치를 이용하여 순간 flush하면 모니터에 상승곡선과 함께 사각모양의 파형(square wave)이 나타난다. 이 square wave에 뒤이어 나타나는 진동의 빈도(frequency)에 따라 압력파형이 정상인지 혹은 왜곡되었는지를 평가하게 된다.
정상 진동체계 (Optimally damped system)
Valve를 개방하여 빠른 속도로 pressure monitor 체계에 300mmHg의 압력이 적용되는 것을 확인하고(사각 모양의 flat wave가 나타남) valve를 닫으면 0.12초 이내에 1-2개의 진동이 나타나면서 원래의 wave로 빠르게 회복된다.
과진동체계 (Overdamped system)
상승곡선이 둔화되어 있으며 하강곡선(downstroke wave)은 base line 밑으로 내려가지 않는다. 압력의 전달이 둔화되면서 모니터링 체계에 파형이 구부러진 모양으로 나타나며 수축기 압력은 실제보다 낮게, 이완기 압력은 높게 나타난다. 과진동된 상태에서 square wave test를 시행하면 진동이 나타나지 않는다.
원인 : 압력 tube 변환기에 공기가 있음. 변환기 주위에 혈액축적. catheter가 혈관벽에 닿아있음. catheter와 변환기 사이에 여러개의 3-way가 있는 경우. catheter가 꼬임. tube 길이가 길거나 연결이 느슨함.
저진동체계 (Underdamped system)
상승곡선은 정상과 비슷하게 나타나지만 진동수가 과도하게 많이 나타난다. 수축기 혈압은 실제보다 높고 이완기 혈압은 낮게 나타난다.
원인 : tube 길이가 너무 길다. 3-way나 연결관이 너무 많다. | |